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대[歡待] :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함. 

"환대를 베풀기 위해서 우리는 거처의 확고한 존재에서 출발해야 하는가, 또는 그보다 진정한 환대는 오직 비호-부재의 해체로부터, 자기-집 부재의 해체로부터만 개화할 수 있는가? 어쩌면 집 없는 경험을 해본 사람만이 환대를 베풀 수 있을지 모른다." 

                                                                                                       - 자크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중에서-

 좋은 책의 좋은 구절을 딱 잘라 가져오는 것이, '좋은'에 담긴 뜻, 즉 책 속의 수많은 해석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그것을 무릅쓴 양해를 구한다. 나는 문득 오늘 롯데와 삼성의 경기 후, 저 두 사람의 모습을 보고 자크 데리다의 <환대에 대하여>가 떠올랐다. 그리고 일찍이 감명깊게 짚어놓은 구절들을 하나, 하나 되짚어 보았다.  

누군가에게 환대를 표시한다는 것은, '나'의 안정성과 '너'의 불안정성을 확인하는 의례일지도 모른다. 내가 처한 기본적인 환경이 불안한데, 당신을 기분 좋게 맞이할 수 있을까? 누군가가 나의 집에 들어왔을 때, 그리고 그 들어오는 누군가가 '떠도는 자'였을 때, 나에게 요구되는 것, 그리고 내가 요구하는 것은 '안전'과 '안정'일 것이다. 사람들은 그 두 요인을 충족시킬 사물을 배치하고, 구입하며, 그것을 활용하여 당신에게 건넨다.  

하지만, 그 이전에 '떠도는 자'에게 우리가 본능적으로 내미는 것은 포도주와 빵이 처음은 아닐 것이다. "당신은 누구십니까?"거기서 시작되는 환대 이전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이후 발생할 예상치 못할 장면, 그 불확실성. 그래서, 사람들에게 '환대'는 익숙한 자들이 익숙한 자들끼리 누려야 하는 사회적 의례가 되기도 한다. 그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 말이다. '안정'의 표상이 타인의 몸을 뒤덮으면, 나는 '안전'의 표시로 그를 맞이한다. 그리고 나의 친절이 따라 나온다.  

그러나, 우리가 이런 질서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건, '환대'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나와 너의 비대칭성이다. 그래서, 데리다는 '이방인'과 '집없음'의 관계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환대'에 대해 다시 묻는다.  

나는 서로 다른 유니폼을 입고 있는 저 두 사람의 모습에서 '환대'의 어떤 기운을 느낀다. 단순히 '레전드'로 남을 은퇴를 앞둔 야구선수와 그의 팀을 상대한 외국인 감독이라는 장면 자체의 소비가 아니다. 한 사람은 평생 거주할 줄 알았던 '집'에서 잠시 방황을 하며, '집 없음'의 고달픔을 체험한 적이 있다(그리고 곧 집을 비워야 한다)[양준혁]. 다른 한 사람은 '타국'이라는 낯선 곳에 있으면서( 자신이 늘 거주할 줄 알았던 집을 나와 )3년째 '이방인'의 자리에 있다[로이스터].   

나는 여기서 '집-없음'이 자아내는 환대의 진정성이라는 것을 생각해본다. 이 선수가 정말 한국야구사를 빛낸 자라는 우리가 너무나 잘 아는 상징성을 알고 있는 외국인의 인사, 그리고 이제 곧 그라운드를 떠나는 실력과 인품을 겸비한 한국 선수의 겸양된 태도라는 인상을 넘어, 이 두 사람이 만들어내는 '환대'에는 우리가 모를, (그리고 그들 각자가 마음 속에 더 간직하길 바라는) 그들 각자의 삶에 대한 순식간의 회고, 그리고 그것에 대한 교류가 있지 않았을까. (물론 이건은 텔레파시라고 불리우는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로)

