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신 

아직은 미명이다. 강진의 하늘 강진의 벌판 새벽이 당도하길 기다리며 죽로차를 달이는 치운 계절, 학연아 남해바다를 건너 牛頭峰을 넘어오다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문풍지에 숨겨둔 내 귀하나 부질없이 부질없이 서울의 기별이 그립고, 흑산도로 끌려가신 약전형님의 안부가 그립다. 저희들끼리 풀리며 쓸리어가는 얼음장 밑 찬 물소리에도 열 손톱들이 젖어 흐느끼고 깊은 어둠의 끝을 헤치다 손톱마저 다 닳아 스러지는 謫所의 밤이여, 강진의 밤은 너무 깊고 어둡구나. 목포, 해남, 광주 더 멀리 나간 마음들이 지친 봉두난발을 끌고와 이 악문 찬 물소리와 함께 흘러가고 아득하여라, 정말 아득하여라. 처음도 끝도 찾을 수 없는 미명의 저편은 나의 눈물인가 무덤인가 등잔불 밝혀도 등뼈 자옥이 깎고 가는 바람소리 머리 풀어 온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구나

 

제2신

이 깊고 긴 겨울밤들을 예감했을까 봄날 텃밭에다 무우를 심었다. 여름 한철 노오란 무우꽃이 피어 가끔 벌, 나비들이 찾아와 동무해주더니 이제 그 중 큰 놈 몇 개를 뽑아 너와지붕 추녀 끝으로 고드름이 열리는 새벽까지 밤을 재워 무우채를 썰면, 절망을 쓸면, 보은산 컹컹 울부짖는 승냥이 울음소리가 두렵지 않고 유배보다 더 독한 어둠이 두렵지 않구나. 어쩌다 폭설이 지는 밤이면 등잔불을 이루어 詩經講義補를 엮는다. 학연아 나이가 들수록 그리움이며 한이라는 것도 속절이 없어 첫해에는 산이라도 날려보낼 것 같은 그리움이,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이 폭설에 갇혀 서울로 가는 길이란 길은 모두 하얗게 지워지는 밤, 四宜齊에 앉아 시 몇 줄을 읽으면 세상의 법도 왕가의 법도 흘러가는 법, 힘줄 고운 한들이 삭아서 흘러가고 그리움도 남해바다로 흘러가 섬을 만드누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百年묵은문어가밤마다사람으로변신하여그고을單하나착한처녀를꼬셨드

란다온갖날多島海해떨어지는저녁마다진주를물어다주고진주를물어다주

고장인장모몰래서방노릇석달열흘진주알이서말하고도한되


처녀는달밤이좋아라달밤을기달리고그러던中무서워라냉수사발을떨어뜨

려깨어진날먹구름이끼고달지는어둠새끼손가락약속은무너지고사랑이보

이지않는칠흑같은어둠속아주까리불심지는뱀처럼흔들거려타는구나


이승에서의信標거울은몸안에돋는가시만보이다갈라지고모든주문들의효

력도별처럼흘러가고돌아오지않는사람을몸달아흘리는신음으로손에땀적

시며문빗장풀어놓고동백기름먹인알몸뚱이꼬며全身으로기다리는구나


돌연門빗살에엄지손톱만한구멍이뚫리고새가슴으로놀라는어머니한숨줄

기눈물줄기앞서거니뒤서거니줄을잇고아이고폭폭해서나는못살겠네보름

달대신배가불러오는理由끝끝내는쫓겨났드란다


그날以後로빛나는눈빛을생각하며바다를바라보며하루이틀사흘헤어보는

손가락접고진주알진주알문고리휘어지는아히를낳았고아히가자라면서바

라보이는바다는부활이다부활이다


깊고넓은바다어둠파도따라하얀치마말기적시며죽음속으로떠난어매의유

언을만나면턱고이는아히는오늘도등대불을밝히기위해섬을올라가는구나

'깊은바다홀로외눈뜨신이여어메데불고길잘돌아오시라'



----------------------------------------------------------------


199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이다. 당시의 오세영 시인과 김종해 시인의 심사평이다. “갯바위섬 등대는 무속적 테마를 시적으로 형상화시키는 데 성공한 작품이다. 모든 시가 이러한 세계를 지향해야 될 이유는 없으나 요즘 유행하고 있는 젊은 시인들의 시적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임영봉 씨의 작품은 충분히 개성적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임영봉씨의 시에는 물론 긴장된 정서적 갈등이나 지적인 이미지의 반짝거림 같은 것은 없다. 그러나 그에게는 심원한 상상력의 깊이와 언어를 다루는 남다른 감수성이 있다. 노력하면 앞으로 좋은 시를 쓸 수 있는 분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모 일간지 모모한 기자의 불로그에서 퍼왔다.  아마 2~3년 전이지 싶다 .       

