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플랜 - 위기의 한반도 외교, 바이든의 해법은 무엇인가?
이승원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바이든? 사실 반갑지만은 않다. 2021년의 문을 여는 바이든 행정부는 오바마 3기 내각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오바마 어게인이다.'오바마'라면 지체없이 떠오르는 불쾌한 기억들이 의외로 많다. 주한 미군의 탄저균 극비실험, 일본의 집단 자위권 지지 ,2015년 12ㅈ월 한일 위안부 합의 종용,2016년 11월 지소미아(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압박,2016년 사드(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와 중구의 보복,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까지,네오콘 부시 대통령을 대첼한 데다 더 없이 지적이며 젊고 좋은 이미지를 가졌던 오바마에 대해 한국인을 포함한 세계인들은 대체로 상당한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25-)


미국은 자국을 앞지르는 강국 중국도 원치 않지만 시진핑이 밝힌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은 더더욱 바라는 바가 아니다.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 이후 경제적 협력과 문화적 교류 등을 통해 '낡은 이념'을 버리고 점차 자본주의화 될 것이라는 기대와 일당독재가 아닌 민주적인 시스템을 장착한 사회로의 변화까지 내심 기대해왔다. (-104-)


"마오쩌둥과 김일성 주석 등 항일 경험을 공유한 세대가 모두 사망하면서 북한과 중국 정권은 이제 '교과서 혈맹 관계를 배운'이들이 움직이고 있다." (-177-)


김대중 전 대통령과 클린턴 전 대통령은 협력했고 클린턴은 임기 말에 평양 방문까지 고려했다. 노무현과 부시는 초반에 불화했지만 9.19 공동성명을 이끌어내는 등 협력했고,임기 후반 부시는 평화조약까지 언급했다. 문재인과 트럼프 역시 세차례 북민 정상회담(싱가포르,하노이,판문점)을 여는 등 대북 문제에 대해 대체로 협력해왔다.오바마와 이명박 박근혜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협력했다.

이제는 바이든이다.'전략적 인내' ,이제는 잊을 시간이다. (-247-)


오바마 시대가 가고,트럼프 시대가 왔다.그리고 트럼프 시대가 가고 바이든 시대가 왔다.그 사이에 대한민국은 세명의 대통령이 있었고,외교 문제에 있어서 미국과 협력과 견제,유화책을 통해 전략적 제휴를 맺게 되었다.말 그대로 전략적 제휴이지만,실질적으로는 미국 주도의 제휴였으며, 많은 외교적인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바이든은 이슈에 약하다.하지만 우리가 넘어서야 하는 큰 산임에는 틀림 없는 미국의 수장이다. 북미관계,미중관계의 경계에서 한국은 항상 외교적으로 국게관계에 있어서 휩쓸렸기 때문이다. 저자는 특히 북미관계의 약화, 도돌이표가 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트럼프 시대에 남한과 북한은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였지만, 닿을 듯 닿지 못하는 남북관계를 형성하게 된다.이런 모습이 앞으로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대외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오마바 행정부가 실질적으로 국제관계에서 우위를 점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을 압박할 가능성은 더욱 커져갔으며, 북한은 다시 미사일과 핵무기를 자신의 협상 카드로 쓸 가능성이 더욱 커져가게 된다. 저자는 바로 이런 부분들을 우려하고 있었다.소위 바이든이 대통려이 되기 전 그가 말했던 북한 관련 발언들이 앞으로 4년동안 ,최장 8년동안 진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그러면 당장 내년에 있을 대한민국 새로운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끼칠 것이며,문재인 정부 다음 정부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외교적인 마찰은 불가피하다.몸으로 익혔던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들은 이제 교과서로 익힌 사회주의 정책이 실현될 것이며,그안에서 미국과 한국, 북한과 일본,러시아까지 서로 맞물려 돌아갈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시한 하루 시 같은 순간
박종민 지음 / SISO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위섬

머리가 복잡한데
고민거리를 자꾸 올려주면
내 고민은 어쩌란 말인가(-23-)


어린왕자

멀리 가려면
조금 늦더라도 돌아가
품고 가든지

보아뱀처럼 미련하게 삼키지 말고.(-40-)