차라리, 우리가 이 장면에서 '환대의 이유'를 밝혀내어, 그 명시적인 이유에 맞는 감동을 얽어내기보다, 그들에게 나왔던 '환대 그 자체의 기운'이 정작 숨기고 있는 내밀한 감정들, 그것이 정말 그들만의 것임을 이해하고 그들의 장면으로 남겨두는 게 환대의 아름다움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들이 무엇보다 삶의 고수라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단순히 '사람좋은'이란 표현에만 가둘 수 없는. 그들은 그 누구보다 '집-없음'에서 비롯된 환대를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안정과 안전에 대한 이질감을 견뎌낸 사람들만이 취할 수 있는 저 의례에서, 낭만을 넘어선 우리네 삶의 환대를 꿈꿔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9-09 09: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0 21: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http://www.geekculture.com/joyoftech/joyarchives/301_999/692flash.html  

검정색 하프 터틀넥, 리바이스 청바지, 뉴밸런스 운동화.  스티브 잡스의 패션이다.  이 갑부가 이런 단촐한 옷을 왜 입는지 이해를 못 하는 사람이 대다수일 것이다. 어떤 익살스러운 사이트는, 스티브 잡스의 옷을 입혀주는 게임까지 만들었다. 그래서 누가 가장 스티브 잡스에게 새로운 옷을 잘 입혔는지 컨테스트를 열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의 패션에 대해 비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패션을 숭배하는 사람도 있을 듯하다.  

 

'숭배'까지는 아니더라도, 얼마 전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장근석의 '스티브 잡스 따라하기'는 우리 시대의 한 징후를 보여주는 것 같다.  한국에서 기업가를 흉내내는 것은 그동안 고작해야 성대 모사 정도였을 것이다. (당신은 정주영 흉내를 내는 코미디언 최병서의 모습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스티브 잡스가 왜 이렇게 일관된 패션을 유지하려 하는지, 사람들의 궁금증이 여기저기 인터넷에 흔적으로 나타난다. 최근 기사들을 보면, 스티브 잡스가 검정색 하프 터틀넥을 특별히 집착한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그는 일본의 한 유명 디자이너의 터틀넥만을 몇 백벌 갖고 있는데, 더 주문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그 디자이너 측에 주문을 요청했다고 한다. 그리고 잡스의 부탁에 의해 그 디자이너 측이 정확한 촉감과 재질을 요구하는 잡스때문에 미국의 잡스 집에 들려 주문 내용을 체크했다는 일화였다.  

어쩌면 그렇게 놀라울 만한 일화는 아니지만, '이름값 효과'는 잡스의 신화화를 촉진한다.   비범함의 자장 안에서 평범함은 비범함으로부터 구원을 받는다. 그래서 평범함은 사람들로부터 환호의 대상이 될만한 자리에 앉는다.  

 오늘날 우리가 맞닥뜨리는 경제적 질서 안에서, 경제 자본을 위시한 고도의 자본 소유가들이 뽐낼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그 능력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건, 그들이 언제든지 '가난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부자이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가난한 사람의 삶, 혹은 평범한 소시민의 삶을 흉내낼 수 있고, (중요한 건) 다시 자신의 삶을 원상복구 할 수 있다는 것.(그리고 그런 환경이 이미 있다는 것 자체가 자신이 삶의 모험을 걸 수 있는 안전망도 된다) 고로 부자들이 명풍 백화점에 진열된 에르메스의 천만원 단위 백을 어께에 메는 그런 장면으로 묘사되는 우리 시대의 드라마는 다 '후지다'. 오히려 우리 시대의 부자를 잘 묘사해보고 싶다면, 작가들은 부자들이 '가난과 부의 이동을 자기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깊숙히 파고들어야 할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도 방영되면서 인기를 얻고 있는 <언더커버 보스>는 그래서 우리에게 어떤 흥미로움을 준다. 회장님이 몰래 말단 직원들이 있는 곳으로 잠입해서, '암행어사 놀이'를 한 후에 자신의 고해성사를 직원들 앞에서 하고, 칭송을 받는 과정. 그 안에서 우리는 '감동'을 느끼는 것도 좋지만, '감동의 이면' 또한 조용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야, 저거 다 쇼야 쇼.."란 수준의 사고가 아니다. 우리 시대의 자본주의 질서 안에서, 빈자들의 적대가 주목하는 대상은 '부유한 자'가 아닐지 모른다. 엄밀히 말하자면, '가난한 자신이 얼마든지 될 수 있지만, 그래서 그런 자신의 처지와 함께 어떤 동질감을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들은 결국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현실'이다.  

