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 윈프리의 시대 - 대통령을 만든 미디어 권력
제니스 펙 지음, 박언주.박지우 옮김 / 황소자리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자기 계발 비판 담론에 관심 많은 분들이라면 이 책 꼭 읽어보세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09-10-28 0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점에서 우연히 고른 '대박' 책입니다. 토크쇼와 리얼리티 tv에서 나타나는 신자유주의와 자기계발 담론의 연관성 모색과 이에 대한 비판적 사유는 특히 푸코 후기 연구자들에게 많이 보이는 시선이지요. 저자인 제니스 펙은 진단비평이라는 방식을 통해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 언론학 등의 통합적 학술 비평으로 오프라 윈프리 쇼에 붙은 허위의 라벨들을 떼려고 노력합니다. 오프라 윈프리에 대한 무수한 성공담 류의 책 가운데 아주 진귀한 보물같은 책입니다.

얼그레이효과 2009-10-28 0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이 책은 오프라 윈프리 쇼를 까는 유일한 국내 서적일 겁니다.
 
현대 한국의 사상흐름 : 지식인과 그 사상 1980 - 90년대 당대총서 13
윤건차 지음, 장화경 옮김 / 당대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지식인의 사회학'에 관심 많은 분들이라면 필독 권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09-10-28 0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으시면 옛 지식인들의 역사에는 도통 눈이 어두운 우리 세대들에게 '윤소영' 같은 이름 보면 그 사람 누꼬? 하는 느낌 줄 듯. 사회구성체 논쟁, 한국 국가 성격 논쟁 등등 지식인들의 논쟁에서 빠질 수 없는 일을 포함해 지식인들의 진영 만들기와 그것으로 인해 생긴 갈등들을 나름 잘 정리해 놓았습니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폴리테이아 총서 1
최장집 지음 / 후마니타스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정치평론을 하고 싶다면 이 책 반드시 읽어야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09-10-28 0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촛불 집회 때 최장집의 그 의견이 보다 더 토론의 주제로 드러났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최장집의 당시 그 의견을 무턱대고 '노인네의 잔소리'로 치부했던 사람들은 사실 이 책을 꼼꼼하게 읽지 않고 인상비평을 한 게 컸다고 생각해요.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 5.16에서 10.26까지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2
조희연 지음 / 역사비평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정법과 결과론에 치우친 '박정희'를 거부하고 우리는 '담론'의 박정희를 봐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09-10-28 0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당히 기본적이고 담담하게 그 시대를 기술한 책입니다. 박정희 시대에 관심 많은 분들에게는 좋은 입문서가 될 듯.
 
서울의 잠 못 이루는 밤 - 한국에서의 일 년
베라 홀라이터 지음, 김진아 옮김 / 문학세계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을 향한 '의례적 악수' 대신 '솔직한 수다'를 제시한 건 좋은 선택 같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그레이효과 2009-10-23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상보다 더 높은 '솔직-지수'에 좋은 인상을 받은 채, 페이지를 넘겼습니다. 그렇다고 이 책의 시선이 '발칙한' 수준까지 가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한 나라와 한 나라의 문화 경험에서 '발칙하다', '괘씸하다'라는 표현이 가능할지, 그것은 제겐 의문입니다. 이 책은 '그냥' 그대로 '충실하게' 기록된 서울 여행기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저는 '한국에서의 일 년'이라는 부제로 인해, 그녀에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덧입히는 건 수준 낮은 비판이라고 생각합니다. 일 년이 아닌, 그 이상의 오랜 기간을 경험한다고 해서, 지속되는 그 나라의 '습속'이 달라보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