유년의 기억

붕어빵 한 봉디 손에 쥐고
터벅터벅 걸어오던 아버지 발걸음 소리에
졸린 눈 비비고 골목으로 뛰어 나왔던 그시절
그런 아버지 그런 아들,아직도 있을까 (-84-)


삶이란 게,참

테스 형, 보고 있나요?
세월의  모가지를 비틀어서
끌고 올라가는 내 모습
어떤 어르신
오늘은 거미인간이 되셨다. (-111-)


웃음의 조건

우울하다고?
웃을 일이 없다고?
웃을 준빅다 안 된 거겠지
입 모양만 마꿔봐
저 아이처럼 (-124-)


메멘토 모리

죽음은 강도처럼 찾아왔다.
육신을 주렁주렁 매달아놓고
부릅뜬 눈 보고서도
느끼는 건 뭐 없니?9-167-)


도시의 기둥

이보게
설마 우릴 베어버리진 않겠지?

염려말게
우리까지 사라지면 다 무너지는 거야
머리가 있으면 그런 미친 짓을 하겠나 (-197-)


한해가 지나갔다.그리고 새해가 시작되었다.나는 한살을 더 먹게 되었다. 견디고 또 견디면서,행복한 순간이 찾아올 것 같았던 우리의 삶이 어느덧 해가 바뀌었고, 세상은 또 견디라고 한다. 시시한 하루,지루한 하루, 멍하니 무언가를 바라보는 날들이 많아졌고,좋은 것을 보아도 좋아할 수 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TV 속 모습은 행복이 사라진 그 상태에 있다.얼굴에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민폐가 되어 버렸으며,웃음이 사라진 하루 하루를 보내게 된다.디지털 문명 속에서 기술과 과학을 맹신하는 우리에게 , 2020년은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되고,그안에서 내안의 삶에 대한 성찰과 고찰,삶의 트라우마와 마주하게 된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아날로그적인 삶,얷지로 웃는 삶, 돌아가는 삶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된다. 그리고 멈춤의 시간이 필요하다. 멈춤은 내 앞에 놓여진 사람과 사물읋 깊 이 볼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쉽게 얻고, 쉽게 가질 수 있는 사회 안에서 살아가다 보니,어느 덧 내 앞에 놓여진 것들에 대한 소중함을 잃어버리고 살아가고 있었다. 이 책은 나에게 시적인 가치,시가 가져다 주는 힐링과 소확행을 이어나가게 되었다.주어진 것에 대해서 고마워 할 줄 알고,현재의 삶을 내 것으로 온전히 누리고 살아가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짧은 시와 사진 하나로 모든 것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반짝빤짝 저 불빛 아래 옹기종기 모여사는 도시인들의 삶은 결국 나의 삶을 아날로그적ㄷ인 삶에서 해방되어서 디지털화하고 있었다.놓치고 살아가는 것은 없는지, 삼키지 말아야 하는 것을 삼키고 있는 건 아닌지 꼽씹어 보게 된다. 아는 것을 잘 아는 것, 이해하는 것들을 더 깇이 들여다 보는 것,그것은 시를 사랑하는 것이며,시를 사랑하기 위해서는 내 앞에 놓여진 시간과 장소,사람과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삶이 필요하다. 그 안에서 나의 삶을 되돌아 보고,내 삶 속에서 나에게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하나 하나 생각하게 되고,내 삶의 속도를 조금씩 조금씩 느리게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게 된다. 온전히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권의 책 속에 시상과 시간이 담겨져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색깔 하나 바꿨을 뿐인데 모든 게 변했다
이현영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컬러인터렉터가 되어, 가장 첫번째로 만났던 사람의 이야기로 시작해볼까 해."
나는 사람들과의 첫 만남에서 나의 모든 것을 보여주려 하기보다,천천히 나누고 또 스며드는 것을 좋아한다.그러나 나를 가장 빠르게 드러내고 상대의 마음을 얻어야만 하는 순간들이 있다.특히 , 주어진 시간은 짧고 마음의 문은 굳게 닫힌, 위기청소년들과의 만남에선 더욱 그렇다. (-20-)


컬러테라피스트, 상담사 등의 전문가들이 해주는 역할은 분명 따로 있다.다만 누구든 타인을 만나기에 앞서, 자신을 한 번 더 마주해주고 내가 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봐줄 수 있다면 가장 좋지 않을까.언제든 어디서든 색깔은 내 곁에 있다.색깔과 만나는 연습은 이미 나와 글로 마음으로 시작하지 않았던가 .이제부터 내 안의 신호등이 고장 나지 않도록 살펴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나의 신호등으로 타인 그리고 세상마저 바꿀 수 있음을 기억해주길 바란다.(-75-)