미술 전공한 그 기자 외국으로 공부하러 떠나고 불로그는 아마 닫혔던 것 같다.

미당시중에서  <질마재 신화>에 나오는 시편들은 제일 좋아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식이 자랑이 아니라는 것은 당연지사겠지만 그렇다고 부끄러운 일도 아닐 것이고, 자왈 지지이지지요부지이부지이시지야라 어쩌고 저쩌구리....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바로 아는 것이고, 알지 못하는 것을 부끄러워 할 것이 아니라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하느니라 뭐라는 옛 성현의 뜻깊은 말씀도 들은 바가 있거니와, 말하자면 글 읽는 사람의 학문하는 자세를 일컬음이랄 것이다.


문진이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과거에도 물론 있었고, 앞으로도 여전히 있을 것이 분명한 것으로, 국어사전상의 의미는 이렇다. [문진(文鎭) : 서진(書鎭), 책장이나 종이쪽이 바람에 흐트러지지 못하게 누르는 물건] 어린시절 서예를 배울 때, 화선지를 누르고 있던 물건이 바로 문진되겠다. 분명 본인도 옛날에 그 문진이라는‘물건’은 보아 왔다. 다만 그것의 명칭이‘문진’이라는 것을 몰랐던 것인데 


그런데, 두어 해 전에 <아빠와 함께한 베니스여행>이라는 꽤 괜찮은 책을 보다가 여기서 문제의 문진이라는 것이 등장하는데, 도대체 문진이란 무엇인지, 그림이 나와있는데도 도무지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알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여차저차해서 알아보니 문진이란 아항~ 바로 그렇고 그런 물건이었던 것이었다. 



요지를 말하자면 문진이라는 것의 정체를 삼십이 훨씬 넘은 나이에 알게 되었고, 그것도 글하는 선비를 자처하는 본인으로 문진을 몰랐다는 것이 심히 부끄럽다는 말이다. 그런 생각이 가슴에 사무쳐 자책하고 있던 차제에 모 사이트에서 문득 반지의 제왕 문진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순간, 본인 가슴에 품었던 부끄러움과 영화 <반지의 제왕>에 대한 애정이 ‘영희 철이 크로스’하여 지름신으로 화하여 강림하였던 것이다.

 

반지의 제왕 1에 등장하는 <두개의 석상>과 반지의 제왕 3에 등장하는 <미나스트리스>가 내부에 레이져로 새겨진 아크릴 문진이다. 두개의 가격이 64,000원이다. 우리 마누래는 또 쓸데없는 거 샀다고 야단이다. ‘하나에 15000원 정도 하겠네’ 하길래 ‘그래 두개 32000원 줬다’고 뽕때렸다. 거짓말에 능한 성격은 아니지만 사실대로 말했다가는 뚜디리맞아 죽을까봐 겁이나서 어쩔수 없었다.



참고로 이 액자는 <반지의 제왕> DVD 구입하고 받은 소책자에서 마음에 드는 사진을 오려서 본인 심혈을 기울여 직접 만든 액자다. 이 액자를 얻는 대신 반지의 제왕 소책자는 걸레가 되었다. 



왼쪽부터 <반지원정대>, <두개의 탑>, <왕의 귀환> 되겠다....아시다시피

<두개의 탑>에서 바람을 맞고 서있는 에오윈의 모습이 왠지 처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어느 날 갑자기

젊은 들꽃이 되어

이 바다 앞에 서면

나는 긴 열병 끝에 온

어지러움을 일으켜

여행을 시작할 것이다.


망각의 해변에

몸을 열어 눕히고

행복한 우리 누이여.

쓸려간 인파는

아직도 외면하고

사랑은 이렇게

작은 것이었구나.

 

-----------------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에 등장하는 이 시는 마종기의 연가 시리즈 중 4편에 해당한다. 강석 김해영이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싱글벙글쑈>에서 강가의 돌 강석이 맨날천날 부르는 그 <경아>가 등장하는 소설이다. 순진무구하고 천진난만한 아가씨 경아가 남자들에게 이용만 당하고 버림받자 결국 알콜중독자가 되어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는 그런 내용이다. 신파고 통속이다. 소설로도 영화로도 성공했다. 성능이 386은 되어야 알 수 있겠다.


최인호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소년문사로 당대에 이름을 날렸다. 천재라고들 했다. 최인호가 신춘문예에 당선된 것이 아마 고등학교 때 였을 것이다. 황석영도 고등학교 2학년 때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최인호는 당선이었지만 황석영은 입선이었다. 이문열이 삼십이 넘어 그것도 지방지를 통해 겨우 등단한 것에 비하자면 대단한 문재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