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사랑이 많지만 나는 패티 스미스와 메플소프의 가난한 사랑에 빠져 들었다. 메플소프의 꽃 사진 시리즈는 감각적이며 그의 사진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마법에 걸린 것처럼 빠져나오는 게 힘들다. 1분 이상 보고 있으면 사진 속의 피사체가 꿈틀꿈틀 움직여 인간의 아름다운 모습으로 바뀌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두 사람의 가난한 사랑은 패티 스미스가 젊은 날의 모습을 쓴 [저스트 키즈]에 잘 나온다. 두 사람에게는 일반인들이 들여다볼 수 없는 광기와 환상을 가지고 있다. 그 세계는 넓은 것 같으면서 협소하고, 그러면서 깊고 우울하지만 새롭고 반짝인다. 자유하고, 자유롭고, 하고 싶은 것은 그대로 해버린 60년대의 아름다운 시절을 보냈다.

팔을 벌려 부르는 노래는 시가 되어 하늘에 한 글자 한 글자 아로새겼다. 미지근하지 않았다. 뜨겁게 타오르면서 차가운 온도를 유지했다. 자석처럼 끌어당기는 그 힘은 바로 상상력에서 나오는 사랑 그것이었다. 록의 대모이자 시인이었던 패티 스미스는 메틀소프를 떠올리며 시를 써주고, 메플소프는 앨범 커버 사진을 촬영해 주었다. 두 사람은 가난했지만, 그 가난 덕분에 야망과 꿈을 절대 놓지 않았다.


[어떤 날은 미술관에 갔다. 티켓 한 장밖에 살 돈이 없어서 우리는 한 명만 들어가 전시를 보고 나와 어땠는지 이야기해주곤 했다. 어페이스트사이드로 자리를 옮긴 새 휘트니 미술관에 간 날은 내가 들어갈 차례였다. 미안해하며 들어가서 전시를 봤지만, 지금 내 기억 속에는 그날 미술관 건물의 거대한 창 너머로 건너편 주차 미터기에 기대 담배를 피우던 로버트의 모습밖에 남아 있지 않다. 전시를 보고 나와 전철역으로 걸어가던 길에 로버트는 나에게 말했다. “언젠가 우리가 함께 저 미술관에 들어가는 날, 그날은 우리 작품이 전시되어 있을 거야”] - 저스트 키즈 중에서.

나는 이 부분을 너무 좋아한다. 두 사람의 가난한 사랑이 넓고 깊고 고고할 대로 고고했다. 60년대를 상상력과 사랑으로 보낸 이들의 사랑은 천박해 보이지만 고귀하고 아름답다. 예술은 혼돈이며 비규정적이다. 그걸 두 사람은 여실히 보여줬다. 록의 대모이지만 패티 스미스는 시인인 만큼 글도 무척 잘 쓴다.

다른 예술가들처럼 그 흔한 약에 손도 대지 않았다. 어쩌면 그 점이 지금까지 열심히 노래를 부르고 책을 쓰고 예술을 할 수 있게 하지 않았나 싶다.

패티 스미스를 한 마디로 하면 존나 멋진 여자다. 그녀는 노래를 부른다. 그녀는 록을 한다. 그녀의 노래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 그것뿐이다.

2009년 지산록페에서 환하게 한국 팬들에게 인사를 하던 패티 스미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잼 시계가 안 나온다길래 하나 만들어봤는데, 곧 나올 거라고 하네. 만든 시계는 아이폰 4의 반 정도 크기이며 탁상용 시계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이런 시계를 분해해서 시계 들어갈 자리에 이잼 마크를 편집해서 붙이고 조립하면 끝이다. 초간단이다. 시계는 다이소에서 개당 천오백인가? 이천 원인가? 그래서 두 개를 만들었는데 옆에서 판매하라고 자꾸 그래서 하나를 줘버렸다.




어쩌다 보니 김영삼 대통령 시계도 있다.






또 어쩌다 보니 송영길 인천시장일 때 시계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트롤로지로 나왔던 영화버전이 티브이 시리즈로도 나왔다. 티브이 시리즈가 나오고 영화판 트롤로지가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영화판보다는 액션이 좀 덜 하고 서사의 규모나 이것저것 그런 것들이 좀 축소된 느낌인데 또 주인공 두 사람의 안 그런 척 코믹은 더 늘어버린 느낌이다.

큰 골자는 영화 버전과 비슷하나 매 회마다 나오는 빌런들은 현실에서 볼 수 있는 빌런들이다.

