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오후다. 겨울 오후는, 봄 오후보다 당연히 낫고 여름 오후보다 무조건 낫고 가을 오후보다 월등히 낫다. 겨울 오후가 단연 최고다. 모든 면에서 그렇다. 그래도 특히 어떤 면에서 그렇냐, 라고 한다면 '발음하기에' 라고 대답을 한다. 뭐 그렇다는 것이다.


프사를 바꾸고 싶다. 

언제든지 바꿔왔고 수시로 바꿔왔으니 바꾸는 게 뭐 그리 대수랴마는 이번엔 좀처럼 기회가 닿지를 않으니 이거? 여배우만큼 세상에 흔한 것도 없다는, 그토록 가학적인(?) 기치를 나부끼며 앞으로 나의 프사는 무조건 여배우다! 를 선언한지도 어언.. 기억이 안난다. 생긴 게 어떻든 무슨 짓을 하든 어떤 영화를 찍든 어떤 영화를 누리든 내 알바 아니고, 난 그냥 내 프사를 여배우로 하겠다는 일념 하나로 지금껏 달려왔다.(달려온 것 치고는?) 여기엔 특별한 각오나 의지도 없었고 내세울만한 명분도 없었다. 그냥 막 달려왔..나? 그래 달려왔다고 치자. 다만 여기서. 프사는 나의 얼굴. 프사는 나의 정신. 프사는 나의 페르소나. 프사는 나의 상황. 프사는 나의 노스탤지어. 프사는 나의 사랑. 프사는, 프사는... 그러니까 나는 마치 프사를, 이 모든 것인양 했느냐..하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내가 나를 속인 것도 아니고 누구를 속인 것도 아닙니다. 이웃님들 중에 누가 그러시겠습니까) 아 그러니까 그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럼 뭘까나? 결론부터 말하면, 그러니까 프사는 곧, 나의 웬수. 아 이제와서 실토를. 누가 묻지도 따지지도 않았는데 혼자 신나서 실토를 하는구나. 혼자 시체놀이만 잘 하는 게 아니고 이런 놀이에도 은근 끼가 있었네.


이 정도 정신이면 난 지금이라도 당장 프사를 바꿔야만 한다. 바꾸는 데 조금의 망설임도 시간도 허락해선 안된다. 당장 안바꾸면 천지가 요동칠.. 아무튼 바꾸는 일만 남았다. 나의 웬수를 찾아야 한다. 세상 천지에 널리고 널린 게 여배우라고 해놓고 이제 와서 찾아야 한다니. 아, 웃기지도 않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7-01-09 17: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번엔 누구일까요. 나중에 바뀌는 걸 보면 알겠지만 미리 궁금합니다.^^

컨디션 2017-01-10 16:24   좋아요 2 | URL
저도 궁금합니다.^^

서니데이 2017-01-10 12: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컨디션님의 프사, 아직도 고민중이실 것 같습니다.
오늘 날씨 많이 춥대요.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하루 보내세요.^^

컨디션 2017-01-10 16:27   좋아요 2 | URL
고민은 아니구요, 괜히 밍기적거리는 거랍니다. 이러는 심리를 저도 잘 모르겠어요.ㅠ
오늘은 꼼짝도 안했는데, 창밖 느티나무에 매달린 나뭇잎을 보니 바람이 좀 부나봅니다.
서니데이님도 남은 오후 잘 보내시길요^^

2017-01-13 20: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1-13 2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극장에서 보기는 처음이다. 처음, 영화 보러가자는 제안을 받았을 때, 난 무언가에 골몰하느라 정신이 반은 나가있었다. 그 이유가 컸다면 컸을까. 어떤 영화인지 분명 들었는데, 분명 다섯 글자였는데 뭐였지..뭐였더라.. 나와 같다면? 아니 너와 같다면? 아니 너를 부르면? 내 머리는 분주했다. 영화 제목이 뭐라고? 한마디면 되는데 그걸 못하겠는거다. 그날따라 그랬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그날따라 그랬다. 결국 영화관에 도착해서야 오늘 내가(우리가) 볼 영화는 <너의 이름은>이라는 걸 알.았.다. 

 

이런 정.신.으.로. 나는 이 영화의 후기를 쓰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을 겪는다.

