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3 - 응답하라1988 그 시집 - 서울 대학가 서클 시 모음 174편 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3
사회와 문학을 생각하는 모임 엮음 / 스타북스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방가운 책이었다...20여년전 나와서 대히트를 쳤던 <슬픈 우리 젊은 날> 이 책이 다시 복간이 되었으며 그당시의 책의 느낌을 한번 더 알 수 있었다..그리고 책에 담겨진 글과 이야기 그리고 문체들은 30년전 쓰여졌던 문체들과 흡사하였으며 지금은 사라진 '~읍니다'체를 다시 볼 수 있어서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이 복간될 수 잇었던 건 드라마 <응답하라 1988> 때문이었다..그 드라마에 나왔던 이 책에 대한 이야기..그럼으로서 이 책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으며 그 당시 베스트셀러라는 걸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그럼으로서 그때를 기억하는 이들은 이 책이 다시 나오기를 원하였고 잚은 층은 부모님들의 대학생활은 어떠했을까 상상할 수 있었다..그리고 나에게 잊혀졌던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를 책을 읽으면서 떠올릴 수 있었다..


1980년대...젊은 청춘들이 가지고 있었던 것은 낭만이었다..남녀가 사랑을 하고 낭만을 추구하면서 지킬것은 지키려 노력하였다..그리고 그 안에 철학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자신이 가진 고민들을 해결하려 했으며 자신이 가진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민하고 고민했다는 점이었다..그러나 그 당시 권력을 가졌던 이들에게 맞서서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그들은 자신들이 권력을 얻게 되면서 언제 그랬냐는 듯 배신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당시 낭만과 사랑은 구시대의 유물인양 생각하며 우리들 기억속에 지워졌다는 점이었다..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권력을 가지지 않았을 땐 자신이 가지지 못하였기에 좌절해야 했으며 상식이 아닌 사회를 상식이 있는 사회로 바꾸려 했다는 점이었다..그리고 시대 정신을 가지고 우리의 부족한 철학을 외부에서 끌어들이고 그 가치를 배우려 했다는 점이었다.. 스스로 권력을 가지면서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자신과 비슷한 아바타가 등장하여 자신들을 위협할 때 느낄 수 있는 상실감..그래서 그들은 제도와 법으로서 자신들이 가졌던 고민과 낭만과 철학을 못하게 막고 있다는 점이었다...억압에 맞써 싸웠던 그들에게서 느끼는 그런 배신감 ...그것을 책에 담겨진 낙서와 흔적들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우리 곁에서 그 당시의 시대정신이 실종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시와 문학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 많이 변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익숙한 문체로 이루어진 책이었지만 그 안에 담겨진 글조차 익숙하였지만,이상하게도 글 안에 숨겨진 의미와 가치들은 어색하게 다가왔다...달라진 나의 시선으로 1980년대의 그들의 시선과 충돌하였으며..충돌의 본질은 그들의 생각이 이제는 먹히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었다..그리고 세상이 달라짐으로서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는 것..그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걸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에 나오는 박중훈과 강수연의 풋풋한 모습들을 다시 느껴 보고 싶었다..물론 그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스터리한 인물 보물섬 역을 맡았던 김세준의 모습도 기억해 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2 - 응답하라1988 그 시집 - 전국 대학가 낙서 시 모음 241편 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2
사회와 문학을 생각하는 모임 엮음 / 스타북스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방가운 책이었다...20여년전 나와서 대히트를 쳤던 <슬픈 우리 젊은 날> 이 책이 다시 복간이 되었으며 그당시의 책의 느낌을 한번 더 알 수 있었다..그리고 책에 담겨진 글과 이야기 그리고 문체들은 30년전 쓰여졌던 문체들과 흡사하였으며 지금은 사라진 '~읍니다'체를 다시 볼 수 있어서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이 복간될 수 잇었던 건 드라마 <응답하라 1988> 때문이었다..그 드라마에 나왔던 이 책에 대한 이야기..그럼으로서 이 책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으며 그 당시 베스트셀러라는 걸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그럼으로서 그때를 기억하는 이들은 이 책이 다시 나오기를 원하였고 잚은 층은 부모님들의 대학생활은 어떠했을까 상상할 수 있었다..그리고 나에게 잊혀졌던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를 책을 읽으면서 떠올릴 수 있었다..


