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떡아빠
김세호 지음 / 단한권의책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개떡아빠..이 소설을 읽으면서 이상하게 마음이 찡하였습니다..소설 속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가 아니었으니까요..바로 나의 이야기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어릴 적 제 기억속의 이야기가 많이 담겨져 있었습니다..그렇게 이 소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없던 그 시절 이야기가 담겨져 있으며 소설 속 주인공 세호의 마음을 이해할수가 있었습니다..


소설 속에 나오는 아빠는 할머니를 끔찍히 생각하고 챙겨주는 그런 효자 아빠였습니다. 맛있는 것을 사와도 할머니에게 먼저 드리는 것은 당연한 것처럼. 가족은 안중에도 없었던 그런 아빠였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이들은 생각하지 않는 것에 대한 엄마의 서운함. 그것은 부부싸움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으며 그 속내는 바로 첫째 딸이 태어날 때 엄마가 겪었던 서운함이 묻어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세호에게 있어서 형과 누나는 자신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멘토이자 도우미였으며 성장하면서 지금 아이들을 알지 못하는 잡지들을 알게 되었고, 그 잡지 안에는 모르는 단어 투성이었기에 제대로 이햐하지 못하였습니다.., 


센베이 과자..그것은 할머니가 가장 좋아하는 과자였엿던 것입니다..지금처럼 먹을 것이 많지 않았던 그

시절 센베이 과자 한 뭉치였으면 신나서 그것만 물고 있었죠..그렇게 센베이 과자 속에서 느껴지는 것은 우리의 과거의 추억이자 향수였던 것입니다...


지금은 100원짜리 동전하나로 사먹을 수 잇는 것이 많지 않았지만 그땐 100원 하나만 있어도 구슬 여러개,쫀디기 그리고 오락실에서 뿅뿅뿅 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100원 동전하나로 친구들과 어울리고 즐기면서 선미라는 아이를 좋아했던 세호의 모습..그러나 스스로 가진 열등감에 좋아한다는 말 한마디 못하게 됩니다..


책을 읽으면서 그땐 왜 그랬는지 모르겠습니다. 순진한건지 바보스러운 것인지. 지금처럼 정보가 많지 않았던 그 땐 누구를 좋아한다는 것조차 부끄러움 그 자체였던 것입니다..그리고 엄마가 아픈 것이 자기 잘못 인양 생각하면서 미안해 하는 모습. 우리가 잊고 지낸 과거의 모습이 아닌가 생각할 수 있는 그런 책입니다.어릴 적 추억을 생각해 주는 개떡 아빠 ..많은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선택을 이끄는 엄마, 코칭맘 - 주도성을 가진 상위 10% 특별한 아이로 만드는 코칭맘의 39가지 교육법
정은경 지음 / 라온북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아이에게 있어서엄마의 존재는 든든한 지원군일 것입니다..특히 엄마에게서 느끼는 심리적인 안정감..그것은 자기 편을 들어주는 누군가가 잇다는 그 느낌을 아이는 알 수 있고 느낄 수 있습니다..여기서 우리의 문제점은 그 낭정감에 너무 집착한다는 것입니다..그것이 아이 스스로 독립할 수 있는 기회조차 박탈한단느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물론 그것에 대해서 이 책에서 지적하고 있습니다..




코칭이라는 것은 아이에게 가르치고 따라 오고록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그것을 여기서 알 수 있습니다..


코칭이란 답을 바로 제시하지 않고 자신의 탁월함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깨닫고 해결책을 찾아 행동으로 옮겨 변화 될 수 있도록 돕는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엄마의 모습은 이런 코칭 방식이 아닌 아이의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판단력을 기준으로 아이를 키우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물론 그것은 엄마의 마음속에 내재된 불안과 걱정 때문입니다..



부모가 자녀의 인생을 주도 하는 이유는 바로 엄마가 가지는 판단과 기준이 아이의 기준과 틀리기 때문이며 아이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부모의 생각과 습관에 있습니다..아이는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판단력이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은 아이 스스로 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엄마는 점점 더 헬리콥터 부모로 변한다는 것을 책에서 이야기 하고 있었습니다.



