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네프의 연인들 CE - [할인행사], 완전 무삭제판
레오 까낙스 감독, 줄리엣 비노쉬 외 출연 / 이지컴퍼니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문어대가리 마냥 머리에는 털이라는 털은 한 터레기도 남아있지 않는 넘이 불 뿜는 용도 아닌 것이 입으로는 불을 토해내며 그 불로 자기 팔을 지지고하는 그런 위험천만의 곡예를 하는 녀석하고, 눈알이 빠져 없어져 버릴 그러한 절체절명의 치명적인 위기에 처한 자포자기의 막가는 처녀 화가하고. 둘이 발광 용을 쓰는, 말하자면 별 거지같은 사랑이야기인데, 줄리에트 비노쉬가 막가파가 확실하다는 것은, 그 우둘뚜둘한 벽에다 주먹을 갖다대고 긁어 버리는 피가 질질 유혈이 낭자했던 그 오금저린 장면에서 여실히 드러났으니, 본인은 심사가 처절해져 차마 두 눈 뜨고는 볼 수가 없어서 한 눈은 찌부려 감고 나머지 한 눈을 겨우 떠서 간신히 보았던 것이다.

우리네 관습이란 거지들은 주로 다리아래에 서식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야네들은 다리위에서 주로 죽때리고 있더라나. 그넘의 다리가 요상하게 예술적으로 생겨 먹은 것이 여관방 객실처럼 차 나다니는 길에서 하나씩 똑똑 동그랗게 떨어져 나가앉아 있는 공간이 있어서, 집구석에서 쫓겨났든 지발로 기어나왔든 어쨌든간에 집없는 아새이들 한 밤새기에 안성마춤일러라. 비오거나 일기 악천후시에는 애로가 과중할 것이나 어차피 집나오면 고생이고, 이 막가파 처녀화가가 루브르박물관 문지기 할배에게 육보시를 하고, 그 대가로 천국의 열쇠를 얻어내어 모두 자빠져 자고 있는 깊은 밤, 어두운 밤, 촛불하나 외로이 밝혀 들고 박물관으로 잠입하여 울며 쓰다듬으며 황홀하게 바라본 그 그림이 램브란트의 자화상이라는데, 영화를 볼때는 그것이 램브란트 자화상이었는지 뭐였는지 무식한 본인은 몰랐다. 나중에 듣기로 그렇다고 하니 그런줄로 알았다.


여기서 의문 하나, 박물관의 문지기 영감은 왜 뒈져버렸나? 늙어빠진 육신이 가졌던 덧없고 허망한 욕망의 값이 죽음이라!! 하기사 죄의 값은 사망이라 했던가, 허나 내 생각에 영감 너무 오바한 것 같아. 강가에 신발 두 켤레만 달랑 남겨두고 말이지. 막가파 처녀화가는 결국 실명하여 영감탱이가 빠져 죽은 그 강물에 몸을 날려 수장되고, 문어대가리는 제 입에서 나온 불로 제 몸을 불살라 등신불이 되어 화장되어야 할 것인데....화려한 불꽃놀이에 모타보트, 사랑의 유람선으로 이 영화를 끝낸다는 건 아무래도 조금 아쉽다. 연이나 년넘둘이 회오리바람처럼....팽팽... 팽이같이 미쳐 돌아가는 포스터는 일품이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06-02-20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재를 정리하면서 페이퍼에 있던 것을 리뷰로 옮겨왔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23 - 제3부 천하통일
야마오카 소하치 지음, 이길진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23권의 부제는 <새로운 지도>이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이에야스가 일본 전국(全國)을 떡 주무르듯이 하여 새로운 지도를 만들고 있다는 내용이다. 코니시 유키나가(소서행장)가 죽었다. 아시다시피 임진년 전쟁중 일본군 무장 3인의 면면이란 코니시를 비롯하여 카토 기요마사(가등청정), 쿠로다 나가마사(흑전장전) 되겠다. 텔레비전 사극 같은 걸 보다보면 임진왜란 즈음해서는 이런 장면을 많이 보게된다. 조선반도 지도가 나오고 커다란 화살표 3개가 대한해협을 건너 조선을 가로지르는 그래픽이 나오면서 성우의 설명이 뒤따른다. 임진년 히데요시의 명을 받든 조선 침략군 제1군은 고니시 군으로 어디어디를 거쳐 어디로, 제2군은 가토군으로 경상좌도를 거쳐 어쩌고, 제3군 쿠로다 군은 경상우도를 거쳐 어쩌고 저쩌고.....