부자는 '부자라서' 부자가 아니라, 부자는 '빈자도 될 수 있는' 부자라서 부자이다. (부자들에게 빈티지는 라이프스타일이지만, 빈자들에게는 자신의 삶, 그 자체의 표상인 것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9-08 08: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9 01: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8 1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9 0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별헤는밤 2010-09-26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한 마디가, 정곡을 찌르네요. 좋은 글 읽고 갑니다. ^^
까만진주씨 http://blackpearls.tistory.com

얼그레이효과 2010-09-27 10:57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스포츠와 관련해서, 가장 듣기 싫어하는 부분 중 하나는. 남자 선수의 결혼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결혼이란, 남자 선수의 성적 향상을 위한 도구로 늘 표현되는 듯하다. "이제. 누구누구 선수. 곧 결혼을 하면. 마음도 안정이 되고.."라고 시작하는 말들.  이러한 표현을 자주 하는 사회를 하나 더 꼽자면, 그것은 바로 '학문 사회'일 것이다. 대학 안에 자신의 방 하나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부리는 여유란, 미혼인 대학원생들의 연애에 늘 '사회학적 개입'의 시선을 던지는 것이리라. 그리고 거기에 맞장구 쳐주는 '딸랑이'들(갓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들). 

여자 친구를 사귄다는 것은  학문을 '잘'하는 데 필요한 일부분이며, 그들은 '예언자적 색조'로 학문 후배의 안녕과 축복을 기원하는 인사로써, "그래 네 나이 때는 있는 게 낫지.."라고 하는 말들이 술자리에서 사정없이 널부러지는 것을 체감하지 못한다. 그것을 주워담을만한 기운이 없는 그들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자신의 삶을 부정하고 있는가를 느끼지 못한 채, 자신을 바라보고 사는 사람에 대한 예의없음을 타인에게 공개해버리는 태도, 그것이 결국 자신이 살아온 삶의 최종 태도라면? 아니, 그것보다 결국 글과 삶이 따로 노면서, 자신의 그 분열적인 속성 자체가, 딸랑이들에 의한"야. 그래도 이 분의 삶을 배워야지. 너 그러면 다 되는 거야"라는 소스와 버무려질 때. 

나는 여전히 그럴수록 "네가 아직 삶을 덜 살아봐서 그래.."라는 답에 대해 내 가운데 손가락을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를 하나,더 만들고 있다는 걸 감추고 싶지 않다. 

학문 사회에서 받은 스트레스에 의한 발열을 알게모르게 당신에게 감추지 않는 '오빠'를 만나고 있는 여성분들이 있다면, 만약 그런 '오빠'들과 장미빛 미래를 설계하고 있는 여자들이라면, 나는 당신이 결혼이라는 가시밭길 중, '교수의 아내'라는 가시밭길은 제발 가지말기를 당부한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오빠가 '교회에서 만난 오빠'와 '대학원 다니는 오빠'들인 사회에서.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9-06 0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6 01: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6 0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6 01: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6 01: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7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8 0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8 11: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9 0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멍하게 본 후, 멍하게 껐다. 아마 올해 최고의 명장면 중 하나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 2010-09-05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최고의 명장면. 말이 필요 없었습니다.

얼그레이효과 2010-09-08 14:30   좋아요 0 | URL
네, 하루님 보고 울컥했어요.
 

 

오하기 야스지. 새벽 2시 조금 넘어서 들으면 좋은, 어느 잘생긴 기타리스트의 음악.  

어느새 데뷔한 지 10년이나 되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0-09-02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걱~~추천을 한 열 개쯤 누르고 싶네여.
많이 좋아여^^

얼그레이효과 2010-09-04 02:39   좋아요 0 | URL
좋으셨다니, 다행입니다~

2010-09-03 0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4 02:4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