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1.22.


우리 마을에는 우리 집에서 한창 밥을 지을 적에 택배가 오곤 한다. 마을로 들어오는 자동차는 택배 짐차에 이장님 짐차에 우리 윗집 짐차를 빼고는 더 없는 터라, 택배 짐차가 대문 앞에 서면 아이들도 나도 소리를 바로 알아챈다. 그렇지만 손에 물이나 기름을 묻힌다거나 부엌칼을 쥔 채로 택배를 받으러 나가지 못하고 아이들한테 심부름을 맡긴다. 빨래를 널다가 택배를 받으면 그나마 고맙다는 말을 내가 건넬 수 있다. 오늘은 한창 밥을 하다가 택배 짐차가 서는 소리를 들어서 큰아이가 받아 준다. 책이 왔네. 밥을 다 지어서 차려 놓고서 책꾸러미를 연다. 여러 책 가운데 《동사의 맛》부터 읽어 본다. 글쓴이 스스로 ‘이름 높은 이(명사)’가 아닌 ‘움직이는 이(동사)’라고 하기에 뭔가 다른 글을 쓰거나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려나 하고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동사의 삶》에서 ‘움직이는 모습이나 일이나 이야기’는 첫 쪽부터 끝 쪽까지 하나도 못 찾았다. 글쓴이는 글이나 책은 제법 읽고 강연을 늘 다닌다고 하는데, 이밖에 이녁한테서 ‘움직이는 삶’이란 무엇인지 하나도 알 길이 없다. 더욱이 이 책에는 글쓴이 삶이 묻어나지도 않으나, 글쓴이 생각도 너무 적다. 책 하나를 통틀어 다른 사람이 다른 책이나 누리집에 쓴 글을 따오면서 엮는다. 글쓴이는 ‘-의’나 ‘-적’이나 ‘것’을 털어내야 글이 깔끔하면서 훌륭하다고 밝히지만, 정작 글쓴이부터 ‘-의·-적·것’을 얼마나 많이 쓰는지! 책이름조차 일본 말씨 같은 “동사의 삶”이다. 움직이는 삶이란 없이 책에서 따온 글만 넘쳐서 대단히 씁쓸하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당에서 읽은 책 2017.11.19.


아이들하고 책숲집에 다녀오면서 저마다 손에 책을 하나씩 쥔다. 오늘은 작은아이도 “집에서 더 보려고”라는 말을 남기며 책 하나를 챙긴다. 멋지네. 오늘은 놀이돌이에 그치지 않고 책돌이가 되는구나. 나는 《하모니카 부는 오빠》라는 시집을 손에 쥔다. 장만해 놓은 지 한 해가 지나도록 못 펼쳤으나, 요즈막에 비로소 온갖 바쁜 일을 거의 마무리지은 터라, 묵힌 책을 하나하나 들춘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정작 시인은 이 땅에 벌써 없는 줄 깨닫는다. 시인이 이 땅을 떠나고 나서 시집이 태어났다고 한다. 마치 노랫소리 같은, 휘파람소리 같은, 어느 모로 본다면 하모니카 소리하고도 닮은 가을바람 부는 소리를 듣는다. 시골집 마당이란 얼마나 대단한가. 자동차 달리는 소리 아닌 가을바람 부는 소리를, 이 가을바람이 가을잎을 흔드는 소리를, 이 가을바람을 타고 멧새가 먹이를 찾아 부산히 날아다니는 소리를, 겨울오리가 찾아오며 하늘을 가르는 소리를, 또 아이들이 까르르 웃으며 뛰노는 소리를 들으며 마당에서 시집 하나 읽을 수 있으니.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11.20.


