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우리 아이들을 (2023.4.28.)

― 인천 〈그루터기〉



  한봄이 깊어 늦봄으로 접어드는 즈음에는 덩굴풀과 덩굴나무 잎이 반짝반짝 새로 퍼지며 고와요. 덩굴잎도 나물입니다. 갓 돋으면 그대로 훑고, 살짝 길게 뻗으면 데쳐서 누립니다. 둘레에서는 두릅싹을 많이 즐기는 듯싶은데, 찔레싹도 더없이 빛나는 봄나물이에요. 갓 돋는 감잎도 느티잎도 싱그러이 나물입니다.


  우리가 못 먹을 풀은 없습니다. 조금 센 풀은 있을 테지만, 세면 센 대로 여리면 여린 대로 이바지하는 풀이에요. ‘풀어’ 주기에 풀이요, 온누리를 ‘품’기에 풀입니다. 봄날 풀밭에 드러누우면 봄빛이 우리를 품는 숨결을 누릴 만합니다. 예부터 모든 아이어른은 맨발로 걷고 맨손으로 쥐면서 온몸을 푸르게 물들였어요.


  다만 임금과 나리와 벼슬아치는 온몸을 치렁치렁 감싸고 해를 등진 채 감투를 썼어요. 맨발도 맨손도 아니던 이들은 ‘먹물’이고, 우리가 읽는 ‘역사책’에 이름이 남을는지 모르나, 이들한테서는 ‘삶·살림·사랑’이 없어요.


  인천 그림책집  〈그루터기〉로 걸어가는 길에 인천시청 앞을 지나갑니다. 시청 둘레 길나무에 걸개천이 잔뜩 달립니다. 왜 나무줄기에 걸개천을 맬까요? ‘플라스틱끈’으로 감긴 나무는 앓습니다. 아무리 뜻있는 글을 걸개천에 담더라도, 나무줄기에 친친 감는다면 부질없어요. 살림이 아닌 죽음글 같습니다.


  하루를 여는 길이란, 언제나 햇빛이요 바람결입니다. 시골도 서울도 해가 뜨고 구름이 흐르고 비가 내리기에 누구나 숨쉴 수 있어요. 해바람비는 풀꽃나무를 푸르게 물들이고, 우리는 맨몸으로 풀내음을 머금으면서 앙금을 풀어 서로서로 품는 사랑을 숲빛으로 나눌 만합니다. 그림책이라면 모름지기 숲살림을 그려야지 싶습니다. 노래꽃(시)이라면 언제나 숲바람을 옮겨야지 싶습니다.


  올해는 봄비가 잦으면서 하늘이 무척 맑아요. 지난 열 몇 해 사이에 3∼5월은 이른더위였어요. 올해는 새롭게 나아가는 하늘길을 밝히는 봄비가 적셔 줍니다. 그러니까, ‘초록·녹색’이 아닌 ‘풀빛’을 말할 노릇입니다. 하늘빛인 ‘파랑’이라는 빛깔은 ‘늘사랑’을 밝히는 숨결이라는 대목을 아이들하고 나눠야지 싶어요. 타오르는 빛깔인 ‘빨강’은 불길(열정·분노)이기에 살림하고는 멀어요.


  그림책에 담는 글이 노래(시)입니다. 노래는 신나게 놀 적에 부릅니다. 놀이는 살림하는 어버이 곁에서 아이들이 불러요. 어버이는 서로 사랑으로 마주하며 보금자리를 일구지요. 늦는 글이나 길은 없습니다. 모든 글이나 길은 제때에 태어나요. 이 글 한 자락은 이웃님한테 바람길을 타고서 사뿐히 내려앉는 봄글이 되고, 마음길을 열어 줄 테지요. 온누리 우리 아이들이 실컷 놀고 노래할 수 있기를 바라요.


ㅅㄴㄹ


《작은 임금님》(미우라 타로/황진희 옮김, 비룡소, 2023.1.26.)

《야마시타는 말하지 않아》(야마시타 겐지 글·나카다 이쿠미 그림/김보나 옮김, 청어람미디어, 2023.3.18.)

《헤이즐의 봄 여름 가을 겨울》(피비 월/신형건 옮김, 보물창고, 2023.4.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포근히 (2023.1.26.)

― 순천 〈책방 심다〉



  아이들 옷가지를 장만하려고 순천에 나온 길입니다. 〈책마실〉에 먼저 들르고서 〈책방 심다〉로 찾아가는데, 들목에 종이 한 자락이 붙습니다. 길게 쉬는 줄 알았으나 슬쩍 들렀는데 아직 새로 열려면 멀었군요(그러나 6월에 이르러 새롭게 열었습니다).