 

감독: 신카이 마코토

등장인물: 미츠하(여), 타키(남)

 

위 사항은 '적어도 나에겐' 매우 중요한 영화 정보가 아닐 수 없다. 왜냐면 왜냐 하면, 

신카이 마코토 신카이 마코토..미츠하 미츠하 심지어 타키 티키까지.. 이 무한반복의 입놀림 끝에 겨우(그러니까 아무 것에도 의지하지 않고 드디어!) 타.이.핑.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상태가 이 지경인데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요즘 유행하는 그 '자괴감'이 몰려온다. 이러다 너의 이름은 커녕 나의 이름도 생각나지 않을 수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 무슨, 문장을 외우겠다고? 한 문장도 아닌 페이지를 통째로? 와 나 정말 커다란 포부를 지녔구나. 이대로 밀어붙이면 무슨 일을 저지를지 나도 모르고 너도 모르고 하늘도 모르고 땅도 모르...

 

아무튼 그렇다치고,

 

생각난 김에 <언어의 정원>에 대해서나 한마디 하고  끝내야겠다. 이 애니도 신카이 마코토 작품인데, 얼마나 디테일에 신경을 썼는지 넌더리가 날 정도다. 이건 마치 계절과 기후가 만들어내는 풍경의 아름다움을 완전 극한으로 밀어붙임으로써 인간 내면의 상상력이라든가 자유로운 심상을 어쩌면, 아니 오히려, 파괴하는 것은 아닌가 싶을 만큼 질리도록 보여준다. 감독의 얼굴에 미소가 어린다. 이 정도면 뻑 가지 않겠어? 그리고 또 하나 그 와중에(?) 변태성욕의 끝판이 끝판에 결국 드러난다. 결국 이 지루한 줄다리기 끝에는 일본 어덜트 무비의 근원으로 가고자 하는 욕망이 반드시 있다. 내 생각이다. 정신없지만, 그렇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madhi(眞我) 2017-01-07 12: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언어의 정원. 표현력이 숨 막히죠.

이 애니도 신카이 마코토 작품이라 눈여겨보고 볼까말까. 하고는 있는데 내용이 별로라는 평이 많아서 보기를 미뤄두고 있어요.

머리카락이 한올한올 움직이거나 빗방울이 바닥에 떨어지는 모습들이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일본애니를 처음봤을 때 충격을 받았드랬죠.

컨디션 2017-01-07 15:03   좋아요 1 | URL
어다서 꼽았는지는 모르지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화(애니메이션에 국한했는지 어떤지는?) 1위로 꼽혔다고 해서 저도 일부러 찾아본 게 ‘언어의 정원‘인데요. 정말 그 표현이 놀랍긴 하더라구요.
‘너의 이름은‘도 마찬가진데, 영상미가 여전히 기존 애니의 수준을 육박하고는 있지만 스토리는 뭐랄까, 저도 좀 확신이 없네요. 유명하다는 일본 남자가수가 부르는 가요가 내내 자주 나와서 그런가, 절정으로 치닫는 부분에 와서는 뭔가 울컥하긴 하더라구요.

서니데이 2017-01-07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본이름 잘 외워지지 않아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영화가 요즘 많이 소개되네요. 재미있을 것 같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합니다.
주말 날씨가 따뜻합니다.
컨디션님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컨디션 2017-01-07 15:12   좋아요 2 | URL
일본어 능통하신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확실히 일본어가 그렇네요. 근데 무라카미 하루키 라든가, 나스메 소세키 정도는 입에서 바로바로 나오는 걸 보면 이것도 이게 얼마나 자주 접하는가의 문제인듯요.^^ 수채화 같은 맑고 아름다운 영상을 큰 화면으로 맘껏 보고싶다면 너의 이름은 봐도 큰 후회는 없을 듯요.
서니데이님도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요^^

서니데이 2017-01-09 14: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주말에 이 영화 많이 보았다고 하고, 어쩐지 보고 싶은데, 금방 주말이 지나갔네요.
이번주는 날씨가 춥다고 하고요.^^;
월요일이예요.
컨디션님, 즐거운 한 주 오늘부터 시작하세요.^^

컨디션 2017-01-09 14:40   좋아요 2 | URL
주말은 원래부터 생겨먹기를 그래서 그런지 어찌된 게 금방 안지나가는 법이 없어요.ㅎㅎ흑흑
전 영화(극장 개봉작) 보는 게 특히나 큰맘 먹어야 가능한데, 그래서 그런가, 아주 우연한 충동이 강하게 훅, 하고 들어올 때 그때 보게 되더라구요.^^
날씨가 좀 추워지긴 했어요. 서니데이님도 즐거운 한 주 잘 시작하셨기를요.!
 

