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한 게임 마니또 ㅣ 푸른숲 어린이 문학 36
선자은 지음, 고상미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8월
평점 :
말없는 도움과 사랑의 상징인 마니또, 우리 어릴 때도 있었지만 지금도 꽤 많은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마니또. 그런 마니또를 이렇게 서늘하게 비틀어도 되는거야?
당연히 된다. 될 뿐만 아니라 속이 시원하기까지 하다. (지금 내가 비틀려 있어서 그런 것일지도?) 아이들은 '순수'하지 않을 수도 있고 교실은 '천국'이 아닌 정글일 수도 있다. 그 가능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느껴진다.
선생님은 마니또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행복한 교실을 꿈꾸며 마니또 제도를 시작하셨다. 그러나 아이들의 머리속에 떠오르는 생각과 속셈들은 제각각 다르다. 세상에 완벽한 제도란 없다. 있다면 모두가 그것을 하면 될 일이다. 그러나 어떤 일에든 왜곡과 상처의 위험이 있다. 그것은 그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이다.
지율. 반들반들 윤이 나는 깨끗한 백자 같은 아이. 큰 매력은 없이 조용하지만 흠도 없는 아이. 이 사건의 피해자이지만 나름대로 해결해 가면서 많은 부분이 변해간다. 당당하고 많은 친구들 앞에서 웃고 말할 수 있는 아이로.
모모.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반의 왕따(라기보다는 스따) 같은 아이. 지율이의 마니또가 되었다가 누명을 뒤집어쓸 위험에 처하자 뜻하지 않게 지율이 사건의 비밀수사관이 된다. 이 아이는 과연 제대로 수사를 할까?
아름. 교실에 하나 아니면 두셋쯤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큰 아이. 관계에 관심이 많고 그것 없이는 존재의미를 못 느끼는 아이. 있으면 외롭지 않지만 때로는 성가시고 피곤한 아이. 나름 순진하지만 그건 단순해서이고 이타적이진 않은 아이.
은석. 이런 남자 모범생은 흔치 않다. 이 아이의 행동과 그 동기도 놀랍다. 이 서늘한 현실적 이야기에서 가장 현실과 먼 캐릭터라고 하겠다. 하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인물.
시현. 예쁘고 못돼먹은 아이. 범행의 동기가 가장 큰 아이. 이 아이가 관연 범인일까?
작가는 '작가의 말' 에서 학교생활에 대하여 이렇게 썼다. "학교생활은 사실 이 정도로 치열하다. 고학년이 될수록 교실 안에는 경쟁과 심리전이 팽배하다. 그 속에서 소외되어 약자로 보이는 모모같은 아이도 사실은 복잡한 속을 가진 인간이고, 마냥 착하고 순해 보이던 부회장 지율도 상황에 따라 다른 면모를 보일 수 있다."
현장을 담당한 사람으로서 작가의 날카로운 눈에 공감하고 동의한다. 어느 사회나 마찬가지지만 교실이라는 작은 사회에서도 권력을 둘러싼 암투는 벌어진다. 단수 낮게시리 치고받고 싸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물밑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그 과정은 때로 꽤 비겁하기도 교활하기도 하다. 을이어서 서럽던 아이가 이런 엎치락뒤치락을 통해 갑의 자리에 올라서면 단번에 갑질을 시작한다. 그러다 순식간에 다시 추락하기도 하고. 사회의 축소판을 보는 듯하다.
'작가의 말' 에는 이런 말도 있다. "마니또 이야기를 한다면 으레 나오는 아름답고 다정한 이야기는 재미없고 싫었다. 이상하고 무섭기도 한 마니또 게임을 통해 진정한 마니또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난 작가가 말하는 <진정한 마니또 이야기>가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잘 모르겠다. 단지 내가 느끼는 건 이거다. 어떤 아이가 교실의 권력관계에서 암투를 벌이고 갑의 위치에서 갑질을 하다 추락하며 엎치락 뒤치락의 모습을 보여줄지라도 너무 비난하지는 말자는 것이다. 반면 무척 신뢰가 가는, 반듯한 아이도 있게 마련이지만 그 아이에게 너무나 큰 신뢰로 짐을 지우지도 말자는 것이다. 천성이라는 것도 있고 가정교육도 있고, 따라서 못된 아이 착한 아이 어느 정도는 구분이 된다. 하지만 난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큰 실망도 하지 않는다. 그게 날 좀 냉소적인 교사, 아이들과 친밀하지 않은 교사, 열정없이 할 일만 하는 교사로 만든다 해도 어쩔 수는 없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