새벽 거리에서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 회사원인 와타나베.

그에겐 착하고 살림 잘 살고 애 잘 키우는 무난한 아내 유미코와 그 사이에 딸 소노미가 있다.

스스로 불륜이란 미친 짓이란 것을 분명 알고 있는 그에게 우연히 어떤 일이 스르륵 시작된다.

 

그의 회사에 얼마전 들어온 계약직 미혼 여성 아키하.

그녀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녀는 너무 매력적이라 불륜이 옳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헤어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점점 관계는 깊어지고 아내와 이혼할 마음까지 먹게 되는데...

 

아키하 그녀에겐 어떤 사연이 있다.

15년 전 아빠와 엄마는 이혼을 하고, 얼마 후 엄마는 자살을 하고.

어느 하루, 집안일을 봐주는 이모는 장을 보러 갔고 자신은 2층 방에서 클라리넷을 불고 있었고, 얼마 후 거실에서 아빠의 비서이자 애인으로 추정되는 여자가 죽어 있었다.

 

사건이 일어난 당시 도둑의 소행으로 치부하고 일단락되는 듯 했지만, 경찰도 그 어느 누구도 확신할 수 없었다. 15년이라는 공소 시효가 만료가 되면서 드디어 그녀는 입을 열게 된다. 누가 살인범인지를....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알게 될 것이라 스포일러의 짓을 하진 않겠다. ㅋㅋ

 

이 책은 역시나 이런 소설쪽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이다. 흐름대로 읽히기에 술술 읽되 추리를 해나가며 이 글 이면에는 무엇을 담고 있는지 또 좀 있다가는 우리의 뒤통수를 어떻게 치려는지 감지해 가면서 읽어나간다. 난 이 사건의 실체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그렇기에 그의 글을 재밌게 읽는 중 한 사람일테다.

그럼에도 그의 책 몇 편을 읽다보니 어떤 패턴이 보이는 것 같아 아주 조금은 아쉬운 느낌이 들었다. 그래도 또 신간이 나오면 볼 계획이 있다. ㅋㅋㅋ

 

결론은 불륜은 글자가 내포하고 있듯이 인륜으로서는 해서는 안 될 것으로, 누구에게나 간 떨리고 막상 본인이 하면 로맨스라고 하는 인지상정의 여러 내용을 담고 있는 듯 하다. 와타나베 결국 이용당한거 생각하면 참 꼬시다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기도 - 이해인 시집
이해인 지음 / 열림원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참고로 카톨릭 신자는 아니다. 즉 천주교의 교리나 역사적 이해 같은 부분은 문외한이다.

그러나 김수환 추기경과 이해인 수녀님 같은 이는 정말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천주교인이기에 그런 것인지, 그들이 진정 된 사람들이라 그런건지 그 부분에 있어서는 확실하지 않지만 말이다.

 

이해인 수녀님의 글은 사람의 마음을 참 따뜻하게 한다. 읽는 이로 하여금 한 번 더 생각하게 하고 내 삶은 어떠한가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글임에는 분명하다.

그녀 또한 인간이기에 어떻게 저렇게 이타적일 수 있을까 싶지만, 그런 이들이 있기에 우리같이 평범한 이들은 그들을 보고 타의 모범으로 삼고 그들의 발치라도 따라가 보려 함이다.

 

이 책은 그녀의 신간 시집이다. 개인적으로 시를 많이 좋아하지 않고, 이해하는 것도 남들보다 못한 것 같아 선뜻 잡지 않는 책이다. 그럼에도 이 시집은 바로 장바구니에 담았다. 이 책값 이상의 무언가를 내게 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해인 수녀님의 시는 무슨 소리 하느냐 하는지 모를 글의 나열이 아니다. 그녀 삶 곳곳에서 체득한 것들이 짧게, 또는 길게 표현되어 있는 것이라 그녀의 깊은 생각들을 시를 통해서 읽을 수 있어 참 좋다.

 

이 책의 여러 시 가운데, '부끄러운 손'이라는 작품이 있는데 짧은 에세이 같은 느낌도 없잖아 드는데 참 와닿았다. 이렇게 착하고 여린 사람인데, 장애인의 그 상황을 한 번 더 생각하지 않은 것을 스스로 꾸짖고 토닥이는 모습이 참...

 

이 외에도 길지 않은 글이지만 읽는 시간보다 더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나는 지난 과거에 어떠했나 하는 생각까지 하게 해서 많은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종교를 막론하고 삶이 바쁜 이들은 더더욱 읽어봐야 할 글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그와 일하고 싶어 한다 - 상사에게 인정받고 부하직원에게 존경받는 사람들의 유쾌한 생존법, 레버티 이펙트!
아드리안 고스틱 & 스콧 크리스토퍼 지음, 변인영 옮김 /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애플북스)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levity의 사전적 의미 : 경망, 경솔, 변덕, 경솔한 행위, 가벼움

솔직히 이 단어 뜻을 몰랐기 때문에 이 책을 읽으면서 뜻을 찾아봤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굉장히 많이 말하고 있기 때문에 도대체 무슨 뜻이야 하면서 봤기 때문이다.

 

이 책의 요지는 레버티의 긍정적인 면을 선보이는 것이 진정한 승자이다 라는 것이다. 그리고 조금은 가벼워져서 현재의 무거움을 좀 벗어 던져보는 것도 충분히 훌륭하다고 말이다.

