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다큐 - 우주비행사가 숨기고 싶은 인간에 대한 모든 실험
메리 로치 지음, 김혜원 옮김 / 세계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우주...

예전에 우리나라의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씨가 있었습니다

참 뭔가 가슴에서 뭉클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올라가기전 무었을 할까요...?

지구가 아닌 중력이 없는곳에서 해야할것이 무엇일까요...?

아무곳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진실..

그저 결과만 알았던...

우주에 관한 진실이다...


우리 인간들에게는 의식주가 중요하다..

하지만 우주에서는 먹고...배설하고 씻고 이것이 중요하다..

우주에 가기 위해 우리는 실험을 해야 했다...

과연 사람들이 무중력에서 버틸수 있는지..

어떤것을 먹어야 하는지

어떻게 생활을 해야 하는지

완전히 지구와 다른차원의 문제 였다...


그래서 NASA에서는 많은 실험을 했다...

동물을 우주선으로 쏘아보내기도 했었다...

최초의 우주인은...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지 않을까....

NASA에서는 발표하기를 꺼렸지만..

아마 많은 동물들이 우주로 날라가서 돌아오지 못했다...

아마 그 동물들의 실험으로 인해

우리들의 우주과학이 더욱더 발전하고 

발전에 기여한것이 아닐까...

때로는 우리들의 욕심으로 인해 강제로

죽임을 당하는 동물들...

고맙다...


그리고 우주에서는 ??을수 있을까...?

NASA에서는 ??지 않고 우리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았고...

사람들의 배변을 위해...

화장실도 만들었다...

참....뭐라 말하기 애매하다..

너무나 더럽다....


우리가 생각했던 우주인들...

하지만 그들이 짧게 우주로 가기 위해

그뒤의 숨은 노력과 실험은...

우리를 놀라게 하기 충분하다

아주 사소한것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

때로는 발사가 되어도 실패하는 우주선...


이 모든 노력들이 있기에

사람이 우주에 나갈수 있게 된것이 아닐까..

조금더 있으면 우리 일반인들도 나갈수 있을까...?

나도 한번 가보고 싶다...

우주...

우리도 나가기 위해서 더욱더 많은 실험을 해야겠지...?

이 책을 읽으면서...때로는 안알리는게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때로는 모르는게 약이다....

궁금한가...?

꼭 읽어보라..우리들을 우주로 보내기 위해

실험한 이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황은 아름답다
우은정 지음 / 한언출판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대 청춘이라고 불린다

어느 누구나 20대를 거친다

20대의 당연함중의 하나..

방황이다...

무엇을 해야할지..

어떻게 해야할지..

내가 무엇을 하는지

방황을 겪는다...


어떻게 보면 작가는 다 가지고있는 사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까지 통과한 여자이다...

이 정도면 엄친딸이라고 불릴정도 이다..

하지만...

이런 엄친딸도 방황을 겪는다

어느 누구나 방황을 겪는다

그래서 여행을 통해 아니

더 넓은 세상을 통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그리고 우리 20대의 당연함을 배운다...


그녀는 중동으로 여행을 갔다...

중동에서 우리가 생각했던 것은 무엇일까...?

매일매일 총격전이 일어나고

치안이 좋지 않은 나라...

즉 무서운 나라가 아닌가...

하지만..실상은....그렇지 않다

아니 어느 나라보다 더 친절하다...

우리의 고정관념에 박혀있는 정의는

우리가 우물안의 개구리라는것을 깨닫게 한다...


나도 놀랐다..

어느 나라보다 더욱더 친절한....

어떻게 보면 우리는 방황이라는것을 통해

세상을 알아가는게 아닐까...?

때로는 방황에 이리저리 치여

힘들어 하고 세상에 대해 분노를 뿜어낸다..

하지만 어느 누구나 겪는것이다...

이것으로 우리가 알아가는게 더 많지 않을까...?

그래서 작가도 이렇게 말한게 아닐까...?

방황이 아름답다고...

우리들의 방황은 너무나...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춘, 그 이름만으로도 뛴다 - 꿈을 향한 도전, 그 끝나지 않은 이야기
완즈쯔 지음, 이화진 옮김 / 생각수레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최고의 검색사이트 네이버

중국에는 무엇일까...?
바이두 라고 아는가...?
세계 검색의 선두주자 구글을 누르고
중국의 1위로 등극한 검색 시장 
그것이 바로 바이두 였다...
리옌홍..
그는 검색을 전공한 이가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그곳에 흠뻑 빠져버렸다...