도요토미 사후 일본 천하판도를 판가름하는 세키가하라전투에서 도쿠가와 반대편에 참전했던 코니시는 전투가 동군(도쿠가와군)의 승리로 끝나자 체포되어 참수되었다. 그 잘려진 머리가 쿄토의 한 다리위에  효수되었다. 특이하게 코니시는 여타 수다한 일본 무사들의 ‘니미 배짼다. 목댕강 해라!’ 할복의 전범을 따르지 않았다. 그는 천주교 신자라 자살을 할 수 없었다 한다. 1600년의 일이다. 이건 여담인데, 일본에서 천주교가 처음 유입된 것이 아마도 덕천막부 수립전 전국(戰國)시대인 것 같다. 일본에서의 천주교 탄압이 대단했으며 순교자도 엄청 나왔다는 이야기를 언젠가 친구로부터 들은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처음 들어온 것이 조선조말이었으니 우리보다 한 200년 빠른게 된다.


같은 히데요시의 가신이었으나 도쿠가와군에 가담한 가토와 쿠로다는 어떻게 되었나?  카토 기요마사는 쿠마모토에서 24만석 영지를 더 받아 54만석의 큰 다이묘가 되었고, 18만석 쿠로다 나가마사도 후쿠오카에서 50여만석의 큰 다이묘가 되었다 한다. 이 책을 보니 일본 영주들은 그 세력의 크고 작음을 쌀 소출량으로 가늠하고 있는데,(당시 이에야스는 일본 동부지방에 300여만석의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무력의 계산도 여기에 따른다. 영지 100석에 병사 20명하는 식으로 계산하여 10만석의 다이묘는 2만명 정도의 군사를 동원할 수 있었다. 누구는 몇 석, 누구는 몇 석하는 것이 마치 옛날에 진짜로 재미있게 봤던 만화 <드래곤볼>에서 이놈의 파워는 얼마, 저놈의 파워는 얼마 어쩌고 하던 것 비슷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흐린 날엔 텃밭에 나가

익모초 잎을 딴다.

초막 뒤로 지는 노을

시린 팔목도 굽은 어깨도

진눈깨비에 젖어 흐르다 보면

못다한 이승의 아름다움

쑥대궁 뿌리마다 단단히 박아 두고

어즈버 내 없는 날

봄 푸른 들판 되어

꽃피고 새움이 돋듯 그렇게

다시 살았거라 두고온 것들도 수런대며

돌아와 뒤뜰 동백잎 함께 아물어갈 때

일어나 터지거라 터지고도 모자라면

또다시 누워 채마밭이 되고 새암이 되고

먼 데서 오는 한 벗 구름뿐인 고요가 되고

슬픔이 되어 내 묻힌 노지나 묘등에

땅만 보고 섰을 풀줄기 되라

 

----------------------


유배란 성격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환도, 부처, 안치가 그것이다. 환도(還徒)란 죄인을 고향에서 천리이상 떨어진 곳으로 강제이주시키는 형벌이다. 증보문헌비고를 보면 장100에 유 2000리, 장100에 유 3000리 등의 유형으로 세분되는데(물론 장은 곤장을 말한다. 곤장을 백대나 때리고 천리밖으로 쫓아내니 그 형벌이 참으로 가혹하다 할만하다.) 좁은 조선국토에 3천리가 나올수 없으니 유배길을 구불구불 왔다갔다해서 3천리를 채우는 곡행(曲行)이라는 편법이 사용되기도 했다. 부처(付處)는 중도부처의 준말로 주로 관원들에게 내려졌던 형벌로 유배지 관내 수령에게 유배인 관리의 재량권을 일임하였다.