주황색을 선택한 나에게
질문:흥분했나요 or 결핍되었나요.
치유 :재밌는 일,힘이 되는 자유를 선물하세요.
메시지:나를 진짜 웃게 해주세요. 적당한 억압도 나만의 자유의 즐기는 데 필요합니다. (-104-)



혹시, 내가 평소 시원시원한 파란색이라 하더라도 나의 그 누군가가, 단 한 사람 앞에서만큼은 관심과 챙김을 받고 싶은 핑크로 보이고 싶을 때도 있지 않던가.그럴 때면 보이고 싶은 핑크의 컬러 성향을 살펴보는 것과 더불어 상대가 어떤 색깔로 빛나고 있는지도 살펴보면 더욱 좋겠다. 당신도 언제나 책임감 강한 파란색일 필요는 없다.가끔은 슬픈 일의 파랑이가 되기도 하고, 언제든 내가 선택할 때면 긍정 아이콘의 노랑이가 될수도 있다. 당신도 알고 보면 스스로 자신의 색깔을 선택하여 변화할 수 있는 카멜레온이었는지도 모른다.(-172-) 


혹시 나를 색깔로 표현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쉽게 떠오르지 않는다면,파란 하늘 또는 붉은 노을,푸른 산과 같은 이미지로 연상시켜 봐도 좋습니다.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에서 나오듯, 사실 우리 안에는 무지개 빛깔이 매순간,선택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똑같은 빨강이라 하더라도 버럭이로 드러낼지,열정이로 나타날 것인지 또한 나의 몫이지 않을까요.오늘 선택한 나의 색깔은 빨주노초파남보 어떤 모습으로 함께 했나요.내가 가장 좋아하는 색깔을 고르듯 ,내 생각과 감정들 모두 나 자신만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205-)


우리는 매일 색을 만난다.그리고 인지하며, 행동하고,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우리느 자신을 스스로 바꿔 나가는 에너지를 색을 통해서 얻게 된다.Meet-Know-Act-Change-Transform 이 흐름은 색을 이해하는 과정 속에 있으며, 나의 감정,나의 상황,나의 조건은 색과 결합되어서,나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또한 우리는 색에 대해서 민감하고, 타인을 볼 때, 그 사람의 색을 무의식으로 습득하면서, 문화와 사회를 형성하며,직업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현대인들은 유채색보다 무채색에 가깝다.회사 안에서 자신의 색을 유채색에서 무채색으로 바꾸는 이유는 그안에서 동질감과 안정감,보수성을 드러면서, 자신이 안전한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고 자신을 숨긴다. 반면 우리는 자신의 개성과 취미, 성향과 가까운 일을 할 때는 그만의 색을 보여줄 수 있다.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함께 하는 사람들이각자 다른 색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즉 이 책에서 우리는 사람을 평가하고 이해할 때,색의 관점으로 다가갈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즉 누군가 처음 만나고,그 사람의 마음으로 만들고 싶을 대,나의 색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즉 색은 인식과 자각의 영역 속에 내면과 함께 한다.그 과정에서 자신의 가치를 바꾸며, 자신의 상황이 바뀌면, 스스로 힘과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자신의 색을 달리하게 된다. 우리가 옷을 새로운 옷으로 바꿔 입고,기분이 울적할 때면 쇼핑을 즐기는 이유, 집에 옷이 산적해 있지만 입을 옷이 없다고 말하는 이유는 어쩌면 나의 마음과 감정과 에너지와 함께 하는 색을 찾지 못하고 있는게 아닐까,책을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늘의 인간
이훈보 지음 / 바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절판


230-1.jpg


230-2.jpg


230-3.jpg


230-4.jpg


230-5.jpg


암기를 멈춘 것이다.정확히 말하면 암기에 회의를 느껴 암기를 하는 순간마다 암기라는 행위 자체에 찬반토론이 벌어져 그 효율이 극단적으로 벌어지기 시작했다. 전에는 생각없이 욱여 넣는 편이었다면 그날을 계기로 모자란 머리에 의심을 더해 욱여넣는 효율과 면적이 줄어들고 말았다. (-52-)


