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으로 무엇을 이룰 수 있을 것인가 만년필 끝

이렇게 작고 짧은 삽날을 나는 여지껏 본 적이 없다.


  한때, 이것으로 허공에 광두정을 박고 술 취한 넥타이

나 구름을 걸어 두었다 이것으로 경매에 나오는 죽은

말대가리 눈화장을 해주는 미용사 일도 하였다.


  또 한때, 이것으로 근엄한 장군의 수염을 그리거나

부유한 앵무새의 혓바닥 노릇을 한 적도 있다 그리고

지금은 이것으로 공원묘지에 일을 얻어 비명을 읽어주

거나, 비로소 가끔씩 때늦은 후회의 글을 쓰기도 한다.


  그리하여 볕 좋은 어느 가을날 오후 나는 눈썹 까만

해바라기 씨를 까먹으면서, 해바라기 그 황금 원반에

새겨진 ‘파커’니 ‘크리스탈’이니 하는 빛나는 만년필

시대의 이름들을 추억해 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나는 오래된 만년필을 만지작거리며 지난

날 습작의 삶을 돌이켜 본다 - 만년필은 백지의 벽에

머리를 짓찧는다 만년필은 캄캄한 백지 속으로 들어

가 오랜 불면의 밤을 밝힌다 - 이런 수사는 모두 고통

스런 지난 일들이다!


  하지만 나는 책상 서랍을 여닫을 때마다 혼자 뒹굴

어 다니는 이 잊혀진 필기구를 보면서 가끔은 이런 상

념에 젖기도 하는 것이다 - 거품 부글거리는 이 잉크

의 늪에 한 마리 푸른 악어가 산다


--------------------------------------------

송찬호의 시 <만년필>의 전문이다. 본인은 송찬호를 모른다. 본인도 한때는 시를 즐겨 읽었고 시집도 백여권 책꽂이에 꽂아두고는 있다. 다 옛날 이야기다. 문득 오늘자(2006.2.14.) 중앙일보 22면을 보다가 이 시를 발견했다. 도서출판 ‘작가’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문인들이 꼽은 지난해 가장 좋은 로 선정되었단다. 안타깝지만 사실을 말하자면 거품 부글거리는 이 잉크의 늪에서는, 시커먼 잉크가 점점 뻑뻑해지고 있을 뿐이다. 푸른 악어라니! 가당찮은 소리다.   


만년필하면 뭐니뭐니 해도 파커와 몽블랑!

IMF구제금융신청인가 뭐인가 할 때, 아무개 장관이 서명에 사용한 만년필이 몽블랑이었는데, 국가적 경제위기에 경제수장에게 고급 외제 만년필이 가당키나 하냐며 시끄럽기도 했었다. 그때 그 아무개장관은 선물받은 것이라고 답변했던거 같다. 아마도 맞는 말일 것이다. 자기돈 주고 그 비싼 만년필을 사지는 않았을 것이다. <바람의 그림자>에서 주인공이 갖고 싶어했던 만년필도 빅토르위고가 사용했다는 몽블랑 뭐시기 였다. 

 

그리고 또하나 파커 만년필,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공식 E=MC2(2가 아니고 제곱인데....)과 함께 광고에 등장하기도 했던 파커 만년필, 미완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첨탑 중에 제일 높은 첨탑 꼭대기가 만년필 촉으로 덮여있는 파커만년필 광고도 잊을 수 없다. 사실 그 광고는 내마음을 만년필보다 바르셀로나로 떠나 보내고 있었다. 아! 스페인에 한 번 가봤으면, 알함브라가 있는 그라나다. 톨레도,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세비야.... 그건 그런데....만년필 하나 사고싶다.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것이 아니라 잉크넣은 만년필로 노트에 뭐라도 끄적여 보고 싶다.  