약한 여자들만 보면 스치면서 어깨빵으로 피해를 주며 만족하는 지질한 놈이나, 오토바이족으로 걸어 다니는 여자들의 핸드백을 날치기하는 빌런 같은 것들이 잔뜩 나오는데 이 귀엽고 대책 없는 치사토와 마히로에게 아작이 난다. 그런 액션은 꽤나 재미있다.

두 소녀는 발랄하고 엉뚱하고 아르바이트에는 잼병이지만 본캐인 킬러만큼은 그 어떤 킬러들보다 정확하고 실패가 없다.

일상이 엉망이라 나사가 빠진 두 소녀의 일상은 방을 난장판으로 만들고 그 사이에서 잠들고, 뭔가를 해 먹지만 어설프고, 맛있는 거 먹을 때면 그 어떤 먹방 프로보다 낫다고 할 정도로 맛있게 먹는다.

그러나 무엇보다 총을 들어야 하는 순간에서는 망설임이 없고 킬러 본능을 보여주는 얼빠진 치사토와 마히로. 영화 버전도 유치한데 티브이 시리즈는 너무 유치해서 이런 걸 보냐? 하다가 그냥저냥 자꾸 보게 된다.

존윅 세계관처럼 여기도 킬러협회소속의 킬러들이 펼치는 킬러들의 전쟁 같은 이야기가 영화, 티브이를 통틀어서 펼치는 세계관이다.

세계관 속에 등장하는 이름, 설정, 단어 같은 것들이 재미있는 게 많다. 1화의 부제는 [10년 뒤에도 함께 시체 얼리자]라든가, 프로젝트 명이 [풍림화산] 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보는 재미가 있다.

무엇보다 두 소녀의 망가지는 코믹한 모습이 자꾸 보게 만다는 것 같다. 아무튼 ㅈㄴ 유치하다. 너무 유치한데 그래서 자꾸 보게 되는 시리즈 [킬러는 메이드사마 에브리데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와 다름없는

하루가 무너지는 저녁,

건너편 옥상의 빨랫줄에는

가족의 비애가

옥상에 머물러

힘없는 바람을 맞이하고 있다,

오늘도 힘들었지?

괜찮아.

참 마른 저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여명은 미모가 변우석 저리 가라고, 오천련은 요즘은 볼 수 없는 청초한 매력을 잔뜩 머금고 있다. 중국으로 반환되기 전의 94년 홍콩은 자유하고, 자유롭고, 거칠지만 부드럽고, 전통과 포스트모더니즘이 혼재했다.

주인공들은 위태롭고 불안했지만, 불행하지 않았고 사랑에 있어서 거침없었다.

자신도 자신을 믿지 못하는데, 끝까지 자신을 믿었던 미지 덕분에 포기하고 싶었던 그 높은 계단을 올라갔던 호수처럼, 인연을 믿고, 아버지를 믿었던 거칠고 거칠어서 연약하기만 한 여명의 텅 빈 눈동자가 잔상에 남는 영화다.

영화는 홍콩 반환을 몇 해 앞둔 불안하게 흔들리는 불빛 같은 홍콩의 젊은이들을 잘 보여줬다. 첨밀밀의 처절한 멜로보다는 덜 하지만, 왕가위의 화양연화에 비해 믿음이 실현이 되는 영화였다.

이 영화에서는 보기 드물게 오맹달의 정극 연기가 돋보인다. 아버지를 그려낸다. 9살의 아들을 지켜주지 못해 늘 아들에게 미안했던 아버지는 결국 감옥을 집처럼 들락거리는 여명에게 몽둥이를 들고 만다.

안전한 궤도 속에서 답답함을 느낀 오천련은 어느 날 여명을 만나고 나서 그 안전하고 평온한 궤도를 벗어나 하늘의 한 획을 긋는 별이 되어 여명을 만나고 동경한다.

하지만 사랑이란 마음처럼 쉽지 않다. 이 세상에서 가장 두려운 일은 사랑을 하게 되는 일이다.

첫사랑의 아픔은 몸이 찢겨 나가는 게 낫지 마음이 이렇게 파괴되는 아픔을 견디지 못하는 게 인간이다. 하지만 인간은 잃어버린 사랑은 새로운 사랑으로 치유가 된다.

내가 죽이지 않았다구요. 내가 죽이지 않았어요. 이 말을 하고 싶었어요.

전 세계의 90년대는 그 시대를 살아 낸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 준다. 음악이며 여명의 눈빛과 몸짓 그리고 대사 하나하나가 뭉클하게 다가온 영화. 촌스러워서 사랑스러운 영화 ‘불초자 열혈남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