1980년대...젊은 청춘들이 가지고 있었던 것은 낭만이었다..남녀가 사랑을 하고 낭만을 추구하면서 지킬것은 지키려 노력하였다..그리고 그 안에 철학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자신이 가진 고민들을 해결하려 했으며 자신이 가진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민하고 고민했다는 점이었다..그러나 그 당시 권력을 가졌던 이들에게 맞서서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그들은 자신들이 권력을 얻게 되면서 언제 그랬냐는 듯 배신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당시 낭만과 사랑은 구시대의 유물인양 생각하며 우리들 기억속에 지워졌다는 점이었다..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권력을 가지지 않았을 땐 자신이 가지지 못하였기에 좌절해야 했으며 상식이 아닌 사회를 상식이 있는 사회로 바꾸려 했다는 점이었다..그리고 시대 정신을 가지고 우리의 부족한 철학을 외부에서 끌어들이고 그 가치를 배우려 했다는 점이었다.. 스스로 권력을 가지면서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자신과 비슷한 아바타가 등장하여 자신들을 위협할 때 느낄 수 있는 상실감..그래서 그들은 제도와 법으로서 자신들이 가졌던 고민과 낭만과 철학을 못하게 막고 있다는 점이었다...억압에 맞써 싸웠던 그들에게서 느끼는 그런 배신감 ...그것을 책에 담겨진 낙서와 흔적들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우리 곁에서 그 당시의 시대정신이 실종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시와 문학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 많이 변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익숙한 문체로 이루어진 책이었지만 그 안에 담겨진 글조차 익숙하였지만,이상하게도 글 안에 숨겨진 의미와 가치들은 어색하게 다가왔다...달라진 나의 시선으로 1980년대의 그들의 시선과 충돌하였으며..충돌의 본질은 그들의 생각이 이제는 먹히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었다..그리고 세상이 달라짐으로서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는 것..그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걸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에 나오는 박중훈과 강수연의 풋풋한 모습들을 다시 느껴 보고 싶었다..물론 그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스터리한 인물 보물섬 역을 맡았던 김세준의 모습도 기억해 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1 - 응답하라1988 그 시집 - 서울 대학가 익명 시 모음 208편 슬픈 우리 젊은 날 복각판 1
사회와 문학을 생각하는 모임 엮음 / 스타북스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방가운 책이었다...20여년전 나와서 대히트를 쳤던 <슬픈 우리 젊은 날> 이 책이 다시 복간이 되었으며 그당시의 책의 느낌을 한번 더 알 수 있었다..그리고 책에 담겨진 글과 이야기 그리고 문체들은 30년전 쓰여졌던 문체들과 흡사하였으며 지금은 사라진 '~읍니다'체를 다시 볼 수 있어서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이 복간될 수 잇었던 건 드라마 <응답하라 1988> 때문이었다..그 드라마에 나왔던 이 책에 대한 이야기..그럼으로서 이 책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으며 그 당시 베스트셀러라는 걸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그럼으로서 그때를 기억하는 이들은 이 책이 다시 나오기를 원하였고 잚은 층은 부모님들의 대학생활은 어떠했을까 상상할 수 있었다..그리고 나에게 잊혀졌던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 를 책을 읽으면서 떠올릴 수 있었다..


