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싸움 동아리 ㅣ 어린이 희곡집 1
오완 지음, 박진아 그림 / 노란돼지 / 2022년 8월
평점 :
교실에서 연극을 해보고 싶어도 마땅한 대본을 구하기 어렵다는 말을 얼마 전까지 했었는데, 이제는 그것도 옛말이 되어버린 것 같다. 몇 년 사이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주로 유명한 창작동화나 옛이야기를 각색한 희곡집이 대부분인 가운데, 최근 출간된 창작 희곡집이 있어 눈길을 끈다.
저자는 초등학교 교사이고 극단 ‘빈도’의 단원이라고 한다. 빈도라면 모교의 연극 동아리! 그저그런 동아리들도 많지만 빈도는 내가 다니던 그옛날부터 유명했다. 졸업생들도 꾸준히 공연에 참여해서, 나도 두번쯤 그 연극을 보러 갔었다. 그런 단원들이 현장에서 연극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서 본인들의 특기를 살려 애쓰지 않았을까? 이 책은 그 결과물이라는 느낌이 든다.
초등교사 치고 아이들과 연극수업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겠지만, 대부분은 교실수업에서 끝난다. 그게 나쁘다는 말은 아니다. 나도 그러니까. 나는 연극에 호감은 많지만 전문성은 전혀 없어서 아이들이 교실에서 즐거웠으면 됐다는 주의다. 남에게 보일 정도로 하려면 필요한 게 많아서. 하지만 저자는 무대 연출의 경험이 많은 것 같고, 그 노하우를 이 시리즈에 녹여내었다. 두 권의 대본집과 한 권의 활용서다. 이왕 아이들과 연극을 해본 김에 진짜 무대경험까지 시켜주고 싶은 교사, 학교 발표회 등에서 우리반 프로그램을 연극으로 정한 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겠다. 무대연출까지의 노하우가 담겼지만, 거기까지 다 가지 않고 중도에서 만족할 교사들도 재미있게 읽고 필요한 만큼 도움을 받을 만하다.
창작희곡인 이 대본은 생활밀착형 스토리다. 현실 아이들, 현실 상황, 현실 캐릭터, 현실 말투들이 등장한다. 그래서 어떤 부분은 살짝 짜증까지 난다는....ㅎㅎ 하지만 막장으로 끝나지 않는 적당한 주제의식이 앞뒤에 배치되어있어 교육적으로도 무리가 없다. 그 주제는 제목에서 드러난다. ‘말싸움 동아리’!
말싸움이든 몸싸움이든 나는 싸움은 질색이다. 조금 싫으면 걍 참고, 너무 싫으면 손절한다. 하지만 그건 일종의 회피라고 할 수 있겠지. 아이들에게 가르치기에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다. 아이들에게는 싸우는 법(?)도 가르쳐야 한다. 폭력을 행사해서는 절대 안되고, 적법한 방식으로 자신의 분노와 항의 표현은 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말싸움’이다. 언어폭력도 폭력 아닌가요? 맞다. 말싸움이 몸싸움보다 더 나쁜 경우도 있지. 여기서 말하는 말싸움은 그렇게 상처를 목적으로 하는 언어폭력이 아닌 정당한 의사표현이다.
이러한 주제를 드러내는 장면이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의 이누이트 축제 장면이다. 그들은 노래로 싸웠고 주변 사람들이 그 내용을 들어주었다고 한다. 이 한 장면이 연극 전체에 힘을 넣어주고 수준을 높여주고 지향할 바를 제시해 준다.
드센 아이들 그룹(하라,유리,다미)의 수작에 당하기만 하던 빛나와 어진이 말싸움 동아리를 만들고 범도와 우길이를 끌어들인다. 범도, 우길은 나중에 실제 대결을 할 때 현장 중계를 맡는데, 이것이 연극에서는 관객들을 웃길 수 있는 웃음 포인트다. 대본 그대로도 재미있지만 본인들 스타일을 살려서 조금씩 바꿔가며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책도 그런것을 권장하고 있다.) 범도는 전학생인데, 웬만해서는 아무 일에도 끼지 않으려고 하지만 결국 분위기 반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범도의 사연은 아이들이 자칫 빠지기 쉬운 함정에 경고를 보내주기도 한다.
고학년 학급에 있게 마련인 교실 내 서열과 권력관계의 문제, 그 아래서 말 못하고 시들어가는 아이들의 숨통을 틔워주는 이야기로 아주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아이들이 이 책을 기본으로 대본작업, 연습과 공연 등의 과정을 통해 문제의식과 내면화의 과정을 모두 거칠 수 있다면 너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여러 각색 희곡집에 창작 희곡집까지 더해져 선택의 폭이 넓어져 더욱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