남편은 엊그제 아는 형님과 점심으로 짜글이 찌개를 먹었나본데, 점심값을 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 점심값을 내지 않았다고 봤을 때, 가까운 어디 커피숍 같은 데도 없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알고 있었는지, 대신 가까운 데 어디 편의점이 있으니 거기라도 들어가 볼 요량을 부렸고 그게 마치 의기투합인양 두 사람은 그렇게 하기로 했다. 남편은 호기롭게 칸타타 1+1을(행사) 집어들었고 그 칸타타는 매우 따뜻했다. 그런데 그때, 그 아는 형님의 방광에 신호가 왔다. 그 아는 형님은 급히 화장실을 찾았고 그 편의점에서 가장 가까운 데 어디 화장실이 위치한 곳은 유일하게(당연히 유일할 수밖에 없다. 가장 가까운, 이라는 단서가 붙었으므로) 동사무소 건물밖에 없었다. 남편이 가르쳐준 동사무소 건물로 뛰어 들어간 그 아는 형님은 그 길로 뛰어 들어갔고 당연히 몇 분 후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그 길로 그냥 가겠다고, 안마시고 그냥 가겠다고 했다고 한다. 남편은 그에 응해주었는지 그로 인해 남편의 두 손엔 칸타타 두 개가 나란히(아니 겹쳐서?) 들려 있었고 그 길로 집으로 곧장 들어온 남편의 두 손엔 하나는 반쯤 먹다 남은 칸타타가, 하나는 온전히 그대로인 칸타타가 들려 있었다. 난 그로 인하여 뚜껑을 따지 않은 온전한 칸타타 하나와 반쯤 먹다 남은 칸타타 하나(?)를 먹게 되었다. 부질없는 줄 알면서도 부질없는 짓을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이러나 저러나 그래봤자 모두 부질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그 부질없음으로 인해 이 부질없는 인생을 살아가야 하고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버리면 그 단순무식함이 참으로 편리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여기까지만 하고,



이 책에 대해 얘길 하자면, 우선 새해 소망이 하나 생겼다. 아니 소망이라기 보다는 미션에 가깝다. 

이 책에 나오는 몇몇 대목을 정해서(이를테면 153쪽 같은?) 문장을 통째로 외워보는 거.

가능하지 않겠지만 이승우 식으로 말해 보자.

 '그러나 불가능한 일이 일어나는 일이 불가능하지 않은 세상'이라면, 뭐 가능도 할 것이다. 못할 것도 없지 않느냐,고 막 우겨서라도 마구마구 한번 외워볼 생각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7-01-07 09: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외운다는 것은 마음에 문장을 세기는 일..
미션 치고는 아주 마음에 듭니다!~~
알타미라 동굴에 벽화를 세겼던 그 누군가를 닮은듯이!~

컨디션 2017-01-07 10:46   좋아요 2 | URL
ㅎㅎ알타미라급으로 띄워주시는 거예요?격려 감사합니다.^^
음, 제가 이걸 결심하게 된 가장 결정적 이유는요, 이승우 이 책의 문장들이 범상치 않은 정도가 아니라 어쩌면 외우고 읊조리기에 상당히 적격이다 싶어서요. 마치 랩을 하듯이 외우면 놀라운 일이 벌어질 것 같은 예감?

한수철 2017-01-08 21: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좋아하는 소설집 가운데 하나네요.^^

뭐, 그냥 그렇다구요.

컨디션 2017-01-09 14:34   좋아요 1 | URL
한수철님이 좋아하시는 작가 중에 이승우는 단연, 손에 꼽고도 남을 정도라는 것을 아는 것보다 모르기가 더 어렵죠.^^
근데 이승우가 좋아하는(위대하다고 창송하는) 작가가, 주로 카프카, 보르헤스, 미셸 트루니에, 앙드레 지드, 알베르 카뮈, 엔도 슈사쿠, 그리고 이청준...이라는 사실을 오늘 막 알게 되었어요.

