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 하버드대 박사가 본 한국의 가능성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이만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언론에서 접하던 내용의 상당수가 이 책을 발원으로 하는 것인지? 아니면 짜집기 인지? 어떤 면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고 어떤 면은 전혀 생각치 못했던 부분이다. 한번 쯤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어려운 내용이 없으니 술술 읽어내려갈 수 있다. 전문적인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외국사람의 입장에서 바라본 현 한국사회의 미비한 점을 캐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 기억나는 부분이 있다. 저자는 완곡하게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다.

 

"한국은 어느새 심각한 고령화 사회가 되었으며, 이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 고령 인구는 별도의 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수를 앞세워 젊은 층에 손해를 끼치면서까지 자신의 이익을 옹호아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매우 공감가는 내용이다. 조금은 적나라하게 --그리고 기성세대의 관점에서 보자면 싸가지나 버릇없게-- 말하자면, 노인층이 젊은이들의 앞길을 훼방놓고 있다는 얘기다. 지금의 한국 정치/경제/사회 부분을 생각해보면 많은 사람이 동의할 것으로 여겨진다. 사람은 나이를 먹을 수록 보수화되는 경향이 있으니까 말이다.

 


또 하나는 이 좁은 반도에 갖혀 살다보니, 생각마저 협소하게 변해버렸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비단 저자만의 생각은 아니다. 사실상 우리나라는 섬나라와 마찬가지고 그러다 보니 세계적인 관점에서 뭔가를 도모하는 것이 부족하다. 불행한 근현대사를 생각해보라. 저자는 여기에서 조선시대의 병세의식을 얘기하면서 우리나라 지식인들의 역할을 촉구하고 있다.

 

그건 뭐냐? 소통이다. 한중일의 대화. 우리가 주체적으로 나서서 중국과 일본을 통섭의 장으로 이끌어내자는 얘기다. 저자의 말을 들어보자.

 

"역사적 앙금으로 말하면 유럽 국가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통합에 성공했다. 역사적 앙금 그 자체는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그것은 지식인들의 교류가 충분하지 못하고 그래서 진정한 지식의 교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 지식인의 상호 교류는 세 나라 사이에 어떤 장벽이 존재하는 것처럼 제한적이다.

200년 전 한국과 중국, 일본 지식인들은 서로 활발하게 교류했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들이 형성하는 지적 공동체, 즉 병세의식倂世도 존재했다...........중략........

 

그리고 이 시기 통신사의 일원으로 일본에 건너갔던 조선 지식인들과 일본 문사와의 사적 교류도 흥미롭다. 이전과 달리 상대를 얕잡아 보는 근거 없는 우월의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일본 지식인을 지식 교류의 장에서 대등한 파트너로 인정하기 시작한 것은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하는 태도가 틀렸어요 - 깨지고 까여도 출사는 계속된다, 박찬원의 열혈 사진 공부 이야기
박찬원 지음 / 고려원북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으로서는 내용이 좀 부실하다. 별 내용은 없고 그냥 사진 에세이집 정도로 생각하면 될것이다. 한 시간 정도면 다 읽을 수 있다. 작가가 70을 바라보는 나이에 대학원에 입학하여 사진을 전공하는 내용인데, 거기에 자신의 경험과 느낌등을 적고있다.

 

보통 사람이라면 이 나이에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는 사진을 하면서 인생의 즐거움을 찾았고 더 나아가 사진작가로서 예술가로서 명성을 날리고 싶다는 염원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는 부분에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겠다.

 

책 내용 중에서 공감가는 내용을 조금 적어본다면, 최광호 작가는 아래와 같이 말했다고 한다.

 


'사진 찍을 것이 없을 때는 10년 후의 모습을 상상해 보라. 주위 사물이 새롭게 보일 것이다. 360도 돌아가며 찍어 보라. 찍을 것이 없을 때는 나를 생각하라. 나의 증거를 남겨라, 잘 찍는 것보다 자기다운 사진을 찍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작품을 보고 기뻐해야 한다.

 

 예술이란 내가 가진 해피 바이러스의 파장이 퍼져나가는 것이다. 항상 카메라를 갖고 다녀라. 피사체가 찍어 달라고 다가온다. 그 순간을 놓치지 마라. 작업이란 하나가 되는 것이다.  끊임없이 나를 시험하라. 나를 시험하는 것은 다른 방법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워렌 버핏의 위대한 동업자, 찰리 멍거 - 가장 완벽한 가치투자가 찰리 멍거의 생각 속으로 들어가 본다
트렌 그리핀 지음, 홍유숙 옮김, 임정호 감수 / 처음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허접스런 책이 또 한 권 나왔다. 또 속았다. 이런 짜증나는 개떡 같은 책을 메리 버핏에 이어서 트렌 그리핀이라는 인물이 또 한권 펴낸 것이다. 엄청난 지면의 낭비, 자원의 낭비다. 사지 마라. 사면 후회한다. 아무런 내용없다.