아이가 가진 최고의 장점은 채워지지 않았다는 것이고,그 채워지지 않은 그 공간에 호기심과 창의력을 채워 나가는 것..그것은 바로 어떤 문제에 대해서 여러가지 답을 내놓는 것이며,그 과정에서 새로운 것을 알아낸다는 것입니다..그것이 바로 우리가 말하는 창의력의 본질이며,여기에 엄마가 간섭을 하면 아이 스스로 답을 찾아 가는 그것을 잃어버린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이와 어른의 차이는 바로 경험입니다..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그것을 찾는데 조금더 걸릴 수 있다는 것..그 과정을 생략한 채 답을 미리 알려준다면 스스로 편한것만 찾으려 한다는 것입니다..아이는 스스로 무언가를 찾으려는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아이를 관찰하면서 아이가 보지 못하는 것을 알려주는 것은 좋지만 간섭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언제나 엄마는 아이의 든든한 지원군이자 멘토라는 것을 알게 해 주는 것..그것이 바로 이 책이 말하고 있는 본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멀고도 가까운 - 읽기, 쓰기, 고독, 연대에 관하여
리베카 솔닛 지음, 김현우 옮김 / 반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멀고도 가까운 것은 삶과 죽음일 것이다. 나와 가까이 함께 지냈던 이가 갑자기 나와 헤어진다면 남아있는 이들은 슬픔에 잠기게 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인생이며 죽은이들을 예우하는 것.그리고 남아있는 이들을 위로하고 보듬는 것은, 어쩌면 세상을 떠난 이를 위한 것이 아닌  나 자신을 위한 것일수도 있다는 것..그것을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가 있었다. 그리고 죽음 그 자체에 대해서 작가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었다.


이 책은 리베카 솔닛의 신간으로서 알츠 하이머 병에 걸린 어머니를 세상에 보내고 하나둘 자신이 기억하였던 것들이 사라져 가는 과정 그 하나하나를 담아내고 있었으며,그 안에서 삶과 죽음이란 무엇인지..담담하게 그려내고 있었다..그리고 죽음에 대한 가치,살아간다는 것에 의미를 부어한다는 것에 대해서 그  의미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자신의 일상적인 모습을 책에 투영하고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흑과 풀이라는 존재.사람이 세상을 떠나고 사라지면서 흙이 되어 가고 그 흙을 자양분으로 살아가는 풀이라는 존재. 우리는 그 흙과 풀을 무생물과 초식이 아닌 육식이라고 표현하는 저자의 생각. 그 의미는 무엇일까.그건 자연의 순환 법칙이다..자연이라는 것은 돌고 도는 과정에서 삶과 죽음이 만들어지고 누군가의 죽음은 어떤 것의 삶이 되어 가는 것이었다.인간이 흙의 자연분이 되고, 흙은 다시 풀의 자양분이 되고,그 풀은 다시 우리들의 자양분이 되는, 그런 자연의 섭리는 육식이냐 초식이냐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점이다..우리 스스로 언어의 틀에 갇혀 구분짓는 것에 대한 무의미함과 덧없음..그것을 저자는 이야기 하고 있었다.


희망과 기쁨과 행복 희망이 사라진다면 우리는 살아있어도 살아있지 않는 그런 존재라는 걸 알 수 있다..저자가 어머니가 가진 모든 것에 대해서 놓치고 상실되어 가는 그 과정을 지켜보면서 희망에 대해서 기쁨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은 무의미하였다는 걸 알 수가 있으며, 삶의 유한함에 대한 정의를 어머니를 통해서 느끼게 된다..그리고 언젠가는 자신도 어머니와 똑같은 그 삶과 죽음을 알고 느끼면서 살아갈 것이라는 거점이다 