적벌함과 정확함을 찾으려는노력은 언제나 필요하다.마음을 담아서 정확한 이야기를 전달하고 오해를 사지 않는 것은 서로에 대한 존중함을 바탕으로 하는 건강한 관게가 아닐까.어렵다고 도피하거나 그렇게까지 노력하지 않악도 이미 자신이 상대방보다 말의 권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충 말해도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얼버무리는 것은 경계해야 하는 것 아닐까. 실젤 우리는 삶에서 얼버무려 말하고 질책하는 사람들을 의외로 많이 만나는 것을 떠올려 보는 것도 이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119-)


지나치게 모자람이 없이 치우치지도 아니한 것이 정말 중용일까? 과연 그게 정답일까? 하는 생각을 며칠 째 하다 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개인의삶이라면,그리고 지금이 생존이 치열한 시대라면 중용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상당히 그럴 듯한 생존의 방식이 아닌가. 깨달음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방식으로도 훌륭한 것이 중용의 자세일 듯하다. 누구에게도 척지지 않고 어디서도 나서지 않는 한가운데라니 얼마나 좋은가.(-192-)


국가가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은 국가를 만들 것이다. 이미 국가가 있는 상태에서 태어나면 국가에 속하게 된다. 국민과 영토가 설정된 후에는 주권의 소유 대상과 영향 범위에 따라 자세한 제도와 형태를 구축한다. (-249-)


"유명하지 않은 사람이 너무 거대한 이야기를 합니다."(-253-)


진보한다는 것,무한대로 나아간다는 것은 약동하는 삶을 통해 무엇이든 이룰 수 있을 것만 같은 멋진 말로 다가오지만 실은 아득하고 막막하고 끔찍한 신기루에 가까운 것이 아닐까.진보한다는 것은 그 길에서 '누구나' '언제든' 피로로 나자빠질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329-)


공공성이라는 게 참 애매하다.모든 사람들이 지양하는 바가 달라서 빨간색을 더 지지하는 사람과 파란색을 더 지지하는 사람이 있다고 했을 때 내용이 한쪽의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무작정 공공성에 합당하지 않다고 비난할 수는 없는 문제다. 하지만 언론에서 악의적 목적을 갖고 진실을 호도하거나 감추는 형태의 경우는 분명 존재하고 이럴 때는 충분히 공공성을 들먹일 만하지 않을까.(-420-)


우리 사회는 복잡하고,불완전하며,불확실하다.그 안에서 우리는 배움을 추구하고,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문제는 우리가 추구하는 지식은 편협된 암기에서 시작되어,암기에서 끝난다는 것이다.그런 지식은 죽은 지식에 가까우며, 가짜 지식에 근접하고 있었다. 이제 시대는 바뀌고 있다.저자처럼 암기가 중요한 시대는 이제 점점 더 흐려질 가능성이 터져가고 잇다.인간이 ai에게 암기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밀리기 때문이다.현대 사회는 암기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생각과 가치관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한 시대에 살아가고 있었다.


이 책은 개념을 말하고 있다.미디어가 발달하면서,우리가 쓰는 언어의 문제점들이 도마위에 오르게 된다. 말이 아닌 글로 쓰여진 언어는 매순간 평가받고, 매순간 언론들이 자신의 입맛에 맞게 재단하는 핑계꺼리가 되고 있다.그럴 때 이 책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고, 내가 놓치고 있는 것들을 가려낼 수 있다.특히 지금 현 시대는 정확환 언어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확한 언어를 쓰는 것을 더 우선하고 있다.특히 상황이나 조건에 정확한 말을 씀으로서, 일을 수습하지 못하고, 더 키우는 경우가 있다.적합한 언어와 정확한 언어의 차이는 바로 공감과 설득 안에 있었다.