  고흥에서 순천으로 건너오는 시외버스에서 쓴 노래꽃이며 주섬주섬 글월집(편지함)에 얹습니다. 이제 집으로 돌아가려다가 책집 앞 ‘필름뽑기’를 물끄러미 들여다봅니다. 저는 필름찰칵이를 쓰던 무렵에 ‘일포드’를 썼습니다. 바탕은 ‘감도 400’이되 ‘1600 띄움’을 할 수 있는 필름이었어요. 그런데 일포드 필름을 쓰는 사람이 드물고 다들 ‘티맥스’를 쓰는 터라, 일포드 필름을 장만하려면 미리 말을 넣어 서른이나 쉰쯤 받았습니다. 예전에는 부쳐 주지 않았으니 필름집에 꼬박꼬박 찾아가서 값을 치르고서 받았어요. 얼추 이레마다 새로 샀습니다.


  남다르게 하려면 무엇이든 어렵다지만, 나답게(나대로) 하려면 안 어렵지 싶어요. 찰칵이를 손에 쥘 적에도 ‘니콘·미놀타·캐논’ 세 가지를 다 다뤄 보고서 제 눈과 빛에 맞는, 여기에 주머니에 맞는 아이로 갈무리했습니다. 중형·대형·파노라마를 쓰고픈 마음도 있었으나, 주머니에 맞추어 더 뻗지 않았습니다.


  저는 책집마실을 하면서 책집만 찍었기에, 필름값보다 책값을 더 쓰는 살림이었고, 책을 미루며 찰칵이를 살 수 없는 터라, 마지막으로 캐논찰칵이가 숨을 거둔 날, 어쩌나 하고 눈물지으니, 오랜 벗님이 “우리 아버지가 쓰던 찰칵이를 빌려줄 테니까 받으라”고 하면서 니콘찰칵이를 물려주었어요. 캐논을 쓰다가 니콘을 쓰니 허벌나게 잘 받고 잘 나오더군요. 책집을 빛꽃(사진)으로 담을 적에 필름으로는, “니콘 + 일포드 400을 1600으로 높인 결”이 가장 어울렸다면, 디지털로는 “캐논 100디 + 자연광”이 가장 어울린다고 느낍니다. 빛결은 ‘-1 또는 -1.5’로 조금 어둡게 하고, 디지털은 되도록 ‘감도 100’을 지키면서 셔터값을 낮춥니다.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서 책을 읽다가 덮습니다. 가만히 눈을 감고서 지난날을 되새기고, 오늘 걷는 하루를 돌아봅니다. 그동안 달린 길은 무엇이었는지 곱씹습니다. 바쁠 적에는 그저 달리기만 해도 즐겁더군요. 바쁘게 달리면서 모든 앙금을 훌훌 털 수 있으니까요. 아이들하고 살림을 짓는 오늘은 늘 아이들한테 맞추어 살아가는데, 어버이로서 아이한테 맞추는 길이란 ‘어버이다움’이지 싶습니다. 어버이는 아이한테서 사랑을 배워서 깨닫고, 아이는 사랑을 깨달은 어버이한테서 살림을 물려받습니다. 포근히 밤빛을 맞아들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모든 풀은 들꽃 (2023.4.14.)

― 부산 〈카프카의 밤〉



  〈글밭〉에서 산 책은 빗물에 안 젖도록 쌌습니다. 빗줄기는 차츰 굵군요. 망미동에서 슬슬 걸어 연산동으로 건너옵니다. 빗길입니다. 비가 오는 길입니다. 비를 맞으면서 걷습니다. 맨몸으로 비를 맞으며 걷는 분이 드문드문 있습니다. 슈룹(우산)을 미리 안 챙겼으니 빗물에 젖을 수 있고, 이맘때 봄비는 우리 숨결을 살려주는 아름다운 윤슬이라고 여겨 반가이 누릴 만합니다.


  안골목으로 걸으니 연산고을책숲(시립도서관)이 나오고, 이 곁에 〈카프카의 밤〉이 있습니다. 책숲 곁에 책집이군요. 한켠은 너른터이고, 맞은켠은 작은터입니다. 이켠은 이야기숲이고, 맞은켠은 이음터입니다.


  모든 풀은 들꽃입니다. 꽃이 피지 않는 들풀은 없습니다. 모든 나무는 숲꽃입니다. 꽃이 없는 나무는 없어요. 마을을 보려면 마을사람이라는 마음으로 천천히 거닐면 됩니다. 아이들은 쇳덩이(자동차)를 몰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걸어다닙니다. 아이들이야말로 빛나는 마을지기이면서, 마을살림을 보여줍니다.