 

광두정이 무엇인가 했다.  대가리를 둥글넓적하게 만든 못이란다. 일명 대갈못이라고도 한단다. 우리나라 말은 참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쿠가와 이에야스 21 - 제3부 천하통일
야마오카 소하치 지음, 이길진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5월
구판절판


그 무렴 후지와라 세이카, 요시다 오키야스, 아카마츠 히로미치 등의 학자와 교유가 깊었던 조선사람 강항은 도쿠가와 가문과 모리 가문의 부를 비교하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에야스의 땅에서 수확되는 미곡은 이백오십만 석이라고 하나 실제로는 그 곱에 달한다. 테루모토의 금은도 이에 못지않다......이에야스는 칸토에서 쿄토에 이르기까지 미곡으로 길을 만들수 있고, 테루모토는 산요와 산인에서 쿄토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량을 은전으로 가설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248쪽

강항은 1567년에 생하여 1618년에 졸했다. 자는 태초(太初), 호는 수은(睡隱), 사숙재(私淑齋)를 쓴다. 영광 출생이다.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97년 정유재란시 의병을 일으켰으나 고향인 영광이 함락되자 가족과 함께 해로를 통해 탈출하려다가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1598년 교토(京都)의 후시미성(伏見城)으로 이송되어 이곳에서 후지와라 세이카, 아카마쓰 히로미치 등 학자와 교류하며 성리학을 가르쳤고, 특히 후지와라는 그에게 배운 것을 토대로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되었다. 일본 억류 중 사서오경의 화훈본(和訓本) 간행에 참여, 그 발문을 썼고, 소학, 근사록 등 16종의 글을 수록한 <강항휘초(姜沆彙抄)>가 일본의 내각문고(內閣文庫)에 소장되어있다고 한다. 1600년 위에 나오는 두명의 일본학자의 도움으로 가족과 함께 귀국했다. -붉은돼지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06-02-12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보다가 우리나라 사람 이름이 나오면 눈이 커진다. 도쿠가와 21권의 부제는 <파멸의 조짐>이다. 히데요시의 후계자 히데요리가 말그대로 유아였기에 히데요시가 죽은 후의 혼란을 어쩔수 없는 일어었을 것이다. 드디어 일본이 동서로 나뉘어 건곤일척 한판 대판 싸움을 벌이려하고 있다. 이름하여 세키가하라전투의 서막이 올랐다.

모든 전쟁은 결국 권력투쟁의 부산물이 아닌감. 신불, 평화 운운하는 이에야스가 정말 느끼하다. 하기사 이에야스가 정말 그러했는지는 알수 없는 일이니, 그보다 야마오카 소하지의 이에야스 해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말이 더 맞겠다. 책 표지에 저자 스스로 이책을 인간성의 이상과 평화에의 꿈을 집요하게 추구한 이상소설이라고 했다고 하니, 저자의 이에야스 해석이 이상적인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소하지가 정말로 평화를 바랐는지도 모른다. 또 일본의 개개인들을 그러했는지는 모르지만 국가로서의 일본은 언제나 위협적이고 전투적이어서 끊임없이 대륙으로의 진출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조선전쟁에서는 대륙진출에 실패했지만 2차대전에서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그래도 대륙의 일부인 만주를 경영한 경험도 있으니 비록 일본국민 개인 몇명이 평화를 염원한다고 하더라도 일본이라는 국가는 대동아경영의 꿈을 포기하지 못한것 같아 두렵고 안타깝다.
 

 

구마모토성은 가등청정(가토 기요마사)이 이른바 임진왜란을 통해 얻은 축성술로 1601부터 1607까지 7년에 걸쳐 쌓은 성이다. 본인 보무도 당당하게 입성하던 날, 성내에는 환호하는 인파대신 축성 400년 기념 어쩌고 하는 플랜카드만 쓸쓸히 펄럭이고 있었다. 오사카성, 나고야성과 더불어 일본의 3대성중 하나라고 한다.