이 책은 나를 평가하게 된다. 내 안의 당연한 것과 당연하지 않은 것들,저자는 그것을 두루 살펴보고 잇었다.저자의 당연한 것이 나의 당연한 것과 합치할 때,나의 개념은 확고한 정당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렇지 않을 때, 나와 저자는 서로 평등한 합의 관계에 놓여지게 되고,설득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나는 서서히 바뀔 수 있다. 배움이란 그런 것이다.나르 깨트리지 않으면,배움은 소멸될 개연성이 있다.하지만 나를 깨트리고,파괴할 용기가 있다면, 나는 언제 어디서나 새로운 가치로 나를 도드라지게 만들 수 있다.이 책을 통해서 나는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게 되었고,내가 생각한 당여한 것들 속에 숨겨진 모순과 위선돌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를 위해 대신 생각해줄 필요는 없다 - ‘정상’ 권력을 부수는 글쓰기에 대하여
이라영 지음 / 문예출판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29-1.jpg


229-2.jpg


229-3.jpg


229-4.jpg


229-5.jpg


229-6.jpg


229-7.jpg

 

 


익히 잘 알려진 사건인 미국 국무장관을 간간하자는 발언부터 나꼼수 비키니 사건까지 김용민은 여러 차례 강한 비판을 받았다.한두번은 실수지만 매번 비판을 받았음에도 반복적으로 이런 '실수'가 일어난다면 그게 과연 실수인가.그는 이번 사건에 대해 "생각이 짧았다"라며 사과했다. (-66-)


과거에는 내게 은둔이 매력적이지 않았다.은둔은 사회와 단절된 채 자신을 은폐시키며 세상의 갈등을 회피하는 자세라 생각했다.요즘은 그 생각이 점점 바뀌어간다.인정받기에 대한 불안을 잠재울 용기가 없으며 은둔할 수 없다.대부분은 '셀러브리티'를 욕망하지는 않더라도 '노바디Nobody'가 될까 봐 두려워한다. 그에 빟라면 '무명인' ,곧 '나는 아무나다'라고 말하는 자세는 내면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단단함이 있기에 가능하다.(-193-)


일반적으로 10대 여성이 제 가슴을 두고 '젖가슴'이라 부르지는 않는다. 여성의 가슴을 두고 '젖가슴'이라 부르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주로 그 가슴을 바라보는 남성 사람들이다. 이문장의 화자는 여학생이 아니라 그 여학생을 바라보는 '어떤 남성'이 되어버린다.(-261-)


예를 들어 '좌파'학자로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슬라보예 지첵은 '경제적 투쟁의 우선성'을 강조하며 '정체성 정치의 한계'에 맞설 것을 강조한다. 백인 남성의 위치에서 오늘날 '정체성 정치'를 오히려 왜곡되게 전달하며,나아가 이 '한계'에 맞서 '계급'우선주의를 강조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인다.(-355-)


이 책은 예술사회학을 연구하는 이라영의 저서이며, 우리사회의 문화 정치 경제, 역사 전반에서 여성의 권위를 분석해 나가고 있었다.인간의 생각은 가치를 만들어 내고,그 가치는 공통된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이제 시대를 거치면서,우리의 언어는 고착화되었으며,남성에 최적화된 언어, 남성중심적인 폭력적인 언어에 길들여지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이 책은 남성에게는 익숙하지만,여성에게는 낯선 언어의 특징, 수동적인 여성의 모습이 아닌 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우리 사회의 혐오와 폭력,피해자 코스프레가 나타나고 있으며,유명인사의 잘못된 발언의 웡인이 어디에 있는지 고찰해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 언어는 평등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남성에 기울어진 언어의 특징,언제나 자신이 쓰는 언어의 핵심 근원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언어의 본질을 살펴보고 있었다.남성과 여성에게 보편적으로 있는 몸의 신체 부위조차도,그 안에 감춰져 있는 언어의 불편부당함이 숨겨져 있었다.젖가슴이라는 단어조차도 ,여성이 쓰는 언어가 아닌 남성이 쓰는 언어였다.노브라도 마찬가지다. 이런 특징은 남여의 차이 뿐만 아니라 지역적이며,편파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모 연예인의 자살의 원인이 되었다. 언어는 지역적이며,권력지향적이다. 내가 사는 곳에 대해서 잘못된 발언을 하는 작가와 정치인들의 말실수가 바로 그런 예이다.타인을 생각하지 않는 언어는 사회적인 배척을 갖둥시키고 있었다. 즉 주관적이면서,자기중심적인 언어는 권력지향적이며, 사회적 지위와 위치를 형성하고 있었다.그 과정에서 언어의 잘잘못을 인식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구태적인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스스로 무엇을 바꿔 나가야 하는지 하나 하나 고민해 볼 여지는 충분히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