  책집 〈카프카의 밤〉에 닿습니다. 빗물을 바깥에서 가볍게 털고서 들어섭니다. 이곳은 작은숲입니다. 큰숲 곁에 작은숲입니다. 로라 잉걸스 와일더 님이 쓴 《큰숲 작은집》(Little House in the Big Woods)이 떠오릅니다.


  걷다 보면, 부스러기를 걷어내는 눈빛을 느낍니다. 스스로 걷지 않고, 천천히 걷지 않고, 아이랑 손잡고 걷지 않는 사람들이 글과 말로만 읊는다면, 이들은 ‘겉·허울(위장진보·위장지식인)’일 테지요. 글을 쓰고 말을 하는 사람으로 넋이 제대로 박히려면, 두 다리로 걸을 노릇이지 싶어요.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보금자리에서 걷고, 마당에서 걷고, 뒤뜰을 걷고, 숲을 걷고, 골목을 걷고, 이웃집으로 걸어가면, ‘겉·허울(위장진보·위장지식인)’로 둘러싼 부스러기(위장진보 출판사·위장지식 출판사)를 한 올 두 올 걷어낼 만하지 싶습니다. 두고두고 이을 아름책은 언제나 ‘걷는이’가 썼어요. ‘안 걷는이’는 늘 허울스럽습니다.


  다시 길을 나설 즈음 〈카프카의 밤〉 지기님이 슈룹을 건넵니다. 비를 맞으며 걸어도 즐겁지만, 비를 가리며 책을 아껴도 즐거운 일입니다. 빗길을 걷다가, 예전에 〈연산헌책방〉이 있던 곳을 어림합니다. 〈연산〉 책집지기님은 요새 무엇을 하시려나 하고 돌아봅니다. 해가 질 무렵 하루일을 마감하면서 “술 한 모금에는 책 하나가 가장 좋은 안주 아임니꺼?” 하며 웃던 얼굴을 떠올립니다.


  사랑으로 바라보아 주기에, 사랑씨앗을 알아보며 품어주는 손길을 누려요. 사랑이 없기에 바라보지 않고, 사랑을 잊었기에 마음도 글빛도 목소리도 잃어요.


ㅅㄴㄹ


《소리 교육 2》(머레이 셰이퍼/한명호·박현구 옮김, 그물코, 2015.9.20.)

《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야나부 아키라/김옥희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0.3.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마실꽃
2023.5.31.

#김휘훈 님 #응시 #키위북스 를 기리는
조촐한 책수다가
#수원책집 #마을책집
#책먹는돼지 에서
오늘 열렸다.

#숲노래 씨는 오늘 서둘러 보낼
마감글을 마치느라
인천에서 조금 늦게 전철을 탔고
한창 이야기를 펴는 때에
수원에 닿았기에
책집 밖에서
조용히 #노래꽃 을 판에 옮겨적었다.

햇볕이 따사로운
오월 끝날,
#헌책집 #오복서점 이
마지막으로 연다고 했다.
#책숲마실 #숲노래노래꽃

서른세 해를 걸어온 수원책집이
이제 가게(매장)를 접으면서
수원에는 #헌책방 이 다 사라졌다고
할 만하다.

수원에 마을책집이 그토록 많으나
헌책집은 #전멸 을 해버리는구나.

속으로 눈물을 삼키면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를 기다린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마실꽃

2023.5.21.


#부산에서 #이야기꽃 을 마쳤고

다음달 6.9-6.10.에 새로

#동시쓰기 + #첨삭지도

#글놀이 를 하기로 했다.


어버이가 아이하고

글놀이를 하듯

상냥하고 부드러이

글꽃으로 노는

이야기꽃을 꾸리려 한다.


#부산책집 #카프카의밤 에 드릴

책 하나 샀다.


#부산보수동 #보수동책골목 에서

#책집마실모임 을 했고

#대영서점 에서

#어느학술원에드리는보고 를

만났다.


#프란츠카프카 책은

언제부터 얼마나

우리말로 나왔을까?

일본책으로 옮기지 않은 카프카는

언제부터일까?


일본책을 안 옮겼어도

#우리말스럽지 않은 카프카가

너무 많다.


#숲노래 #숲노래노래꽃


강사도 청중도 함께

생각을 나누며

서로 새롭게 배우는

즐거운 이야기꽃을 헤아리는

이웃님이 늘기를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