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친구는 나르시시스트 ㅣ 생각학교 클클문고
조영주 지음 / 생각학교 / 2024년 11월
평점 :
이 도서는 협찬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왕따와 자존감에 대한 이야기다.
사춘기 여중 2학년들의 친구 관계 속에 담긴 이야기를 섬세하게 그려내었다.
학내 왕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보여준다.
왕따를 견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보여줄 때 먹먹해진다.
한 명의 절친이 있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려줄 때 이것은 더 강해진다.
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현실의 상황을 반영해서 세밀하게 표현했다.
하지만 결코 쉽게 판단을 내리지 않고, 독자에게 결말을 맡긴다.
이 열린 결말은 모든 사실이 밝혀질 때 가능한 것이다.
현실에서 이런 사실들이 모두 밝혀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왕따에 친구가 없던 해환을 중심에 놓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해환의 가족은 택배 일을 하는 아빠와 도서관 계약직 사서인 엄마가 있다.
엄마는 해환이 바라는 스마트폰을 사주지 않고, 이 때문에 해환은 아이들에게 왕따당한다.
이런 해환에게 반 최고의 인싸 나애가 다가온다.
나애는 환에게 스마트폰을 선물하고, 새벽에 같이 운동을 한다.
이 스마트폰으로 다른 친구들과 연결되지만 주로 톡이 오는 것은 나애다.
나애의 독촉과 이 독촉을 그대로 이행하는 환은 외모에서 변화가 생긴다.
살이 빠지고, 여드름이 사라지고, 헤어스타일 변화로 다른 아이가 된다.
반 친구들이 해환을 보는 시선에 변화가 생긴다.
나애가 반의 중심에 서면서 왕따로 바뀌는 아이가 정안이다.
정안은 1학년 때 반장이었지만 2학년에 올라오면서 나애의 눈밖에 났다.
정안 이전에 왕따였던 해환에게 이런 모습은 불편하기만 하다.
이 둘이 연결되는 것은 도서관에서 우연히 마주친 뒤다.
둘은 교환일기를 작성하면서 조금씩 가까워진다.
정안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 두려움은 이전에 해환이 경험한 것들이다.
하지만 정안과 나애 사이를 중재하려는 노력은 쉽지 않다.
작가는 이런 노력과 상황, 불안감, 주저함 등을 세밀하게 다룬다
그리고 곳곳에 다음 사건을 암시하는 장치들을 앞에 깔아둔다.
읽다 보면 사실과 거짓이 교차하고, 누가 사실을 말하는지 의문이 생긴다.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이 이런 사실들을 모두 판단하기는 너무 어렵다.
작가는 자신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열린 결말로 마무리한다.
이 과정 속에 혼란과 두려움과 의심으로 가득했던 해환의 성장이 돋보인다.
앞으로 나아가려는 의지와 노력, 그 한 걸음이 어떤 미래를 만들지 모르지만 대단하다.
다른 친구들처럼 왕따와 차별이 아닌 미워하지 않고 이해하고 현실을 직시하려는 모습은 멋지다.
그리고 소설 곳곳에서 해환의 부모님이 보여주는 모습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 딸에 대한 신뢰, 시간을 주고 기다리는 마음 등.
이것과 대비되는 집이 나애의 집인데 어디까지 사실인지는 나오지 않는다.
이 소설을 끝까지 읽고 씁쓸함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해환 같이 전교1등이 아닌 아이들 때문이다.
정안은 해환이 손을 내밀어주었지만 이런 친구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누군가 해환처럼 왕따당하는 친구에게 손을 내밀어 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