 

우리네 사회는 아직까지도 성인이라면 의젓하고 점잖 빼고 있는 것을 좋아라하고 어른답다고 인정해주는 분위기이다. 나도 사회인이 되면서부터 왠지 그래야만 될 것 같고, 아이마냥 행동하는 것은 나이에 맞지 않는 것이야라고 암묵적으로 생각해왔던 것 같다. 대학생 때까지는 늘 꺄르륵 웃고 얼굴에 웃음이 만연해 있었는데, 사회인이 되고서는 딱딱한 환경에서 웃음은 커녕 정색만 가득할 뿐이다. 

 

직장은 직장이고, 직장에서의 일과가 끝나고 나서야 내 일상으로 돌아와서 웃음을 찾으려고 하지만, 직장에서의 느낌이 그대로 오는 것도 있고 습관이 무섭기도 해서인지 맘처럼 쉽지만은 않고, 그렇게 한다고 해도 직장에 있는 시간에 비하면 한참이나 적은 시간임은 분명하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해서 감히 어떻다라고 말할 순 없지만, 이 책의 내용처럼 어느 정도는 동의하는 부분이 있다. 적절히 가벼움, 즐거움을 녹인 생활이 몸에 밴 사람으로서 말이다.

나 또한 이 책의 제목과 같이 다들 같이 일하고 싶어하는 동료였으면 하는 마음이 있지만, 실제의 내 모습은 과연 어떨지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범신. 나는 이 작가를 <고산자>란 작품을 통해 처음 접했다. 그 당시 꽤 재밌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 그의 글이기에 믿고 읽게 된 것 같다. 이 작품은 밤에 썼기 때문에 독자도 밤에 읽으라고 한 작가의 말이 인상적이다. 난 낮에도 읽었는데, 밤에 보는 것이 좋겠단 작가의 생각에 동의한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크게 3명. 이적요 시인, 서지우, 한은교 이렇게다. 시인의 죽음에서부터 시작되어 시인, 서지우, 형사의 관점에서 이 글은 전개되어 있다.  늙은 노인에 지나지 않는 시인과 그를 믿고 따르는 제자 서지우. 그들 사이에 여고생 한은교의 등장으로 이야기는 묘하게 돌아간다.

 

덕망받는 시인이 어리디 어린 여자아이에게 품은 마음을 책으로 확인하고 읽는 순간, 무슨 이런 책이 다 있나 싶고 더는 읽고 싶지 않았다. 자기 나이도 잊은채 밝히기만 하는 할아범 같으니라. 에잇... 그런데 작가를 믿기에 뒷내용이 궁금했기에 계속 읽었다.

 

삼각관계도 아닌 것이 질투, 오해, 경쟁심이 서로 이는 이 남자들 도대체 뭐야. 치정극도 아니고. 그리고 그 속에 끼인 한은교란 애는 아무리 철없는 상황이 안 좋은 애라지만... 얜 또 뭐야!!

 

그리고 끝내 서지우의 죽음. 시인의 죽음이 있고서야 이런 앞뒤 이야기들이. 은교의 말로는 시인과 제자가 서로 사랑했다고 하는데... 참. 알 수 없는 사이임은 분명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이 시인이라 그런지 작품 곳곳에 내용과 절묘한 시들이 있었는데, 그 시를 통해 주인공의 마음과 그 상황이 더 잘 전달되는 것 같아 더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나라, 사랑할 시간이 없다 - 외롭고 서툰 이들을 위한 치유성장 에세이
신현림 지음 / 예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작가의 글을 처음본다.

시인이라는 그녀의 이력을 통해서 느낀 것인지 모르겠지만 참 글 하나하나가 시적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산문집 읽기를 나름 좋아라하기에 한번씩 읽으면 뭔가 정화되는 듯한 느낌도 들고.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왠지 배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에 보기를 좋아라한다. 다만 너무 에세이류만 쭈욱 읽다보면 약간 루즈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도 이 책은 간만에 읽는 산문집이라 그런지 표지도 내용도 좋았다.

이 책을 통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지인들을 사랑하고 또 사랑하라는 메세지는 확실히 전하고 있다. 왜 삶은 살만한 것인지 힘들지만 그럼에도 많은 것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작가가 자기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 놓고 있어서 굉장히 편하게 쓴 듯한 느낌이 들었다. 자기의 좋지 않은(물론 좋다 좋지 않다는 표현이 좀 그렇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드러내기 꺼리는 이혼 경력 등) 작가 개인적인 이야기를 내놓고 썼기 때문에 충분히 이 책에 자기의 모습을 말하고 우리네 삶까지 함께 논하고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친한 이의 실명까지 제시해서 살짝 일기를 보는 듯한 느낌도 들고 사람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외로움 등의 기분의 변화들까지 세세하게 말하고 그럴때는 이렇게 생각하는 건 어떨까 하면서 토닥여 주는 느낌의 책이다. 겨울에 읽었기 때문에 뭔지 모르게 따뜻한 느낌이 있다. 만사 귀찮은 춥디 추운 날 누군가를 일부러 만나러 간다는 것은 마음을 먹어야 가능한 일이지만, 이 책은 꼭 만나라. 온라인 상에서보다 오프라인의 만남이 진정한 마음 나눔이라고 한다. 사실 스마트폰, 인터넷 등으로 온라인상에서는 정말 친한 것 같지만, 진짜 만남은 얼굴 보며 만지고 보듬고 눈을 맞추는 것이라고.

 

이 책 제목이 너무 좋아 주위 사람들에게 너무 좋지 않아 하면서 책 표지를 몇 번이나 들어 보여준 것 같다. 다들 동의하면서 읽어보고 싶다고 한 이들이 많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