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햇살 따스한 어느 절집 툇마루에 앉아 있는 고양이-- 조는 듯 눈을 감았다가 나그네 발자국 소리에 살짝 눈을 뜹니다. 그리고는, 다시 무심히 눈을 감습니다. 조심스레 다가가 한 컷 찍었습니다. 고양이 옆에 참 잘 어울리는 목판 하나가 세워져 있습니다. 靜肅(정숙).

 

고양이는 이 절집 스님의 시자인 모양입니다. 그런데 어느 스님의 시자보다 더 충실한 시자같습니다. 누가 이 고양이 보다 더 상대를 조용히 시킬 수 있을까요?

 

언젠가 김용옥 선생님이 대중강연회에서 猫心(묘심: 고양이의 마음)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지요. 공부하는 사람은 고양이에게서 호기심과 자존감과 고독을 배울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었지요. 이 고양이를 바라보노라니 그 강연 내용이 떠오르는군요.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볼까요?

 

靜은 靑(푸를청)과 爭(다툴쟁)의 합자에요. 이 글자의 본래 의미는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뜻이에요. 靑은 초목이 싹을 틔울때의 색으로, 그 빛깔이 분명하죠. 그래서 이 글자로 '분명하게 살펴 본다'란 의미를 표현했어요. 爭은 여기서 소리값을 담당해요(소리값이 좀 변했죠). 그런데 爭에는 '이끌어 들인다'는 의미가 있어요. 분명하게 살펴 보려면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이끌어 들여야 하겠죠? 爭은 소리값도 담당하지만 글자 전체의 의미를 일부분 보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종합하면, 靜은 '자신의 생각과 판단으로 대상을 분명하게 살펴본다'란 의미가 되겠네요. 그런데 靜은 보통 '고요할정'으로 읽죠? 왜, 고요하다란 의미를 갖게 됐을까요? 추측컨대, 분명하게 살펴보려면 요란하지 않고 고요해야 하기에 '고요하다'란 의미가 연역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靜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靜寂(정적).

 

肅을 볼까요. 肅에서 윗 부분의 글자는 손에 일감을 갖고 있다는 의미이고, 아래 부분은 淵(연못연)의 옛 글자로 수심이 깊고 험한 물가란 의미이지요. 합쳐서 '수심이 깊고 험한 물가에 임한 것처럼 조심스럽게 일에 임한다'란 의미지요. 肅을 보통 '엄숙할숙'이라고 읽는데, '엄숙하다'란 의미는 바로 그런 의미지요. 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嚴肅(엄숙).

 

猫의 원래 글자는 貓에요. 貓는 豸(狸(삵리)의 줄임 글자)와 苗(싹묘)의 합자지요. 삵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식물을 싹을 갉아먹는 쥐를 퇴치하는 동물이란 의미에요. 猫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犬猫(견묘, 개와 고양이).

 

정리할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고요할정, 엄숙할숙, 고양이묘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嚴(       ),  (        )寂,   犬(        )

 

3. 다음 (      )안에 들어갈 적절한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실내(       )

 

학교 다닐 때 가장 많이 듣던 말중의 하나가 '靜肅' 아니었나 싶어요 ^ ^  십대에겐 참으로 힘겨운 단어였죠 ^ ^ 나이 먹은 지금은 너무도 쉬운 단어지만... ^ ^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면 좋아하세요? 저는 좋아하는 편이긴 한데, 이상하게 먹고나면 -- 특히 국물을 마셨을 때-- 살짝 뱃속이 안좋아요. 그래서 요즘은 잘 안먹어요. 그래도 이따금 라면 맛의 유혹을 이길 수 없어, 아픈 배를 무릅쓰고, 먹을 때가 있죠 ^ ^ (바보!)  전에는 약간 덜 익은 꼬돌꼬돌한 면발을 좋아했는데, 요즘은 푹 익은 면발이 더 좋아요. 아무래도 나이 탓인 듯 ㅎㅎ

 