이주 금요일에 진주에 있는 진주문고로 ‘사전과 말’ 이야기꽃 마실을 나선다. 마무리할 일을 얼추 마무리했고, 새로 나온 내 책도 알맞게 부쳤다. 이달 끝무렵하고 다음달에 이야기꽃 마실을 갈 다른 세 군데에 보낼 것이 있어서 읍내 우체국으로 간다. 작은아이가 따라나선다. 가볍게 노래를 들으며 군내버스에서 《한글의 탄생》을 읽는다. 이 책은 2011년에 나왔으나 나는 굳이 여태 안 읽었다. 군내버스하고 읍내 놀이터에서 1/3쯤 읽는데, 모두 예전에 읽거나 배워서 아는 이야기이다. 책을 읽으며 어찌 이 줄거리를 다 읽거나 배웠나 돌아본다. 먼저 고등학교를 다니며 옛말본을 꼼꼼히 배웠다. 대학교에 들어가서 통·번역 공부를 하면서 혼자 익혔다. 대학교를 그만두기로 한 뒤에 이 나라 모든 국어국문학과 교재와 참고도서를 찾아 읽으려고 도서관하고 헌책방 책시렁을 샅샅이 살피면서 스스로 익히기도 했다. 《한글의 탄생》을 일본말로 읽는다면 퍽 뜻있을 수 있겠다 싶고, 일본사람한테 한글·한국말을 잘 풀이해 주는 좋은 길잡이책이라고 느낀다. 다만 번역이 매우 아쉽다. 일본사람이 쓴 책이라서 이렇게 옮겨야 할는지 모르겠지만, 일본사람이 흔히 쓰는 일본 한자말을 책에 고스란히 옮긴다. 이를테면 “몽환夢幻 같은 석년昔年”이나 “사계斯界의 태두泰斗” 같은 대목. 이런 번역이 숱하게 튀어나온다. 《한글의 탄생》을 읽는 동안 ‘학문하는 이들 입이나 손에 들러붙은 온갖 일본 말씨’가 이러하구나 하고 새삼스레 느끼기도 한다. 가만히 보면 책이름 “한글의 탄생”도 일본 말씨이다. 한국 말씨는 이와 다르다. “한글이 태어나다”처럼 써야 한국 말씨가 된다. 그나저나 어느 모로 본다면 한글은 ‘생긴’ 지 오백 해가 지나고 머잖아 육백 해가 된다고 하지만, 한글이 ‘태어났다’는 말을 하기에는 아직 까마득한 한국이지 싶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1.18.


토요일 낮에 택배가 왔다. 토요일에 오는 택배는 더없이 고맙다. 우리야 시골사람이라 요일 없이 살지만, 요일에 맞추어 일하시는 분들이 토요일에까지 짐차를 달리시니. 낮에는 유자를 땄고, 저녁에는 밥을 지으면서 그림책을 편다. 오늘은 밥하면서 느긋하게 책을 읽으려고 저녁거리 밑손질을 모두 마쳐서 손에 물을 안 묻히고 냄비가 끓기를 기다리면서 천천히 움직인다. 밥냄비도 국냄비도 천천히 끓고, 나도 천천히 간을 보면서 저녁을 짓는다. 《이제 나는 없어요》라는 그림책을 읽는데, 이제 이 지구라는 별에서 자취를 감춘 여러 숲짐승 이야기가 흐른다. 이제 지구에 없으나, 저 하늘나라에 있으나, 또 사람말을 하지 않으나, 이 그림책 《이제 나는 없어요》는 사라진 숲이웃이 사람한테 어떤 말을 짤막히 남기고 싶은가를 가만히 헤아리면서 들려준다. 책을 다 읽을 무렵 저녁짓기를 마친다. 큰아이만 배고프다 해서 큰아이 혼자 밥상맡에 앉아 수저를 들고, 나는 그림책 줄거리를 더 돌아본다. 이제 지구에 없는 이웃이란? 아직 지구에 있는 이웃이란? 여기에 우리란?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당에서 읽은 책 2017.11.16.


그림 없는 어린이문학 《복길이 대 호준이》를 읽는다. 요즘 어린이문학 가운데 그림이 없는 책이라니, 매우 새롭다. 어설픈 그림이 들어가기보다는 이렇게 아무 그림이 없이 글로 이야기를 들려주니 머리로 그림을 그리기에 좋다. 문학이란, 글이란, 그림이 없이 오직 말로 생각을 엮어 새롭게 꽃을 피우는 이야기라고 본다. 다만 복길이하고 호준이하고 맞서는 이야기도 그렇고, 다른 이야기도 그런데, 아이들이 늘 다투거나 복닥이기만 한다. 틀림없이 우리 사회 숱한 아이들이 이렇게 학교나 마을에서 툭탁거리기는 할 테지만, 이런 이야기만 들려주어야 할까 하고 고개를 갸웃해 본다. 조금 더 깊이, 넓게, 따스하게, 살갑게, 이러면서도 새로운 아름다움이 흐르는 마을놀이를 바라보면 어떠할까 싶다. 곧 겨울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고흥은 아직 낮에 참으로 따숩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