그렇게 그는 그 자신의 열정은 검색에 다 쏟아 부었다..
구글까지도 손을 뻗을 정도로 성장한 바이두...
그의 열정이 있기에
지금의 바이두가 있는게 아닐까..
그는편하게 박사가 될수도 있었지만..
그것을 포기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검색을 위해 포기했다..

즉 자신이 좋아했던것에 모든것을 걸었던 것이다...
그는 리더로써의 면목도 보여줬다...
회사의 기금을 한푼도 허투루 쓰지 않았고..
자신만의 독단적인 생각으로 경영을 해가지 않았고
모두의 생각을 들었다...
그리고 이익을 쫓지 않고 미래를 내다보았다..
절대 눈앞의 이익을 쫓지 않았다...

하지만 이것이 청춘과 관련이 되어있을까..
제목 선정이 안맞는것 같다..
단지..열정으로만 청춘이라고 말하는것인가...?
청춘이라고 생각해볼수도 없었다..
왜 제목과 매치가 되지않는것일까...?
그냥 리옌홍의 성공이야기 이런것이 더어울렸던것 같다...
나의 생각이지만..
이 글과 이제목은 절대 맞지 않는다...
어느 누구나 생각을 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의 락 - 공부의 신을 이기는
김찬기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솔직히 이 책을 읽을때는 공부법에는 관심이 없었다..

어딜가나 같은 소리를 할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도 역시 똑같다...

교과서....

특히나 작가는 몸까지 아픈 학생이니 학원도 다니지 못한다..

그런 그가 할수있는거라곤 교과서뿐...

아니면 인강뿐이다..

공부법은 어디에서나 본듯한 이야기뿐이다..


하지만 나의 마음을 잡아끈것은

바로 작가가 생각하는 장애에 관해서

그리고 그의 어머니가 생각하는 아들에 대해서이다..

작가 역시 어릴적부터 장애를 겪어와서 그런지

자신의 장애에 별다른 감정이 없다..

단지 자신의 일을 방해하는 단순한 불편함이라고 생각할뿐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절대로 그렇지 않을것 같지만 

그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의 부모님또한 그가 자만하지 않도록

그리고 장애에 대한 나쁜감정이 생기지 않도록

그를 잘 다독이고 

때로는 그를 잘이끌었다...


아마 이런 부모님과 작가의 마음때문에 

작가가 지금의 김찬기로 있는것이 아닐까...?

그저 장애를 비판하면서 살았다면 지금의 기찬기로써 살고있을까...?

지금의 즐거울 락 을 알게되었을까...?

단지 자신이 좋아하기때문이다..

그저 공부 방법을 안다고 

다 잘하는게 아니다

자신이 그것에 대한 즐거움이 있어야 하는것이다

김찬기는 그저 공부에 즐거움을 찾았을뿐....

그로써 그는 공부의 락을 찾고 또 찾아

지금의 그가 있는것이다..

모두나 공부를 필요로 하지만...

그것에 대한 즐거움은 모두가 다르다..

자신에게 맞는 즐거움을 찾는게 

인생을 사는데 중요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시오의 하늘 6 -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감동 다큐멘터리 만화 요시오의 하늘 6
air dive 지음, 이지현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만화였다..

그저 실존하는 의사의 이야기...
하지만 그것은 생명을 말하는 것이였다...

그는 그저의사일뿐이다....
하지만 그가 생각하고 
그가 하는 행동은 어느 누구못지 않다..
생명을 안다는것..
의사로써의 소임이 아닐까...?
의사의 소임을 못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솔직히...나쁜결과가 나오면 거의 포기를 한다..
그들이 배운 의술에서 안되는것이면 포기한다...
알고 있다... 
당연히 그럴수 밖에 없다는것..
하지만 그것은 생명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어리던 늙었던...
삶에 대한것은 어느누구도 포기를 하지 못한다..

그런데 그 병을 고쳐주는 이들이 포기라니...?
하지만 이 의사는 다르다..
그는 포기를 모른다...
아니 포기하기 싫은것일지도 모른다...
처음 느꼈다.... 
의사들의 생각을.... 
나의 병을 보고 포기한다...?
그럼 그 환자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는 실존한다...
나보고 병이 걸렸을때 어디가고 싶냐고 묻는다면 
단연코 그가 잇는 병원을 가겠다...
나를 포기하지 않을 의사...
그들을 찾는건 너무나 어렵다....
그들이 있는 자체만으로 우리들에게 소중한 일이지 않을까...
우리가 몰랐던.. 생명이라는것..
그것을 깨닫는것은 그의 말 하나하나
행동 하나하나로 
아둔한 우리를 깨닫게 해주는 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