1980년대...젊은 청춘들이 가지고 있었던 것은 낭만이었다..남녀가 사랑을 하고 낭만을 추구하면서 지킬것은 지키려 노력하였다..그리고 그 안에 철학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자신이 가진 고민들을 해결하려 했으며 자신이 가진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민하고 고민했다는 점이었다..그러나 그 당시 권력을 가졌던 이들에게 맞서서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그들은 자신들이 권력을 얻게 되면서 언제 그랬냐는 듯 배신을 하게 된다...그리고 그 당시 낭만과 사랑은 구시대의 유물인양 생각하며 우리들 기억속에 지워졌다는 점이었다..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권력을 가지지 않았을 땐 자신이 가지지 못하였기에 좌절해야 했으며 상식이 아닌 사회를 상식이 있는 사회로 바꾸려 했다는 점이었다..그리고 시대 정신을 가지고 우리의 부족한 철학을 외부에서 끌어들이고 그 가치를 배우려 했다는 점이었다.. 스스로 권력을 가지면서 그들은 두려웠을 것이다..자신과 비슷한 아바타가 등장하여 자신들을 위협할 때 느낄 수 있는 상실감..그래서 그들은 제도와 법으로서 자신들이 가졌던 고민과 낭만과 철학을 못하게 막고 있다는 점이었다...억압에 맞써 싸웠던 그들에게서 느끼는 그런 배신감 ...그것을 책에 담겨진 낙서와 흔적들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우리 곁에서 그 당시의 시대정신이 실종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시와 문학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 많이 변했다는 걸 알 수 있었다...익숙한 문체로 이루어진 책이었지만 그 안에 담겨진 글조차 익숙하였지만,이상하게도 글 안에 숨겨진 의미와 가치들은 어색하게 다가왔다...달라진 나의 시선으로 1980년대의 그들의 시선과 충돌하였으며..충돌의 본질은 그들의 생각이 이제는 먹히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었다..그리고 세상이 달라짐으로서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는 것..그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걸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그리고 영화 <미미와 철수의 청춘 스케치>에 나오는 박중훈과 강수연의 풋풋한 모습들을 다시 느껴 보고 싶었다..물론 그 영화 속에 등장하는 미스터리한 인물 보물섬 역을 맡았던 김세준의 모습도 기억해 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건 치미교 1960
문병욱 지음 / 리오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건 치미교 1960>은 과거 일제 시대 백백교를 모티브로 하여 쓰여진 소설이었다..사이비 종교와 그 종교를 믿는 이들에게 구원을 해 준다는 걸 핑계로 개인적인 영욕을 채우려 했던 사건..그로 인하여 300여명이 죽음을 맞이했다는 것이었다.이 사건을 계기로 일제가 저질렀던 것은 사이비 종교 퇴출을 빙자한 고문과 그당시 사람들을 죽음의 구렁텅이로 밀어넣었다는 걸 역사 속에서 알 수 있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던 2014년 우리 사회에 존재감을 드러내었던 금수원과 유병언이 생각이 났으으며 유병언의 모습이 바로 소설속에 등장하는 곽해용과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이었다..그 당시 금수원에 진입조차 못하였으며 검사들이 금수원에서 유병언을 잡기 위해 신도들에 막현치 돌아가야 했으며,강제 진압이 아닌 타협을 해야만 했던 모습..그들은 그곳에서 수색을 하였지만 수색이 아닌 잠을 잤다는 것이 들통나게 된다..우리 사회 곳곳에서 우리들을 좀먹는 신흥 사이비 종교는 세력을 확장하면서 신도들 뿐만 아니라 정치와 권력과 밀착하게 되면서 서로가 서로의 약점을 잡고 이용한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소설 속에서도 그런 모습이 여전히 드러난다는 점이었다..


치미교 곽해용이라는 인물..그가 사이비 종교를 만들고 신도들을 모을 수 있었던 건 소설 속에 등장하는 735 부대(우리는 통칭 731 부대로 더 잘 알려진...)에서 생체실험을 하면서 알음 알음 배웠던 의학 지식들이었다..이유없이 죽어가야 했던 사람들은 해용이 가진 의학 지식으로 자신의 가족들이 살아나는 것이 신기해 했으며 그들의 아비들은 아진의 딸을 비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게 된다.. 그럼으로서 해용 스스로 종교를 만들고 세력을 점점 더 확장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데..