뭐, 저도 그냥 그렇..지만은 아니예요.ㅎㅎ
 
신중한 사람
이승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수학 더럽게 못해서 수학이라면 꿈에서도 환장하는 사람인데, 이게 뭔가. <수학의 정석>이 소설로 환생했나. 아아아 두 눈 똑바로 뜨고 봤지만 꿈인지 생신지 몽롱하다. 아니 아주아주 많이 섬뜩하고 살벌하다. 일가를 이뤘다거나 경지에 이르렀다는 건 이런 걸 두고 하는 소리구나. 이승우.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madhi(眞我) 2017-01-06 19: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수학 끄아악 싫어요. 숫자공포증 마저 있어서 산수도 잘 못 한다고 조카한테 무시당해요 ㅠㅠ

컨디션 2017-01-06 20:11   좋아요 2 | URL
흐흐 그러시군요. 매우 반가운 소식(?)이네요. 전 요즘도 수학문제지 풀어요. 꿈에서요.ㅎㅎ

서니데이 2017-01-06 19: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학의 정석요?? 그건 베고 자기 좋은... ^^;

컨디션 2017-01-06 20:13   좋아요 2 | URL
베고 자기 좋다구요? 전 엎드려 자다가 침 흘리기 좋은 쪽 할게요..ㅎㅎ

yureka01 2017-01-07 07: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학에 경끼했던 1인..무서워요.ㄷㄷㄷ

컨디션 2017-01-07 10:36   좋아요 2 | URL
웰컴 유레카님^^ 수학 무서워하는 분들 이 기회에(?) 모두 커밍아웃 하시라고 할까요.ㅎㅎㅎ
 

듣고 싶은 음악도 보고 싶은 풍경도 보고 싶은 영화도 없다. 난 요즘 그렇게 살고 있다. 아, 그러니까 뭘 해도 별로인 것이다. 이해력은 물론이고 감수성이라는 것도 그 실체가 무너진지 오래다. 도무지 뭘 해도 설레지가 않다. 좌표도 없는 희멀건 지도를 펼치면 불안의 너울을 쓰고 달려드는 휑한 도로에서 두리번거리는 내가 있다. 한 명도, 어떻게 단 한 명도 없을 수가 있지?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지? 나를 구원할 누군가에 대한 얘기가 아니다. 내가 구원할 누군가에 대한 얘기다.


.........



한 분야에 꽂히면 끝장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고 들었소. 풍문으로 들었지만 풍문으로만 듣지 않았다오. 풍문이면 풍문이지 뭔 소리오? 하는 분들 위해, 그러니까 이럴 때의 내 유치함의 끝은 어느 정도냐면 이거요. 우편함도 없으면서 날아든 우편물이 있다는 소식을 풍문으로만 듣던 어느 먼나라의 유적지에 머리를 조아리며 졸다가 저 바람소리가 내 방 문풍지 소리인지 풍문으로만 듣던 그 바람인지 사리분별 못하는 딱 그 수준이라오. 아무튼 그 끝장의 정도가 어디냐에 달렸겠지만, 이런 류의 사람들이 흔치 않다는 건 사실 아니겠소. 게다가 축복이라오. 여기엔 희소성의 가치만 있는 것이 아니오. 아니 희소성의 가치만 있소. 그러니까 그 한 분야라는 것이 어떤 분야인가 하는 희소성인 것이오. 이를테면?  글쎄요. 각자 하기 나름 아니겠소? 편하군요. 네 편하오. 불철주야 주구장창 한 우물만 정신일도하사불성 투철한 정신 순전한 몸과 마음 온전히 불살라 맨바닥 육신의 백골 난망난망 하염없이 진토되는 그날까지 한 우물만 파다가 아 그래 콸콸콸 솟구치는 그날에 대한 확신도 기약도 없기로서니 아 드디어 해냈어 언젠가는 이럴 줄 알았어 근데 뭐야 이게 뭐야 이건 아니잖아 잘못 건드렸어 오마이갓 신음처럼 흘러나오는 되돌릴 수 없는 다시는 돌아가지 못해도 괜찮다 괜찮다 이를 악물고 굳게 다짐하는 그런 편안함 이라오. 그나저나 풍문으로만 듣던 그 사람들은 지금 어디서 무얼 한단 말이오. 그 정신으로 정신나간 축복을 챙기는 사람들이 내게도 있기를 내 집에도 들러 주기를. 뭘 더 바라겠소 하는 마음으로 말이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01-04 20: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컨디션 2017-01-04 21:08   좋아요 2 | URL
뭐이런 페이퍼 제가 한두번도 아닌 걸요. ^^ 힘든 일은 언제나 있고 누구나 있는데 그때마다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말을 하는 거죠. 그나마 이런 곳에 서요.

2017-01-04 21: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1-05 10:0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