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
우메노 고부키 지음, 채지연 옮김 / 모모 / 2023년 9월
평점 :

당신이 언니를 죽였나요?
매미 소리가 뒤늦게 내 고막을 두드리고, 나는 포기에 가까운 허무함을 안은 채로 손에 들고 있던 짐을 땅바닥에 떨어뜨렸다. 당신이. 언니를. 죽였나요? (p.24)
책을 읽을 때 사전정보를 갖지 않으려 노력한다. 진짜 유명하다든지, 좋아하는 작가님이라서 기다렸다 만나는 책이 아니고서는 작가가 누군지, 앞의 책이 무엇인지, 이 책은 어떤 내용인지 검색하지 않는다. 오롯이 책 자체로만 책을 즐기고 싶은 욕심에서다. 이 책 역시 일본소설, 친구가 죽는 소설 정도만 알고 시작했다.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은 시골의 몇몇 아이들이 만든 아지트, 피터 팬의 '네버랜드'에서 벌어진 아마네의 추락사를 배경으로 한다. 친구의 죽음으로 영향을 받은 아이들의 삶은 생각과 다른 방향으로 흐르고, 가장 크게 상처받은 기리는 우연히 만나게 된 아마네의 동생 유키네를 통해 타임리프를 시도하며 친구들의 미래를 바꾸려 노력하게 된다.
솔직히 사건이 열한 살에 발생했다는 점이 몰입을 방해했다. 친구들과의 어른도 없이 아지트에서 죽기는 어린 나이기도 하고, 그 나이에 죽은 친구 때문에 8년을 내내 그늘 속에 지내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생각했기 때문. 그 나이의 아이들은 꽤 많은 것을 경험하지만 또 새로운 경험으로 잊고 살지 않나. (사실 이 점은 여전히 유키네를 위해 할 수 없이 나이를 낮추었다 생각하는데, 유키네가 열한 살이라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나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나이를 머릿속에서 지운 상태로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을 읽었다.
개인적으로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에서 몰입되지 않는 포인트가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아이들의 나이였고, 다른 하나는 기리의 태도였다. 물론 후반부에 극적으로 변화하기는 하지만, 스스로의 삶 전체를 말아먹을 정도로 힘겨워했으면서 자신에게 찾아온 '기회'를 너무 소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나 생각했던 것.
사실 나는 처음부터 '그 아이'가 범인이라고 생각했다. 범죄소설을 보다 보면 범인들이 보이는 양상들이 있는데,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 '그 아이'는 그 양상들을 모조리 가지고 있던 것! 기리는 몇 번의 타임리프 후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게 되고, 다소 이해되지 않는 방향으로 사건을 해결한다. 그 해결 방법이 과연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어 책을 덮을 뻔했다. 삶에 대한 주체성이 없는 주인공이 대체 타인에게서 뭘 바꿀 수 있다는 말인가. (개인적으로 스스로를 버리는 사람들이 누군가를 바꿀 수 있다는 설정은 절대 청소년들이 읽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이 컸다. 세상 모든 사람이 '내'가 없으면, 아무것도 없다는 마음으로 '나'의 삶을 살길 바라기 때문에) 그래도 몇 장 남지 않았으니 마저 읽겠다는 마음으로 책을 읽다 보니, 기리도 드디어 스스로를 위해 생각하고 결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어른이 되지 못한 채 과거에 남겨진 웬디이자 팅커벨이기도 한 외톨이인 너의 곁으로. 가까운 듯 하면서도 먼. 닿을 듯 하면서도 닿지 않는. 오른쪽에서 두번째로 빛나는 그 별에 있는 너를 지금부터 내가 데리러 갈게(p.348)”라며 다시 창문을 넘는 기리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이었다. 그 결과 모두가 행복한 여름을 다시 맞이하게 되기도 했고.
내가 일본소설을 즐기지 않는 편이다보니, 대사가 오글(?)거리기도 했고, '추억의 물건으로 후회의 순간으로 가는 타임리프'라는 소재가 낯설게 느끼기도 했다. 하지만 『오른쪽에서 두 번째 여름』은 다양한 독자층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스토리의 유기성도 좋았고, 행동에 따른 변화를 깨닫고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서 느껴지는 깨달음도 있었다.
특히 역설적이면서도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마지막 문장이 너무 좋았다. “그때 '어른이 되겠다'고 결심한 나만이 지금도 여전히 '오른쪽에서 두 번째'로 빛나는 그 여름 일을 기억하고 있다.(p.383)”
'어른들을 갈 수 없는 나라'지만, 어른이 되겠다고 결심한 사람만 기억하는 일.
어쩌면 우리도 하나쯤 품고 있을지 모를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