 

성내에 수령 수백년 넘는 오래된 나무들이 많아서 놀랐다. 일본의 성이라는 것이 성 하나만 달랑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고 성내가 굉장히 넓다는 데 또 놀랐다. 말하자면 지방영주가 사는 일종의 궁전이라 할 수 있겠다. 다이묘인 성주가 기거하는 곳을 천수각(텐슈카쿠)이라고 한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역사가 있듯이 그들에게도 그들 나름의 전통과 긍지가 있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구마모토 성의 천수각>


7년간에 걸친 조선전쟁에서 히데요시의 명을 받들어 열심히 싸운 사람은 가등이었다. 소서행장(코니시 유키나가)은 전쟁이 속히 끝나기만을 바라 기만적인 화친을 추진하고 있었다. 두 사람 사이는 험악했고, 전쟁의 실상을 모르는 히데요시는 오히려 가등을 본국으로 소환하여 문책했지만 조선전쟁에서 히데요시의 충신은 가등이었다.

 

히데요시가 죽고, 조선전쟁이 끝나고......그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가등은 도쿠가와의 동군에 합류하여 히데요시의 총신 미츠나리가 총대장인 서군에 참전한 코니시와 대결하게 된다. 전쟁은 동군의 압승으로 끝나고 코니시는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세키가하라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는 기세를 몰아 결국 히데요시의 아들 히데요리를 제거하고 천하를 손에 넣게 된다. 노부나가와 히데요시가 열심히 빚어놓은 "천하"라는 떡을 꿀꺽한 사람은 도쿠가와였다. 세상사가 그런 것이다. 가등이 끝까지 히데요시의 충신이었던 것은 아니다. 

 


<
구마모토성 입구에 있는 가등의 동상>

 


<구마모토 성내 전시실에 보관되어 있는 가등의 군선(전쟁때 쓰는 부채)>


<구마모토성 내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당시 귀부인들이 타던 가마>


<밤의 구마모토(웅본)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피드림~ 2006-02-10 14: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전 명성황후시해를 다룬 다큐를 보았는데, 황후의 시해에 적극가담한 자들의 반 수 이상이 구마모토 출신이라고 하더군요. 그 후손들이 황후를 시해한 자기 조상의 죄를 사죄하겠다고 해서 매우 인상적이었는데, 보셨나 모르겠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작가가 쓴 "가토 기요마사"라는 평전도 있어요. 일제시대때 일본문단에서 활동한 '장혁주' 라는 소설가였죠. 그는 일본이 패전하고 일본에 귀화해 버린 친일파였죠.일본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는 연구되지도 않고 거의 잊혀져 버린 작가입니다.

붉은돼지 2006-02-12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리적으로 큐슈가 반도진출의 거점이 될 수밖에 없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목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열독중인데 읽을수록 재미가 새롭습니다. 다음 타자로 <료마가 간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장혁주라는 작가는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그의 <가토 기요마사>도 한 번 읽어 보고 싶군요..물론 구할 수도 없겠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 1 - 1부 대망
야마오카 소하치 원작, 요코야마 미쯔데루 극화, 이길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인터넷상에 나타난 이미지만으로 볼 때는 책표지에 수염 덥수룩한 중후한 일본 무장이 등장하고 오른쪽의 한글 제목과 왼쪽의 한문 제목도 모두 그럴듯하여 무언가 묵직하니 무게감을 느끼게도 했던 것인데, 내용의 그림을 처음 보는 순간. 앗! 이건 바벨2세잖아! 요런! 요미도 나오는군!! 그렇다. 어릴 때 몹시도 재미있게 봤던 <바벨2세> 작가의 그림이었다. 요코야마 미쯔데루! <철인28호>의 작가이기도 하다. 386쯤은 되어야 알 것이다


삼국지를 재해석(?)한 만화 <창천항로>를 몇 권 본 적이 있는데, 일본만화 특유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조금 거슬리기도 했지만 꽤 흥미 진진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난다. 이 만화 <도쿠가와 이에야스> 표지를 처음 봤을 때 그 비슷한 내용을 상상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조금 의외고 약간 실망이다. <창천항로>가 성인용이라면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아동용 같다는 생각이다. 


