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이렇지 않았어요. 나는 옳고 그름은 모르겠지만, 그래도 우리가 그들을 그냥 돌려보낼 수는 없잖아요. 안 그래요? 너희들의 끔찍한 나라로 돌아가서 다치든지 말든지 알아서 해라, 우리 살기도 바쁘다, 라고 말할수는 없는 노릇이잖아요. 그들을 도울 수 있다면 도와야죠. - P94
우리가 거처로 삼았던 헛간은 한때 비를 피할 곳에 안전하게 보관해야 할 곡식 자루나 시멘트 포대 등 귀중한 물건을 보관했을 법한 곳이었다. 이제 그곳은 우리를, 통제되어야만 하는 임시적이고 무가치한 골칫거리를 담고 있었다. - P76
우리는 권위가 완전한 복종과 비굴한 두려움을 요구하는 곳에서 다들 도망치는 중이었는데, 매일매일의 태형과 공개적인 참수형 없이는 이를 강제할 수 없는 만큼, 그 권위의 종들, 그 권위의 경찰과 군대와 안보기관은 무모한 반란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옹졸한 악의적 행위를 반복해서 수행했다. - P80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으나, 학교에 입학하려면 어느특정 나이 아래여야만 했다. 나는 이 사실의 기묘함에 대해 한 번도 제대로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제 와 생각해보니 그것이 기이하다는것을 알겠다. 특정 나이를 넘기게 되면, 너무 익어서 마실 수 없게 된 코코넛처럼, 나무에 너무 오래 내버려두어서 씨앗으로 부풀어오른 정향처럼,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때를 놓쳐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 P65
어둠의 시간이 내게 그토록 소중해지다니, 말위를 맴도는 기묘한 무음으로 그토록 무서울만큼 고요하고 그토록 팽팽하던 밤의 침묵이 이제는 그처럼 중얼거림과 속삭임으로 가득하게 다가오다니 놀랍기만하다. - P12
대체 얼마나 나이를 먹어야 목숨이 아깝지 않게 되는 거지? 혹은 언제가 돼야 두려움 없이 살기를 바라지 않게 되는 거지? 내 목숨이 자신들이 들여보내주는 젊은이들의 목숨보다 덜 위협받는지는 어떻게 아는가? 그리고 더 안전하고 나은 삶을 살고 싶은 것의 어디가 부도덕하단 말인가? 왜 그게 탐욕이나 게임일 뿐이란 말인가? - P27
그들은 자신들의 굶주림과 탐욕, 자신들의 환상과 거짓말과 증오를 가져와서 그것들 중 일부는 평생 그곳에 내버려두었고, 자신들이 사들이고 거래하거나 앗아갈 수 있는 것들은 가져갔는데,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사거나 납치해서 고국에 노예로 팔아먹었다. - P33
고백하자면 나에게 아프가니스탄은 전쟁이 잦은 나라이기에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지 가늠하기도 어려운 그런 곳. 그 정도쯤으로만 알고 지냈다. 너무 가슴아픈 사건이 많이 일어나지만 그렇다고 나의 일상에서 오래 기억으로 남을 만큼은 아니였다. 그렇기에 모순된 감정의 등장인물인 이드리스에게 원망이 들다가도 ‘자신의 삶을 살아가다보면 그 안에 젖어버리기 마련이니까.’ 라며 자기합리화이자 뼈아픈 공감도 했다. 그런 내가 할레드 호세이니의 3편의 책 ‘연을 쫓는 아이’ , ‘천 개의 찬란한 태양’ , ‘ 그리고 산이 울렸다’ 를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현실에 한 발자국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었다. 아프칸 수도 카불에서 탈출길이 막혀 자식이라도 살리기 위해서 엄마들이 아기를 철조망 너머 영국군에게 던지며 생이별을 마주하는 기사를 읽고 압둘라와 파리가 떠올려졌다. 지나친 욕심이나 허황된 꿈이 아닌 그저 내 부모, 내 형제 자매와 살아가는 보통의 삶이 무너진 있을 수 없는 비극이 과거의 일로 끝난게 아닌 것이 너무 큰 슬픔이다. 종교는 없지만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뛰어놀며 또 그들의 가족들이 평안하게 살 수 있는 삶을 간절히 빌어본다. 척박한 먼지 속 마른 땅 위에서의 슬픈 눈물은 영원히 끝날 수 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