 

사실, 워렌 버핏에 버금가는 투자자가 바로 찰리 멍거인데, 그가 손 수 쓴 책은 아직까지 1권도 없다. 그러다보니 멍거의 대한 호기심이 일어서 그에 투자원칙이라든가? 뭐 이런걸 조금이나마 알고 싶어서 집어든 책이다. 그런데 웬걸. 멍거가 짧막히 언급한 몇 단어를 가지고 작가가 자신의 허섭스런 설명을 사족처럼 붙이고 있는 것이 전부다.

 


예를 들어보자면,

 

"나는 EBITDA라는 단어를 듣은 것조차 싫다. - 찰리 멍거, 6개 비즈니스 스쿨과의 Q&A, 2009"

 

라는 원글의 출처를 밝힌다. 그리고 그에 대한 약간의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 전부다. 도대체 이게 뭐야. 이런 단편적인 것으로 뭘 하겠다는 건지, 그저 책이나 한 줄 내서 용돈이나 벌어보자는 수작으로밖에는 안 보인다. 아후 짜증나!!!!

 

워런 버핏과 찰리 멍거, 이 두사람은 자신이 직접 쓴 책이 여태까지 한 권도 없다. 전부다 주변 사람들이 그의 어록을 몇 줄 집어넣고 자신의 설명을 덧붙여온 것이 전부다. 지금까지 이 두사람의 투자원칙이나 투자방법이라고 소개하면서 나온, 모든 책들이 그러하다. 증말증말 짜증짜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 아닌 진짜 사진 이야기
제이 마이젤 지음, 박윤혜 옮김 / 시그마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4 정도 크기의 사진집 겸 에세이? 겸 설명서? 라고 할 수 있는 책이다.
책을 펼치면 좌측에 작가의 감상과 에피소드, 약간의 조언과 의견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에 사진이 큼지막하게 인쇄되어 있다.

작가는 광고사진계에서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게리 위노그랜드나 리 프리드랜더와 친구사이라고 하면 어느 시대에 활동하고 있는지, 또 그의 위상이 미국 사진계에서 어느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글 쓰는 스타일이 유머러스하고 개성적이다.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을 담고 있다. 누구를 가르치려고 하는 글도 아니고 조언이나 충고를 하지도 않는다. 조곤조곤 대화를 하는듯 하다. 공감하는 내용을 소개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다만, 나는 이게 좋아  또는 나는 이게 싫어 라고 말하는 것은 비평이 아니라는데 방점을 찍고 싶다. 이는 그저 의견일 뿐이다.

예술이 직선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어떤 비평을 대하더라도 전부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의견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우리는 기꺼이 틀릴 각오가 되어 있다.....중략....

 

다만 나를 아무 말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던 비평이 하나 있었다.

 

"저 사진은 왜 찍은 거죠?"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오 이런, 저는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제가 저 사진을 왜 찍었는지 당신 눈에 보이지 않는 다면 당신을 이해시킬 다를 방법이 없어요"

 

이것은 마치 농담을 설명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필자도 자주 이런 얘기를 듣는다. 뭔가 사진에 몰두하고 있으면 어느새 다가와서 뭘 찍는지 묻고는 한다. 고양이 사진을 찍고 있으면 왜 고양이 사진을 찍는지 묻는다. 질문자의 입장에서는 그저 호기심에서 그냥 단순하게 묻는 것일 수 있지만, 대답자는 딱히 뭐라고 꼭 찝어서 정답을 말할 수가 없다. 말문이 막힌다. 그러면 상투적으로 대답할 수 밖에 없다. 그냥 좋아서 찍어요.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 불변의 법칙 - 거장의 사진으로 배우는 사진
해럴드 데이비스 지음, 공민희 옮김 / 비즈앤비즈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제목은 거창한데 별 내용 없는 책이다. 125쪽 밖에 없는 빈약한 내용이다. 부제로 거장의 사진으로 배우는 사진이라는 타이틀이 붙었지만 사진에 대한 해석도 미흡하고, 인터넷에서 아주 많이 봐왔던 사진 몇 장을 소개하는 것이 전부다.

 

 책 소개에서는 복잡한 그래프나 도표, 어려운 사진 용어는 필요 없다고, 그래서 거장의 사진에서 변치 않는 사진의 원칙을 배워보자고 한다. 근데 도무지 신선한 부분이 없다. 그 나물에 그 밥, 그동안 수많은 사진을 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다뤄 온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어떤 부분은 번역도 약간 헷갈리게 해 놓았다. 사진 초보자가 보기에도 그렇고 중급자 이상은 더 말할 나위가 없이, 한 참 부족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