솔에서 나온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 32권을 두어해 전에 완독하고 작년 말부터 다시 읽기 시작해서 지금 21권을 읽고 있다. 두 번째 읽어도 역시 어려운 것은 사람 이름이다. 일본 전국시대 무사들은 어릴 때 이름 따로, 커서 이름 따로, 수시로 이름이 바뀌고, 이름 중간에 또 관직명이 들어가서 비슷한 이름이 너무 많고, 정식이름으로 부르다가 줄여서 부르다가 혹은 성만 부르기도 하고 해서 무척 헷갈린다. 이 놈이 그 놈 같은데, 저 놈은 또 어느 놈인지...내참...


그런 연유로 인하여 만화로 보게 되면 인물 구별이 더 쉽지 않을까 기대를 했었는데, 이건 이 사람도 바벨2세, 저 사람도 요미, 헷갈리기는 매 일반이다. 다만 막연하게 상상하던 장면장면들이 만화로 형상화되어 이해에 도움이 되었지만 사실적이고 치밀한 그림은 아니어서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닌 것 같다. 청소년용으로는 매우 적당하다는 생각이다.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32권)>를 읽어 보려는 청소년 여러분은 먼저 이 만화(전13권)를 한번 보고 소설 읽기를 권장한다. 소설이 훨씬 재미있게 읽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 : 기업을 살리는 웃음의 기술

저자 : 가도카와 요시히코

역자 : 양내윤, 윤복만, 이요셉

이번 특강은 엄밀히 말하자면 저자특강은 아니다. 저자 가도카와 요시히코는 52년생으로 명치대 출신이다. 저자가 바다건너 대구까지 올 일도 없을 뿐더러, 우리공장 예산으로 저자를 초청하기도 어려울 것이고 설령 온다고 하더라도 일어 하는 사람 별로 없다. 세분의 역자중에 현재 <한국웃음경영연구소> 소장으로 계시는 이요셉 소장님이 강사로 초청되었다. 고향이 안동이고 70년생이란다. 생각보다 어리다.

무슨 농담같다. 웃음경영연구소라는 것이 실재하다는 사실이. 별걸 다 연구하는구나 하는 생각이다. 사실 이 책을 다 읽지는 못했다. 처음 50페이지 가량 읽다가 그만 두었는데, 그 이유를 굳이 말하자면 본인은 이상하게 이러한 처세서나 경영전략서류의 도서에는 왠지 반감이 생기는 모난 성격이다. 그래서 출세를 못하고 있기도 하다. 남들이 다 재미있다고 하는 베스트셀러를 거부하는 심정 비슷하다.


연이나, 특강은 유용했다는 생각이다. 웃는 얼굴에 침 못뱉는다. 웃으면 복이온다. 등등의 속담이 없더라도 웃음이 우리 생활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것에 이견은 없다. 웃을 일이 있어야 웃을 것 아니냐는 반론도 의미없다. 웃으면 웃을 일이 생긴단다. 고인들은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웃으면 복이오지 복이와서 웃는 것이 아니다. 웃는 연습하느라 안면근육이 뻐근하고 박수치느라 손바닥이 얼얼하다. 문자 그대로 박장대소, 파안대소 해본 것이 언제였지, 돌이켜보니 아득하다. 뭘 한다고 사는 것이 그리 팍팍했던가.


최고의 VIP는 가족이라는 말도 오래 기억에 남을 말이다. 그리고, 감사하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가족에게 감사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20여년간 아내에게 고맙다는 말을 한 번도 안해본 남편이 이요셉 소장의 특강을 듣고 용기를 내어 부인에게 “고맙다”는 말을 했단다.  한참을 빤히 쳐다보던 부인이 말했단다. “니, 무슨 사고 쳤지?” 일소일소(一笑一少) 일노일노(一怒一老)’라는 말이 있다. 앞으로는 많이 웃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