오늘은 딱 한 자만 공부하도록 하죠 ^ ^  辛은 매울신이에요. 라면 용기에 뜻과 음이 써 있군요 ^ ^  윗 부분의 는 이마를 표현한 것이고, 나머지 글자는 죄목을 새기는 형벌 도구를 표현한 글자에요 辛은 본래 '이마에 죄목을 새길 정도의 큰 죄'라는 뜻이었어요. 그런 벌을 받을 때는 고통스럽겠죠? 죄목을 달고 다녀야 하는 상황은 더 말할 나위 없구요. 그래서 이 글자가 고통스럽다는 의미의 '맵다'라는 의미로도 사용하게 된 것이죠. 실제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혀에 가해지는 통각(痛覺: 고통스런 느낌)일 뿐이라고, 학교 다닐 때 배운 것 같아요 ^ ^ 지금은 마음이 고통스럽다라는 의미의 '맵다'라는 의미보다는 단순히 맛이 '맵다'라는 의미로만 사용하죠.

 

辛이 들어간 예로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맵고 시다라는 맛의 의미를 차용하여 삶이 고달프고 힘들다는 의미를 표현한 것이 있는데, 무엇이죠? 辛酸(신산). 너무 짧으니 하나만 더할까요? 다섯가지 맛을 한자로 어떻게 표현하죠? 酸鹹辛甘苦(산함신감고: 시고 짜고 맵고 달고 씀)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 ^

 

얼마 전 JTBC 뉴스를 보니 비만에 관한 사회 문제를 보도하더군요. 비만은 이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거에요. 가난한 사람일수록 비만이고 안(?)가난한 사람일수록 비만이 아니라는 거죠. 비만을 예방하는데 좋은 과일과 채소 곡물을 사려면 적어도 한 번 장을 볼 때 6만원 이상은 들어요. 그런데 그 비용이면 라면 100개를 살 수 있는 거에요. 과일과 채소 곡물이 비만 예방에 좋은 줄은 알지만 가난한 사람에겐 그림의 떡인거죠. 또 운동을 해야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데, 가난한 사람들은 먹고 살기 바빠 운동하기가 힘들다는 거죠. 살찌고 싶어 살찌는 것이 아니라 어쩔수 없어 살찐다고 해야 맞는 상황인 거죠. 비만이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데 공감이 가더라구요. 라면이 주식(主食)이 아니라 부식으로 먹는 사회가 되어야 할텐데, 주식처럼 먹는 사람이 느는데 우리 사회의 고민이 있는거죠.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똥 잘 싸셨는지요 ^ ^ 쾌변은 건강의 척도라죠? 똥을 잘 싸면 '아, 오늘 잘 살았구나' 라고 생각하고, 그렇지 못하면 반성이 필요합니다.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몸이 아프거나 뭔가 하나라도 잘못되었기 때문에 쾌변을 못본 것이죠.

 

초장부터 똥 얘기를 한 이유는? 어느 절집 뒷간 현판에 나온 한자를 보려구요. 자, 이 간판은 가로로 쓴 것이니 왼쪽부터 읽어야 겠죠? 解는 풀해 憂는 근심우 所는 곳소, 解憂所는 '해우소'라고 읽어요. '근심을 푸는 곳'이란 뜻이죠. 절집에서 뒷간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상당히 철학적인 표현이죠 ^ ^ 똥을 잘싸면 그게 곧 '해탈' 입니다 ^ ^

 

한자를 하나씩 자세히 알아 볼까요?

 

解는 角(뿔각)과 刀(칼도)와 牛(소우)를 합친 글자에요. 칼을 가지고 소의 머리에서 뿔을 해체시킨다는 의미이죠. 解가 들어가는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解剖(해부), 解決(해결).

 

憂는 心(마음심)과 頁(머리혈)이 합쳐진 형태에요. 마음속에 고민이 많다는 의미이기에 心으로 뜻을 삼았지요. 아울러 고민이 많으면 그러한 것이 얼굴에 드러나기에 얼굴이 있는 머리 부분을 표현한 頁로 음을 삼았지요(소리값이 확 바뀌었죠). 종합하면 얼굴에 수심이 가득할 정도로 마음 속 고민이 많다, 정도의 의미가 되겠네요. 憂가 들어가는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憂患(우환), 憂鬱(우울).