강상원은 이 사이비 종교에 입문한 아버지 강철곤과 누이동생 연수를 빼내오기 위해서 직접 이곳을 직접 찾아 들어가게 된다..그리고 그는 이 안에서 결정적인 물증을 찾기 위해 해용에게 적극 적인 신뢰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해용은 자신의 깊숙한 실체를 상원에게 보여줌으로서 상원 스스로 무덤을 파게 만들려는 그런 모습을 느낄 수 있다..소설 속에서 해용은 상원이 허튼 짓을 하게 만들도록 감시를 붙이지만 감시가 허술한 틈을 타서 치미교의 정체를 세상 속에 드러나게 된다..그것은 소설속에 등장하는 의학전문기자 진수를 통해서였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 여전히 치미교와 같은 사비이 종교가 왜 여전히 존재 하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면 인간의 은밀한 욕망 때문이라는 걸 알 수 있다..그 안에 나타나는 권력이라는 실체...권력을 가지고 있지만 돈이 없는 자와 돈은 없지만 권력이 필요한 자들..그들은 서로가 필요했으며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그들은 서로를 신뢰하지 않기에 그들이 잡고 있는 약점..그 약점을 가지고 서로가 필요한 것을 얻으려 한다는 점과 욕망을 채우려 한다는 걸 알 수 있는 그런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만 나처럼 살 수 있다
이요셉.김채송화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이란 무엇일까..그리고 우리는 행복을 찾으려고 노력을 하는 걸까...그건 주변 사람이 대부분 행복해 보이기 때문이다...나보다 하나 더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 보이고..그들은 행복해 보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이었다..그리고 방송 매체에 보여주는 사람들은 모두들 행복해 보이는 이야기들과 감동적인 이야기들만 보여주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그것이 우리가 행복을 갈구하는 원인이라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행복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책을 읽으면서 알 수 있었다..


행복 연습이란 바로 행복을 나에게 불러들이는 연습이었다...나를 불안하게 하는 것,분노를 자아내는 것과 멀리 하는 것..그것이 바로 행복을 불러 일으킨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나에게 행복을 만들어 주고 생성해 주는 이들과 가까이 하면 가랑비에 옷 젖는줄 모르듯이 나에게 조금씩 행복이 찾아온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나 스스로 왜 행복한지 그 이유를 하나 둘 알게 된다는 점이었다..


감사함을 알고 느끼는 것..그것은 행복이었다..내가 가지지 못한 것에 인생을 맞춘다면 힘들수 밖에 없으며 세상의 삶이 버거울 수 밖에 없다..그리고 그것이 모이고 모여  불행을 만들어간다는 점이었다..내가 가지지 않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내가 가진 것에 초점을 맞추어 행복을 찾아가는 것..그리고 그것에 최선을 다하는 것..그것이 바로 나에게 찾아오는 행복이었다.


책에서는 행복을 습관화 하면 행복이 저절로 찾아온다고 하였으며 일상생활에서 웃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바로 행복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는 점이었다..하지만 행복을 만들어 가고 행복을 전도해 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과 일반 직장을 가지고 가정을 이루는 사람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책에서 이야기 하는 것들을 일상 생활에서 갑자기 실천하고 행동으로 옮긴다면 주변 사람들이 나에게 이상한 사람이라고 먼저 생각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책에 담겨진 이야기들은 참고하되 일상생활에서 행복한 일들을 만들어가고 생각하는 것,여기에 내가 가진 행복을 나누는 것..그것이 바로 나에게 그리고 다른 이에게 행복을 누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행복과 불행은 우리의 생각과 우리의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나의 삶을 불행에 초점을 맞춘다면 끝없이 불행해 질 것이며,행복에 촛점을 맞춘다면 작은 것에도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었다..이처럼 행복이란 나의 생각과 마음에서 시작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