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 ㅣ 설자은 시리즈 1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10월
평점 :
통일 신라 신문왕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설자은 시리즈 2권이 얼마 전에 나왔다.
개인적으로 이 시리즈보다 <보건교사 안은영> 시리즈를 더 기대했다.
아마 훨씬 먼저 나왔고, 판타지 요소가 강하게 들어 있어 그런 모양이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설자은 시리즈가 먼저 나왔으니 이것부터 즐기자.
설자은의 실제 본명은 미은이고, 성별도 여성이다.
당나라 유학 가기로 한 오빠 자은이 병으로 죽자 셋째 오빠가 남장을 해서 보냈다.
유학 자금도 환불받을 수 없고, 자은과 닮은 외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이 남장을 하고 홀로 유학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작가는 이 유학 시절 이야기는 아직 풀어내지 않고 있다.
네 편의 연작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편 <갑시다, 금성으로>는 당에서 귀국하는 배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다룬다.
추레한 모습을 한 자은이 다른 유학자들과 다른 배를 타고 귀국한다.
이런 그에게 살짝 살갑게 다가오는 인물이 있는데 바로 목인곤이다.
목인곤은 백제 출신 장인인데 자은이 미스터리를 푸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둘이 콤비를 이룬 설정은 수많은 미스터리의 설정과 닮아 있다.
그리고 목인곤은 자은이 여자라는 사실을 알고 나중에 설자은 집에 식객으로 머문다.
첫 단편은 이 둘의 만남과 배의 살인 사건과 미스터리한 실종을 다룬다.
쉽게 생각할 수 없는 트릭의 이면에 숨겨진 사실의 조각은 씁쓸하다.
금성에 돌아온 설자은의 본격적인 미스터리 해결은 <손바닥의 붉은 글씨>에서 시작한다.
나당 전쟁의 공신이었지만 모든 부하를 죽인 장군의 죄책감과 업화를 연결했다.
밖에서 보기에는 전쟁 영웅이지만 자신은 그 현장에서 죽지 못한 것을 한탄한다.
이런 그가 병들고 손에 이상한 글자가 나타나자 업화라고 집안 사람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오빠 설자은과 아는 사이인 듯한 딸 산아가 자은에게 사건 해결을 부탁한다.
자은은 자신의 정체를 아는 여동생 도은의 도움으로 이 집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 괴이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한다.
이 과정에 그 부대원이었던 두 사람과 그 날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인곤의 도움과 자은의 추리력이 합쳐져 사건을 풀어낸다.
마지막에 펼쳐지는 서늘하고 참혹한 장면은 이 시대를 다시 떠올리게 한다.
<보름의 노래>는 신라 시대 길쌈 대회를 배경으로 한다.
두 패로 나누어 누가 더 많이 옷감을 지어내는가 하는 대회다.
도은의 패가 나라에서 준 베틀로 베를 짜는데 잠시 쉬는 사이 베틀이 부서졌다.
누가 의도적으로 베틀을 부순 것인데 수상한 일이다.
다행이라면 인곤의 탁월한 능력으로 금방 새롭게 베틀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시간만큼 베를 짜지 못해 질 수밖에 없다.
누가, 왜 이런 행동을 한 것일까? 상대 패에서 이기기 위해 한 행동일까?
이것을 조사하는 과정에 드러나는 일들은 여성 잔혹사의 사연들이다.
설자은의 관찰력과 추리력이 결합되면서 사건의 실체가 드러난다.
마지막 단편 <월지에 엎드린 죽음>은 왕의 연회에서 벌어진 죽음을 다룬다.
아름다운 경주의 월지를 떠올리면서 읽다 보면 내가 얼마나 많은 곳을 놓쳤는지 알 수 있다.
이 이야기 속에 자은의 전 연인으로 추정되는 산아의 남편 진오룡이 등장한다.
진오룡의 질투와 호승심이 기본적으로 이야기에 깔려 있다.
이것은 추후 다른 시리즈에서 둘의 갈등이 벌어질 것을 암시하는 듯하다.
그리고 이 연회의 하이라이트인 매잡이 공연이 펼쳐진다.
멋지게 매는 다른 새를 잡고, 매잡이의 품으로 돌아간다.
연회가 화려하게 진행되는 순간 이 매잡이의 시체가 월지의 연못에 떠오른다.
왕이 있는 연회에서 시체가 떠다니다니 놀라운 일이다.
조용히 있으려는 자은으로 하여금 이 문제를 풀게 하는 인물은 오빠인 호은이다.
사건을 해결한 후 드러난 사인은 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숨겨진 다른 사연들은 시대의 비리를 알려주고, 마지막 장면은 의미심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