 

所는 戶(지게문호)와 斤(도끼근)이 합쳐진 글자에요. 본래 의미는 '벌목할때 나는 소리'라는 의미에요. 그래서 斤을 뜻부분으로 사용했지요. 戶는 반쪽짜리 문을 의미하는데 완전히 닫히지 않고 열렸다 닫혔다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요. 벌목을 할 때는 계속 도끼질을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 글자를 가지고 음부분을 삼은 것이에요(소리값이 좀 바뀌었죠). 이 글자가 왜 '곳'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억지 추측을 해보면, 벌목소리가 나는 장소라는데서 '곳'이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되지 않았을까 싶어요. 所는 방법 또는 일이라는 의미의 '바'라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죠. 所가 들어간 한자는 무엇이 있을까요? 場所(장소), 所期(소기).

 

자, 정리할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풀해, 근심우, 곳소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場(     ),  (     )患,  (      )剖

 

3. 다음의 한자를 넣어 짧은 글을 지으시오.

  

    解憂所,  憂鬱

 

4. 사진의 글씨체는 무슨 체인지 말하시오.

 

 

여담인데, 혹 중국에 가서 '화장실'을 본 적이 있으신지요? 정말 '후덜덜'해요. 문이 없더라구요 ^ ^;; 

자, 매일매일 쾌변을 보는 하루가 되시길 빌며...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5-01-22 2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우소... 전 변볼때 어려움이 없어서 ㅎㅎ 큰 근심은 아니어요.

찔레꽃 2015-01-22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탈하셨네요 ㅎㅎㅎ
 

 

 

 

어때요? 제법 썼죠 ^ ^ 붓으로 쓰지 않아 볼륨감이 없기에 맛은 없지만 그런대로 꽨찮게 쓴 것 같애요 ^ ^ 서예 작품 글씨들을 찍어서 편집해 보려고 했더니, 조작이 서툴러 번거롭기에 펜으로 직접 써봤어요.

 

오늘은 서체에 대해서 아주 간략히 알아 보도록 하죠. 지난 번 중국집 짜장면 젓가락집에 나온 것은 맨 왼쪽 글씨체였죠? 이런 것을 전서체(篆書體)라고 해요. 篆은 '전자전'이라고 하는데, 위 사진의 맨 왼쪽 글씨처럼 쓰는 글자 형태를 가리키는 명칭이죠. 전서에는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이 있는데, 우리가 보통 보는 전서는 소전이에요. 전서에는 한자의 원형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어서 한자의 짜임을 설명할 때 많이 사용하죠. '원형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어서'라는 말은, 뒤집으면, 원형을 어느정도 상실했다는 의미 아니겠어요? 소전은 진(秦)나라때 이사(李斯)가 창작한 것인데, 진나라의 천하통일에 발맞추어 진나라 문자를 바탕으로 각국에서 사용하던 문자를 참작하여 만든 것이라고 해요. 문자 개혁을 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원형을 잃어버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르겠어요. 지금이야 이 전서가 굉장히 어려워보이지만 당시만 해도 굉장히 혁신적인 - 쓰기 쉬운 - 글자였을 것 같아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보는 전서체는 '도장'이 아닐까 싶어요. 특히 인감 도장 ^ ^

 

왼쪽에서 두 번째는 예서체(隸書體)라고 해요. 隸는 '종예'라고 하는데, 이 문자의 창안자인 정막(程邈)이 노예 출신이라 이런 명칭을 붙였다는 설이 있어요. 다른 설도 있는데, 이 문자가 주로 옥사(獄事: 죄인에 대한 일처리)에 사용되어 이런 명칭을 갖게 됐다고 하기도 해요. 이 문자는 전서를 개량한 것인데 전서보다 한층 더 쓰기 쉽게 개혁되었다고 할 수 있죠. 당연히 한자의 원형은 그만큼 더 많이 상실됐다고 할 수 있고요. 정막은 진시황때 사람이에요. 진시황 당대에 두 번씩이나 문자 개혁이 이루어진 것을 보면, 당시는 엄청난 혁신의 시대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예서는 요즘 서예 작품 글씨에서 많이 볼 수 있죠.

