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아홉 생일, 1년 후 죽기로 결심했다 (스페셜 에디션 한정판)
하야마 아마리 지음, 장은주 옮김 / 예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너무나 섬뜩하지 않는가...?

스물아홉 생일에

1년후 죽기로 결심하다니..

하지만 읽으면서 나도 동감이 되는건 왜일까...?

이 글의 주인공 29살 아마리...

그녀는 평범하다...

아니 쓸쓸할정도로......

아무것도 아닌 인생일뿐이다..

남들과 같은 인생일뿐...


하지만 29살 생일...

자신의 인생의 데드라인을 정한다..

이렇게 사는것보다

라스베거스에서 멋지게 산뒤 죽기로 결심을 한다...

그래서 호스트 일도하고 누드모델까지 하면서

돈을 번다..

하지만 그렇게 까지 일하면서

그녀는 많이 느낀다...

자신이 이렇게 열심히 살지 않는것...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

그리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열심히 사는사람들..

그렇게 그녀는 차근차근 데드라인을 향해 가기 시작한다...


그렇게 30살이 되기몇일전..자신이 가고 싶어하던 라스베거스에 간다..

그곳에서 블랙잭을 한다..

자신이 준비한 모든것

자신이 하고 싶던 모든것을 한다!

그리고!!드디어 자신이 원하먼 멋진 한방까지!!!!

모든 돈을 환전한뒤 자신의 방으로 돌아온뒤 

세어본 돈은........자신의 돈에서 단돈5달러일뿐...

5달러...? 5달러!!!

다시 돌아온 그녀...

그녀가 하던일은 모두 끝내고 다시 그녀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러떠난다..



때로는 자신을 위한 데드라인을 설정하는것도 좋지 않을까...?

이 글의 주인공역시 

남들과 같이 그저 평범하게 살던 인생이다..

하지만 자신의 인생을 정해놓으면서

조금씩 달라졌다..

죽는다고 정하는게 아니다...

자신이 하고 싶은것을 위해 한발짝씩 다가가라는것이다...

때로는 남들이 생각하면 이상할수도 잇는

누드모델도 하고 밤의 일인 호스트일도 한다..

하지만 모두 자신의 미래를 위해

모두 열심히 달려가는 이들이 였다...

그런 그들을 욕할수 있을까...?

자신을 모든것을 걸고 도박한 그녀는 이겼다...

우리들은 이길수 있을까...?

자신의 인생을 걸고 도박할 사람들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EW - 돌도끼에서 스마트폰까지 새로움을 향한 인류 본능의 탐구
위니프레드 갤러거 지음, 이한이 옮김 / 오늘의책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움...

그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왜 새로움에 끌리는것일까...?

이것에 대한것을 혁신애호라고 한다..

이것과 반대로 혁신회피도 있다..

하지만 우리들 자체가 혁신애호에 의해 태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들의 조상이라고 일컬어 지는 호모사피엔스..

그들은 새로움에 대한 집착으로 돌도끼등을 사용햇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했다..

그래서 그들이 살아남았다..

과연 혁신을 싫어했다면...?

우리의 조상은 바뀌었겠지...


우리들은 항상 새로움것에 관심을 가진다..

무엇이 새로운것이 나왔는지..

무엇이 새로운 기능이 있는지..

무엇이 새롭게 느껴지는지..

우리들은 새롭게 느껴지는것에 따라 흥미를 가진다..


나 역시도 새로운것에 관심이 많다..

나의 생각을 뛰어넘는 새로움.,.

모두 이런것에 흥미를 가지지 않는가...?

하지만.. 이 새로움이라는 자극이

너무나 많을때는..

그것이 지루함이 되어버린다...

그렇지 않는가?

처음 여러분들이 스마트폰이라는것을 샀을때를 생각해보라,...

그날 하루는 꼬박 스마트폰을 만지작햇을것이다..

하지만 그 새로움이라는 자극이 하루가 가고 이틀이

지나간다면... 지루함이 되어버린다..

예전의 핸드폰과 별반 다를게 없어질뿐이다...


즉 우리들에게 필요한 이 새로움이라는 자극은..

적당한 새로운 자극이 계속되어야 하는것이다

우리가 때때로 느끼는 인생에 대한 지루함...

그것은 바로 자극이 없어서가 아닐까...?


그렇데 이렇게 스마트란 이름하에 나오는

새로움이라는 자극이 지금은 너무나 넘쳐나고 있다..

매일매일 달라지는 기기들...

스마트폰 역시 하루가 멀다하고

더욱더 발전해서 나온다...

과연 이것이 좋을까...?

우리가 보는 인터넷 역시...

모두 새로운것이 널려있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새로움....


어떻게 해야할까...?

분명히 처음에는 새로움이라는 자극때문에 우리가 있다고 했는데

지금은 새로움이라는 자극이 너무많다고 불평이다...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

여러분들은 여러분들에게 오른 새로움이라는 자극을 어떻게 처리합니까...?

너무나 많은 새로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들지 않은 인생이 즐겁다
사이토 히토리 지음, 한성례 옮김 /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애플북스)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철든다 는게 무엇일까

우리들은 나이가 들면 철이 들어야 한다고 배웠다

나 역시도 철들기 위해 노력을 했지만..

철이 든다는것을 모르겠다

하지만 그게 좋은것이줄로만 알고 있다..

아니 그렇게 되어야 한다..

