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에게 인사하는 법 - 제5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43
김이윤 지음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겪어보지 않은 일에 대해서 미리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책 표지와 제목만 보고는 심리서인가 하는 생각도 하게 하는 책이다. 그런데 이 책은 소설인데, 마음이 따뜻하면서도 달래주는 느낌의 책이라 참 괜찮게 읽었다.

 

이 책의 주인공 여여(여자).

고등학생(공부에는 큰 관심없지만 어느정도는 하는 아이)으로 단짝 친구 세미가 있다.

엄마와 단둘이 살고 있는데, 갑자기 엄마가 암선고를 받아왔다.

취미로 드럼을 배우고 있으며 같이 배우고 있는 선배 시리우스에게 계속 눈길이 간다.

 

그렇게 특별할 것 없다 싶은 아이의 이야기이며, 대단한 사건이 있는 것도 아닌 글이다.

그럼에도 뒷 얘기가 궁금하게 잘 써놨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런 것이 바로 글 잘 쓰는 것일게다.

 

엄마의 암투병으로 엄마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하고 아직 어리다보니 엄마에게 섭섭했던 부분들을 털어놓는데...그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바로 아빠라는 존재. 서동수라는 아빠의 강의를 듣고는 아빠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찾으려고 하는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시리우스와 알콩달콩 사귀면서 엄마한테 살짝 소홀하기도 하며 그 속에서 또 다른 위안을 받게 되었던 여여.

 

엄마와의 마지막 여행을 통해 듣게 되는 말이 인상적이다.

 

"우리 여여가 사랑 속에 태어났다는 사실만은 변함없어"

 

이 말은 여여가 정말 듣고 싶었던 말일 것이다. 내가 이 부분을 읽는동안도 참 아름다운 말이라 생각들었었는데, 나도 모르게 감정 이입한 거인지 모르겠지만.

 

엄마가 죽고 씩씩하게 자신의 삶을 꾸려가는 여여가 참 대견하고 기특하다.

 

주변에 간혹 부모님의 부재로 혼란스러워 하는 아이들을 볼 때면 참 마음이 아프다. 또 한편으로 그들에 비해 난 참 많은 것을 가졌고 행복한 거구나 라고 위안을 받기도 한다. 이기적일 수도 있지만, 그래서 참 인간적이라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 난장이 미짓
팀 보울러 지음, 김은경 옮김 / 놀(다산북스)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안타까운 사연을 갖고 태어났다.

이 아이도 이렇게 태어나고 싶어 그런걸까.

동생 미짓을 얻으면서 엄마를 잃어버린 미짓의 형 셉.

그도 이해한다. 그렇지만, 약한 미짓을 괴롭히고 해치는 모습. 좀 심하다 싶다.

 

미짓의 꿈까지 짓밟아버리는 형이라. 아무래도 좀 심하다.

책 표지를 보면 작은 배에 우뚝하니 서 있는 미짓이 있다.

좀 외로워보이는 듯 하면서도 슬픈듯한 눈망울을 하고 있다.

읽는 내내 뭔가 찜찜하고 불편한 느낌이 드는 것은 왜 일까.

 

아무래도 일명 장애인이라고 불리는 이들에 대한 시각에서 온 게 아닐까 싶다.

우리가 말하는 장애인의 개념이 과연 맞는걸까. 무엇에 의한 기준인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의 책인듯 하다.

흠.....씁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 - 류시화 제3시집
류시화 지음 / 문학의숲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나 오랫만의 그의 시라. 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바로 구매했네요!~다 읽고 바로 서평 올릴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리에르, 웃다 - 제6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29
문부일 외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총 5편의 단편을 엮은 것인데, 의외로 괜찮다 싶다.

처음 볼 때는 큰 기대를 안 해서 그런지 이거 뭐 읽어봤자 하는 그런 생각을 했는데, 막상 읽으니 좋은데...

 

이 책의 제목인 단편 제목인....살리에르. 늘 모차르트에게 치여 자신의 능력을 인정하기는 커녕 늘 쭈구려 있었던 옛날의 음악가. 정형돈이 예전에 무한도전에서 얼핏 그런 말을 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런 점들을 잘 캐치해서 녹여놓은 느낌이다.

사실 실제 생활에서도 이런 이들이 참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부분을 재밌게 와닿게 표현해놓은 것이 참 괜찮다.

 

짱이 미쳤다 -> 주먹 좀 쓴다는 주인공이 엄마의 치료기간동안에 자숙하고 있는 모습. 그 모습을 보고 진짜 노는 무리들이 무언가를 깨닫는 등의 재미난 상황.

 

열여덟살 그 겨울 -> 가난한 상황의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부잣집 친구의 집을 털게 되는. 그 과정을 친구가 다 알고 있었다는...

 

짧은 사건들이고 이야기지만 생각할 거리를 주는 느낌이라서 참 좋았다.

하고 싶은 것이 많은 아이, 하기 싫은 것만 가득한 아이들. 고민이 많고 그래서 그들을 청소년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그런 이들에게 이 책 한 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톰 보이드 : 베스트셀러 책의 저자로 얼마 전 오로르 라는 피아니스트와 사랑을 하다 헤어져 실의에 빠진 상황이다.

밀로: 톰 보이이드의 죽마고우로 그가 책을 출간하는데 매니저의 역할을 하다가 얼마 전 금융 사기를 당해 톰에게 그 사실을 말하고 있다.

캐롤: 톰, 밀로와 죽마고우로 현재 경찰이다.

 

책의 파본을 처리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톰 보이드는 약을 먹고 현실을 도망치듯 했다. 잠시 깼는데 왠 벌거벗은 여자가 나타나서는 자기는 책에서 나온 빌리 라고 한다. 톰은 말도 안되는 상황이라 믿지 않다가 질문-대답으로 그녀가 진정 책에서 나왔구나 라고 인정하게 된다. 친구들에게 이 상황을 말했지만, 미친 사람으로 대하고는 클리닉으로 데려 가려 한다.

빌리와 함께 탈출하는 중에 서로 계약을 하게 된다.

톰- 오로르 되찾기, 빌리-책 속으로 다시 들어가기 위해 톰이 책 써야 됨.

 

멕시코로 여행간 오로르를 찾기 위해 둘은 멕시코로 향한다. 우여곡절끝에 오로르가 묵은 호텔에 이르게 된다. 그러는 과정 속에서 톰과 빌리는 사랑에 빠지게 되고, 톰은 아파하는 빌리를 위해 책 집필에 힘을 쓰게 되고 친구들은 파본 책 중 남은 한 권을 찾으러 여러 나라를 다니게 되고...

 

결국 톰은 책 완성을 하고, 종이여자 빌리는 그의 곁을 떠나게 된다.

 

전작들에 비해 힘이 좀 빠진 듯한 느낌이 없잖아 든다. 그래도 빌리라는 캐릭터가 재미 있고 그들이 멕시코로 가는 그 과정에서의 티격태격하는 모습들이 참 귀엽고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