 

왼쪽에서 세 번째는 해서체(楷書體)라고 해요. 楷는 '해서해'라고 해요. 楷는 '본보기, 곧다'라는 뜻도 갖고 있는데 글자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글자가 방정(方正: 각지고 똑바름)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갖게 된 것이지요. 예서에서 변형된 것인데, 한자의 원형에서 또 그만큼 멀어진 형태라고 할 수 있어요. 후한의 왕차중(王次仲)이 쓰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어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한자체가 바로 이 해서체이지요.

 

왼쪽에서 네 번째는 행서체(行書體)라고 해요. '行(다닐행)'은 역동성을 나타내는 의미에요. 이 글자체를 보면 실제 역동적인 모습이 느껴지죠. 위진남북조시대때 왕희지(王羲之)가 이 글씨를 잘 썼다고 해요(왕희지는 초서도 잘 써 흔히 草聖(초서의 성인)이라고 불리죠). 행서는 다음에 소개할 초서와 앞서 소개한 해서의 중간 형태에요. 해서는 너무 또박또박하여 쓰는데 시간이 걸리고, 초서는 너무 날림이라 알아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요. 행서는 그 단점들을 보완한 것이기에 실용적으로 많이 쓰였죠. 옛날 책을 보면 이 행서체가 많아요. 또 글씨가 역동적이라 보기에도 시원스럽기에 서예작품용 서체로도 많이 쓰였지요. 지금도 많이 쓰이고요.

 

가장 오른쪽에 있는 것은 초서체(草書體)라고 해요. 草는 '풀초'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 뜻 말고 '거칠다, 처음이다'란 의미가 있어요. 처음 쓴 글을 草稿(초고)라고 하죠. 초고는 대개 거칠잖아요? 마찬가지로 이 글씨체도 그런 성격을 갖고 있어 초서체라고 부른 거에요. 행서를 한층 더 풀어썼기에 가장 한자의 원형에서 멀어진 글씨체라고 할 수 있죠. 반면 가장 실용적인 글씨체이기도 하고요. 사관들은 이 초서체를 사용하여 실록을 기록했죠. 나중에 실록을 간행할 때는 이 초서체를 알아보기 쉬운 해서체로 바꿨는데, 그런 작업을 '탈초(脫草: 초서로 쓴 것을 벗겨냄)'라고 불렀죠. 초서는 가장 실용적이기도 하지만, 가장 예술적인 - 자유분방한 면에서 - 글씨체라 서예 작품용 서체로 많이 사용했죠. 지금도 많이 쓰이고요.

 

자, 그럼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을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전서체로 써보시오.

    

    萬里長城

 

2. 다음을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예서체로 써보시오.

   

    萬里長城

 

3. 다음을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행서체로 써보시오.

   

    萬里長城

 

4. 다음을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초서체로 써보시오.

   

    萬里長城

 

오늘은 문제가 너무 어려울 듯 ^ ^

 

지금 중국에서 쓰고 있는 것은 간자체인데, 자형이 많이 간략화되어 쓰기 편한 점이 있는 것 같애요. 그런데 한자를 공부할 때는 간체자보다 이른바 번체자(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해서체의 한자를 이렇게 불러요)를 먼저 익히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간체자는 번체자에서 획을 줄임하여 만든 것이기에 번체자를 알면 간체자를 익히기가 쉽기 때문이죠. 또 아직 대만과 일본 우리나라에서는 번체자를 쓰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중국이 자국의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문자 개혁을 한 것은 좋은데, 오랜 세월 주변국들과 한자를 공유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너무 독단적으로 문자 개혁을 하지 않았나 싶어요. 주변국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문자 개혁을 했다면 서로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양물감 2015-01-20 21: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ㅠㅠ 어려워요