하지만 때로는 철들지 않는 인생이 즐겁지 않을까...


우리는 철들기 시작하면 생각도 바뀌고 

행동도 바뀌게 된다

솔직히 이 안에 있는 내용은 어디서라도 볼수 있다..

아니 보아왔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것은....

철들지 않았다는게 아닐까...?

철들지 않는다는것은 어린게 아니다....


어떻게 보면 더욱더 나를 더 사랑한다는게 아닐까..?

철이 들었다고 하면 뭔가 다르다..

자신보다 외부에 신경을 더쓰게 되고...

자신보다 다른것에 신경을 쓰기 시작한다...

자신을 잊어간다..

히토리씨가 말하고 싶은건....

자신을 잊지 말라는게 아닐까...


항상 철이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것이

바로 자신을 잊지 말라는것...

아니 모든것에 대한 그것에 대한 초심을 잊지 않는다는게 아닐까...?

철들지 않아 열정이 끓고

무엇이든 도전하는게 아닐까...

철이 든다는것은 열정이 식어간다는게 아닐까...?

도전하는것에서 계산하는걸로 바뀌는게 아닐까...

당연히 철이 든다는게 안좋다는게 아니다..


하지만 철이든다는것보다...

더 열정적이고... 도전적인 철들지 않음이 더좋지 않을까...?

그래서 아직도 젊은 이들이 철이 들지 않았다고 하는게 아닐까..?

그들의 도전이 그들의 열정이

바로 철이 들지 않았다는 증거다!

나 또한 이렇게 행동할수 있는건 

바로 철들지 않았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은, 영원한 헤어짐이 아니다 - 아름다운 이별을 위한 30가지 마음 챙김
다비드 세르방 슈레베르 지음, 권지현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죽음..

어느 누가 죽음에 대해 초월할수 있을까...?

이 글의 작가역시 지금은 없지만...

그 역시도 초월하지는 못했다..

때로는 두려워 했다...

하지만 그는 

이별을 위해 조금씩 준비해왔다...

하지만 모든 이들이 그렇게 그 역시도 조금씩 후회를 했고..

깨달았다..


항상 죽음을 목전에 둔 이들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아는가,..?

하나같이 말한다..

자신의 삶에 대한 후회가 많았다..

작가역시도 자신이 쓴 책 항암에 대해

많은것을 알리기 위해 자신의 시간도 갖지 못한채

이쪽에서 저쪽으로 저쪽에서 이쪽으로

많은 시간을 썼다..

하지만 자신이 죽음을 목전에 두었을대

생각을 했다..

과연 나를 위한 시간이 얼마나 있었는지...


모두가 그렇게 느낀다..

왜  이렇게 되는걸까...?

그래서 하루하루를 소중히 하라는 말이 나온것일까...?

왜 그때를 가서야 깨닫는걸까...

우리들이 잘 깨닫지 못하는것..

그것이 바로 하루하루의 소중함이다..

그래서 그들이 우리에게 말하고 싶은게 아닐까...?

그리고 나는 그들에게 말하고 싶다..

안녕....이라고...


어떻게 보면 이 안녕이 라는 말은..

헤어짐을 뜻하는게 아니다..

항상 우리가 헤어짐을 가질때 쓰지만..

그 말의 속뜻은 다시 보자라는게 아닐까...?

우리가 저 하늘나라로 가지만

또 다시 만나자라는것을 뜻하는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에 몇 번이나 행복하세요? - 있는 그대로 나를 사랑하는 기술, 큐헴의 마음 코칭
이동환 지음 / 대림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들은 행복을 위해 산다

행복을 위해 일을 하고

행복을 위해 돈을 벌고

공부를 한다

하지만 나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이 책에서는 큐헴이라는 마음 관리법을 소개한다.

주인공은 회사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살아간다

무엇이 행복인지도 모른채..

하지만 큐헴이라는 마음관리법으로 조금씩 변해간다..

나 역시도 놀라운게 많다

특히나 큐헴의 포인트는 믿는다는것이다..

믿는다는것..

과연 무엇일까...


일반적인 장난감 로봇을 켜놓는다 그 로봇은 막다른곳에 부딪히면

다른곳으로 가는 그런로봇이다

하지만 이 공간에 병아리를 넣는다면 어떻게 될까...?

그 로봇은 구석쪽으로만 움직였다

조류는 처음본 동물이 자신의 어미라고 생각하고 따른다

병아리가 처음본 장난감로봇이 자신의 어미라고 생각한다

그 생각의 힘이 로봇이 구석쪽으로만 움직이게 했다는것이다


솔직히 그런 실험이 있다는것이고 저런 결과가 나왔다

보면서도 믿기지 않는다

무생물까지도 믿음의 힘으로....

주인공 역시 이런 믿음으로 자신을 변화해간다

믿음을 키우고...

자신의 다시 돌아보는것.....

그것이 큐헴의 세계에 빠지는것이다..


하지만...나는 또 다른 생각이 든다.

이렇게 좋은방법도 혼자서는 할수없다..

이 책의 주인공역시...그녀를 도와주는 박사님이있었기에..

항상 나오는 좋은 방법은 혼자서 할수가 없다..

나를 도와주는 이들이 필요할뿐...

이 큐헴 역시.....

나를 이 큐헴의 세계에 빠지게 해줄분은 없을까...?

나의 삶이 행복으로 뚤러쌓이게 해줄 분은 없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