안치(安置)는 유배인의 거주를 제한시키는 것으로 본향안치, 절도안치, 위리안치가 있다. 본향안치(本鄕安置)는 말 그대로 유배인을 고향에 안치시키는 것으로 죄질이 가장 가벼운 사람에게 적용되었다. 유배중에 가장 가혹한 조치인 절도안치(絶島安置)는 중죄인을 원악(遠惡)한 도서에 유폐시키는 방법이다. 윤선도가 보길도에, 김만중이 남해 노도, 추사와 광해군은 제주도에, 송자라 칭송받던 송시열이 83세의 나이로 안치된 곳도 제주도였다. 조선조에 유배된 지식인이 대략 700여명이고 그중 170여명이 전라도 제주도 일대에 유배되었으니, 제주도가 49명, 진도27명, 흑산도가 15명이라 한다. 집주위에 울타리를 치거나 가시 덤불을 쌓고 그 안에 유배인을 유폐시키는 것이 위리안치(圍籬安置)인데, 이는 상징적인 조치로 실제 유배인의 행동범위가 울타리 안으로만 제한된 것은 아니었다.  - 양진건 저  <그섬에 유배된 사람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절한 금자씨(2disc) : 디지팩
박찬욱 감독, 이영애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이런 말이 유행인지는 모르겠지만 혹 가다가 쓰는 사람도 꽤 있는 거 같다. 대체로 난감하다. 그렇다. 이 영화를 보고 감상이란 걸 쓸려고 하니 대체로 난감하다. 이건 여담인데, 그러니까 초등학교 시절인데, 5학년 때 학급 부회장이라는 걸 처음으로 하게 되었다. 그때도 무슨 평등 내지는 평준화 바람이 불었는지 보다 많은 학생에게 기회를 주자는 의미에서 학급 회장 부회장을 한달에 한번씩 돌아가면서 했다. 그러니까 방학 두 달정도 빼고 10달 곱하기 3명(회장 1명, 부회장2명)이면 30명, 왠만하면 회장,부회장을 한번은 해먹을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였다. 그때 선생님이 본인에게 하루동안 많이 떠들고 소란을 피운 사람 이름을 칠판에 적으라고 하셨는데,,,소심한 본인은 대단히 고심했던 기억이 난다. 함부로 적었다가 욕먹지는 않을까 걱정도 되고, 그래서 ‘대체로 조용했음’이라고 적을려고 하니 ‘체’자가 안“체”인지 바깥“채”인지 대단히 헷갈리는 것이었다. 그래서 또 대단히 고심을 하다가 어슴프레하게 안‘체’인지 바깥‘체’인지 잘 알아보지 못하게 어물쩍 흐릿하게 적어놓고 뒤통수를 긁으며 자리로 돌아왔던 일이 기억난다. 대체로 난감하다는 말을 하자 대체로에 대한 추억이 문득 떠올라 몇 자 끄적여 봤다.

본인은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을 보지 못했다. <친절한 금자씨>가 처음이다. 그 유명하다는 <올도보이>도 본다 본다 하면서 미루고 있다. 마누래가 잔혹한 장면이 나오는 영화를 안볼려고 해서 못보고 있는 것도 한 이유가 되겠다. <친절한 금자씨>는 디비디는 일주일전에 샀는데 보기는 어제 새벽에 봤다. (사실 디비디는 예**4에서 샀다. 알라딘이 제공하는 서재에 셋방 사는 주제에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는 것 같아 찜찜한 마음도 있다. 본인도 예전엔 플레티넘 회원이기도 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좀더 싼 싸이트로 옮기게 되었다. 알라딘에서 주관하는 서평단 모집에 몇 번 당첨되어 공짜로 책도 받고 하니 더 미안한 마음이 생긴다.) 내가 이 디비디를 산 이유를 말하자면 내용 보다 표지에 끌려서 이다. 이영애가 아름다운 건 세상이 다 아는 사실이지만 본인은 이영애를 그다지 흠모하고 있지는 않다. 그런데 이 디비디 표지의 이영애 눈을 보자 사지 않고는 베길수가 없었던 것이다. 안사주면 나에게 무언가 친절하게 복수를 할 지도 모른다는 엉뚱한 생각도 들었다 말았다 오락가락 했다.


감상은 앞에서도 말했지만 대체로 난감했다. 본인이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이 아니고, 우리가 영화를 보는 이유는 대체로 재미와 감동 때문일 것이다. 재미가 있거나, 아니면 감동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영화를 만든 사람도 먹고 살 수있고 영화를 본 사람도 돈 아깝다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되어 누이좋고 매부좋고 그런 원만한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뭐 ‘눈 배맀다. 돈 돌리도!!’ 이런 것은 아니다.


영화의 줄거리는 간단순하다 어린이 유괴 살인의 죄를 뒤집어 쓴 금자가 진짜 살인자인 백선생에게 복수한다는 내용이다. 죄짓지 말고 살라는 교훈이다. 백선생이야 무지막지한 천인공노할 무도한 놈이지만 금자씨도 결코 친절하고 깨끗한 것 만은 아니다. 그녀도 교도소에서 사람을 죽였고 복수를 위해 개도 한 마리 쏴 죽였다. 화면의 대부분에서 눈발이 날렸고 백선생에게 만행이 저질러졌던 교정은 온통 눈 밭이었다. 눈은 금자가 바라는 ‘깨끗함’의 상징이지만 녹으면 질척해지는 것이고, 그녀가 출소할 때, 더 이상 죄짓지 않기 위한 의식으로 두부 먹기를 거절했으므로 백선생을 처단하고(복수를 하고) 나서 하얀 생크림 케익을 먹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죄를 씻고 깨끗하게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복수’가 아니라 ‘용서’인 것이다. 복수로는 ‘be white’ 할 수 없다는 말이다. 금자도 그것을 알았다. 그러나 그건 성인들의 몫이었다. 필부필부의 마음은 결국 복수심에 활활 불타오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금자는 그 아까운 케익을 먹지 못하고 머리를 처박고 울었다는 말이다.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간의 작은 놈은 라이타 올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