찔레꽃 2015-01-21 07: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ㅠ ㅠ 서체의 느낌을 익히는게 목적이니 한 글자씩만 써보시죠 ^ ^
 

 

 

 

혹시 오늘 식사로 짜장면 드셨는지요? 맛있는 짜장면 집 있으면 저한테 소개 좀 해주셔요 ^ ^

 

이 사진은 제가 이따금 가는 짜장면집 젓가락 봉투(?)를 찍은 거에요. 하나씩 차례대로 읽어 볼까요? 왼쪽의 검은색 글씨를 먼저 볼까요? 中은 가운데중, 國은 나라국, 料은 되질할료, 理는 다스릴리라고 하죠. 합치면 중국요리. 그 다음 빨간색 글씨를 볼까요? 이 글씨들은 좀 이상하죠? 우리가 보통 보는 한자는 해서체라고 하는 형태로 쓴 것인데, 이 빨간 글씨들은 해서체로 쓰지 않았기 때문에 좀 이상하게 보이는 거에요. 이 빨간 글씨들은 전서체라고 하는 형태로 쓴 것이에요. 서체에 대해서는 다음 회에 소개를 해드릴게요. 일단 빨간 글씨들을 읽어 보죠. 첫번째 것은 萬이에요. 일만만이라고 읽죠. 두번째 것은 里에요. 이(노정의 단위)리하고 읽죠. 세번째 것은 長이에요. 길장이라고 읽죠. 네번째 것은 城이에요. 재(성)성이라고 읽죠. 합치면 만리장성. 너무 쉬운 것을 어렵게 풀은 것 같네요 ^ ^;;

 

이제 글자를 한 자씩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中은 口와 丨을 합친 것인데 口는 상하좌우의 사방을 의미하는 것이고 丨는 위에서 아래로 꿰뚫어 좌우를 균평하게 나누었다는 의미에요. 이 글자의 원의미는 '안[內]'이란 뜻인데 위도 아니고 아래도 아니며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닌 그 '안'이란 뜻이지요. 그게 '가운데' 아니겠어요? 中은 중국 철학의 핵심 개념중 하나이죠. 그러면 中과 짝을 이루는 또 한가지 중국철학의 핵심 개념은 뭘까요? 和(고를화)입니다. 中和. 사서(四書)중의 한 책이름이 뭐죠? 中庸(중용).

 

國은 口와 戈와 口와 一이 합쳐진 글자에요. 口는 영토의 사방 경계 지역을 의미하는 것이고, 戈(창과)는 무력을, 口는 백성을, 一은 영토를 의미하는 것이에요. 이를 종합하면 '영토와 백성과 무력을 소유하고 이 영토내에서 자주권을 갖고 독자적 정치 형태를 유지하며 그것을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무력으로 지켜낼 수 있는 존재'란 뜻이 되지요. 그게 바로 '나라'인 것이지요. 國과 붙어다니는 말이 뭐죠? 國家(국가). 또 하나는? 國民(국민).

 

料는 米(쌀미)와 斗(말두. 용량의 단위이기도 하고 용량을 되는 용기의 뜻도 있음)가 합쳐진 글자에요. 쌀을 말에 집어 넣은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앞서 소개한대로, 되질하다(용량을 재다)란 의미이지요. 되질하듯이 앞 일에 대하여 잘 생각하는 것을 料量(요량)이라고 해요. 좀 어렵죠? 料는 '거리'라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하죠. 이때의 예로는 材料(재료)를 들 수 있겠네요.

 

理는 王(玉(구슬옥)의 변형)과 里가 결합된 글자에요. 이 글자의 원래 의미는 옥을 그 결을 따라 가공한다란 뜻이에요. 里는 마을을 의미하는 글자인데, 예전의 마을은 지세에 따라 이루어졌기에 이 자로 음을 삼은 것이지요. 종합하면, '마을이 지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듯이 옥을 그 결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공함' 정도의 의미가 되겠네요. '다스리는' 사람들이 꼭 명심해야 할 글자라고 생각되네요 ^ ^ 理가 들어가는 말은 뭐가 있을까요? 理解(이해), 理致(이치).

