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거짓말 - 대마도, 그 진실은 무엇인가
서동인 지음, 이오봉 사진 / 주류성 / 2016년 2월
평점 :
조선의 거짓말이라고 쓰여진 이 책은 조선의 역사와 지도 속에 담겨진 대마도에 대한 역사적인 관점의 재해석과 우리가 생각하는 대마도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담겨져 있다. 우리의 역사교과서에 담겨진 왜구의 정체가 마로 대마도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역사교과서에서 왜구를 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고려와 조선시대에 그들을 양보와 타협 그리고 채찍을 통해서 그들을 대해왔다는 걸 알 수 있다.그렇게 할 수 밖에 없었던 건 대마도가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이판암 구조의 척박한 땅이었으며 소금과 고기를 구워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지역이라는 것과 일본의 지배영역에 속해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그럼으로서 그들은 스스로 먹거리를 해결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들에게 있어서 일본보다는 조선이 더 가까웠기 때문에 조선에 들어와 노략질을 일삼게 된다.
그들이 이렇게 노략질을 할 수 있었던 건 그 당시 서남해안이 섬이 많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 수군으로서는 그들을 방어하기에는 상대적으로 역부족일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그리고 조선 초기 세차례의 대마도 토벌을 했음에도 그들을 완전히 굴복시키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렇게 일본과 조선의 경계선에 있었던 대마도는 그래서 인후지처(咽喉之處)라고 불리우게 된다.그들은 조선과 일본 경계선에서 조선이 강하면 조선에 붙었다가 일본이 강하면 일본에 붙는 그런 외교방식을 선택하였으며,대마국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졌다.
왜구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일본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그 왜구는 일본이 아니었다는 것이다.그건 우리의 민족사관에 의해 잘못 해석된 것이며,우리 스스로 임진왜란으로 인한 역사적인 사실과 일본에 대한 반감을 역사에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왜구에 대해서 논하기 이전에 우리는 먼저 왜구의 실체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며,그들은 살길을 찾기 위해서 조선와 중국 요동을 선택했던 것이다. 대마도에 살고 있었던 왜구의 모습은 지금의 소말리아 해적과 비슷하였으며 우리는 북방의 여진족보다는 왜구 토벌이 더 힘들었다.
이렇게 책에서 말하는 대마도인의 대한 해석 차이.조선의 역사책과 지금 우리의 생각에는 대마도를 조선영토가 아닌 일본 영토라고 생각하지만 조선 신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그들과 물질적인 교류과 많았으며 조선중엽까지 그곳에 조선인이 들어가서 말을 방목해서 키웠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역사서 속에 남아 있는 대마도는 계림(鷄林)에 속한 땅이라는 그 해석에 대해서 신라를 의미하는 것인지 고려를 의미하는 것인지 역사학자들 사이에 해석이 분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물론 책에서 계림(鷄林)를 신라가 아닌 고려로 설정하고 있으며 대마도에 남아있는 고려의 흔적을 근거로 들고 있었다.
그렇게 척박하고 농사짓기 힘든 그 땅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던 건 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며,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대마도를 요새화 함으로서 그곳의 지리학적인 위치를 재확인 시켜주었다.일본은 강화도 조약을 통해서 그 땅을 일본 땅이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었으며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가 대마도주에게 결혼한 역사적인 이야기까지 책을 통해서 알 수가 있다.
책을 읽으면서 의구심이 한가지 들었다.독도는 우리땅이라는 것이 확실하며 우리는 조선의 지도와 세계의 지도를 증거로 내밀고 있다는 것이다.그런 논리라면 우리는 대마도도 우리의 땅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그렇지만 실제 그렇지 못한 것은 역사 문헌에서 대마도에 대해서 조선땅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기에 우리는 그 땅을 우리땅이라고 할 수가 없다는 점이며,독도가 우리 땅이라고 내세울때 필요한 것은 조선의 지도 뿐 아니라 우리가 이야기 하지 않는 역사 문헌 속에 기록된 독도에 대한 명확한 이야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일본은 그것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그럼으로서 일본에게 빌미를 만들고 있다는 점과,그 당시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 외교력의 무능함을 알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