알츠하이머 병에 걸린 어머니가 병원에서 2층에서 1층으로 내려가는 돌발적인 상황..자신의 실수에 대해서 반복하는 그런 모습들에서 느끼는 고통..그것은 상실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사랑하는 이가 떠나감에 대해서 한번더 생각해 보있을 것이고 어떤 것에 대한 무감각과 무감정,시간이 멈추어 있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아픔과 슬픔을 느꼈을 것이다..그리고 그것을 스스로 이겨내기 위해서 자신을 되돌아 보고 삶과 죽음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해 보았을 것이며 자신의 모습이 어머니의 거울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그리고 어머니는 자신의 거울을 보면서 분노를 하였던 건 자신이 감추고 싶엇던 걸 저자를 통해서 느끼고 알게 되었을 거라는 점..그걸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그리고 저자를 통해서 나의 어머니의 마음은 어떨지 생각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이 낳은 아이
이화연 지음, 박영 그림 / 하늘마음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화순 고인돌에 얽힌 창작동화입니다...떼메말의 넙적 바위에서 태어난 아이는 어느 날 돌의 정령에 의해서 마을로 내려가라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그래서 돌이 넣은 아이는 떼메말에서 마을사람과 어울리고 그릇손과 함께 지내면서 돌검과 돌화살촉,돌낫과 같은 수렵과 농업에 관한 일을 도와 주면서 살아가지요..

그러나 떼메말 족장이 죽고 새로운 떼메말 족장은 마을에 사는 동산이 되고 마을에 큰 비가 내립니다.. 그 큰비는 떼메말을 집어삼키고 마을 사람들은 물난리로 인하여 세상을 떠난 사람들의 영혼이 어디로 가지 않도록 괸돌을 만들어가기 시작하였습니다..그리고 돌이 낳은 아이는 동산을 대신하여 새 족장이 되고 큰 괸돌에는 세상을 떠난 족장의 시신을 모시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근두근 십 대, 나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만나다! - 호기심과 체험으로 우리가 직접 발견해 나가는 14가지 세상의 가치
김국태 외 지음 / 팜파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인가 놀이터에 아이들이 안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즐겁게 놀던 그네 조차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어른들.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기구들만 놀이터에 있다는 걸 알수있으며 과거의 그런 즐거움 조차 지금은 사라졌다는 것입니다. 10년 전만 하여도 아이들이 놀이터에 와서 친구들과 노는 모습. 그러나 점점 그런 모습이 사라지고 텅 비어있는 놀이터의 모습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우리 사회의 삭막함이었습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사라진 것은 놀이터 뿐만 아니라 일생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조그마한 즐거움 조차 놓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골목길에서 아이들이 다니는 모습이 사라진 그 공간에는 자동차만 보여지고 있으며 이웃과의 왕래도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관계가 단절된 모습. 그것은 우리가 편리함과 효율성을 우선시 하면서 소중한 것들을 하나둘 놓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는 그런 우리들이 놓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 하면서 그것을 다시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멍을 때리는 것. 수업시간에 아무 생각없이 있는 아이들에게 멍을 때린다는 표현을 씁니다.딴짓하고 있다는 그런 표현을 우리는 그렇게 쓰고 있으며,저자는 일상생활에서 멍을 때리는 것이 때로는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아무 생각이 없이 있다는 것은 뇌에게 휴식을 주는 것이며,다른 일을 새로 시작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시간을 채우고 채우려는 우리들의 질식된 생활패턴. 그 패턴에 잠시 휴식을 주는 것이 바로 멍을 때리는 것이었습니다.


나눔과 기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내가 가진 것들은 다른이에게 나누어 줌으로서 행복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다른 이에게 줌으로서 그 사람이 좋아하는 그런 모습을 보는 것. 그것이 우리에게 필요하다는 것이며 그것은 어른들이 십대 아이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하나의 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 가고 학원가고 스마트폰 마지면서 하루릉 지내는 반복된 생활 패턴. 지금 현재 즐겁지 않는데 앞으로의 미래가 즐거울수 있을까 생각해 보면 아니다라고 생각합니다. 미래에 똑같이 과거의 습관에 같혀 살텐데, 대학생만 되면 공부에 손을 놓는 우리들의 모습 뒤에는 공부의 즐거움을 알기 전에 공부를 강요하는 부모님과 사회시스템에 있다는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즐거운 공부가 아닌 공부가 삶이 되어버린 현상..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들의 원인에는 생각과 욕심을 채우려 하는 우리들의 자화상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십대 아이들이 바뀌려면 사회 시스템이 먼저 바뀌어야 하며, 그중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교욱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알아가는 것..성적을 기준으로 한 교육이 아닌 아이들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그런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책에서 그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