 

萬은 본래 전갈을 그린 글자였어요. 지금 전갈을 의미하는 글자는 蠆(전갈채)나 蠍(전갈갈)을 사용하죠. 萬은 벌을 의미하기도 했는데, '일만'이란 의미는 여기서 파생된 거에요. 벌은 무리지어 다니고 숫자도 많잖아요? 그래서 많다란 의미의 '일만'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지요. 萬이 왜 벌이란 의미로도 사용됐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ㅠ ㅠ 굳이 견강부회하자면, 외형이 전갈과 살짝 비슷(?)한데다 벌을 의미하는 말은 있는데 글자가 없는 상태에서 전갈을 의미하는 글자의 발음과 음이 유사해서 벌이란 의미로 사용했는지도 모르겠어요. 지금 벌을 의미하는 글자는 蜂(벌봉)을 사용하죠. 萬자가 들어가는 예를 하나 들어 볼까요? 萬歲(만세). 萬歲는 황제의 나라에서 사용하고 제후의 나라에서는 千歲(천세)를 사용했죠. 우리나라는 중화문화권에서 제후로 취급되었기에 千歲를 사용했죠. 우리가 萬歲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대한제국(고종황제)이후 부터입니다.

 

里는 田(밭전)과 土(흙토)가 결합된 글자에요. 농사지을 수 있는 땅이란 의미이지요. 농사지을 수 있는 땅에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모여살겠죠? 그러한 곳을 뭐라고 부르죠? 그렇죠, '마을'이라고 부르죠. 里는 지금도 시골 행정구역의 최소 단위로 사용하고 있죠.  과거에 里는, 자료마다 조금씩 다른데, 보통 50가구 정도 되는 곳을 지칭했어요. 그런데, 여기서 里는 노정의 단위로 사용됐어요. 한 里와 한 里 사이의 거리란 의미가 아닌가 싶어요. 里에서 가장 말빨(?)좋은 분을 뭐라고 부르죠? 里長(이장).

 

長은 장발머리의 사람을 그린거에요. 여기서 '길다'란 의미가 나온 것이지요. 長자가 들어간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길고 짧은 것을 뭐라고 하죠? 長短(장단).

 

城은 土(흙토)와 成(이룰성)이 결합된 글자에요. 흙이나 돌을 쌓아올려 이룩한 건축물을 城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흙으로 쌓은 성은? 土城(토성), 돌로 쌓은 성은? 石城(석성)

 

자,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가운데중, 나라국, 되질할료, 다스릴리, 일만만, 마을리, 길장, 재성

 

2.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가락으로 허벅지에' 써 보시오.

 

  (    )長, (    )和, (    )量, (    )歲, (    )家, (    )解, 石(    ), (    )短

 

3. 다음 한자를 이용하여 짧은 글을 지으시요.

 

  萬里長城, 中國, 料理

 

제가 이따금 가는 짜장면 집(화교분이 운영하심)에 가서 (중국 분들은) 짜장면을 뭐라고 부르시냐고 물었더니, 그냥 '짱미엔(醬麵)'이라고 부른다고 하시더군요. 실제 주방에 음식을 시킬 때 그렇게 부르더군요. 초기 짜장면은 국수에 춘장이라는 중국식 된장을 넣어 비빈 소박한 음식이었다고 해요. '짱미엔'이란 명칭이 바로 그런 의미지요(醬은 된장 고추장 할때의 바로 그 '장'입니다). 그러던 것이 우리 음식으로 귀화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맛보는 짜장면이 된 것이죠. 비법(?)은 중국식 춘장을 우리식으로 색다르게 만든데 있어요. 짜장면에서, 창조적 변형이라는, 우리 문화의 우수한 일면을 보는 것 같아요.

 

자,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21 | 122 | 123 | 1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