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0 : 서문 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크리스틴 델피 지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 봄알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0 : 서문》 크리스틴 델피

책은 작고 귀엽고 예쁘다. 금방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책을 펼치기 전에 잠시 들었지만 그렇지는 않다. 서문이 원래 어려운 법이니까!
이렇게 열심히 읽은 ‘서문‘도 처음이지 싶다.^^
이 서문은 시리즈의 전체적인 안내를 충실히 해 주고 있다. 그 말인즉 앞으로 읽게 될 나머지 시리즈에 대해 흥미와 궁금증 유발을 잔뜩 시켜놓았단 뜻이다.
내용은 어렵지만 앞으로 볼 책에서 읽게 될 내용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을 한 거라서 어려운 내용이 있었지만 두 번, 세 번 되돌아가 읽었는데도 금방 다 읽을 수 있었다. 이 시리즈 전체를 다 읽고 다시 한 번 서문을 읽는다면 쉽게 이해가 될까?
아무튼 열심히 읽다보니 끝이어서 깜짝 놀람~~^^
참으로 읽기 어려운 책들도 이런 식으로 기획이 된다면 어떨까 ... 이런 참신한 기획 적극 찬성일세..
어서 다음 권으로 넘어가 보자!


시리즈는 이 서문(0)을 포함하여 총 11개로 구성이 되는 것 같다.
1. <주적>
<가족이라는 위계집단>에는
2. 가사노동 혹은 가정 내 노동:정말 가사노동만이 무료 노동인가?‘,
3. 가족과 소비: 한집안 식구는 같은 것을 먹는가?‘
<제도화된 수렁들>에는
4. 유산상속: 공공연한 불리의 세습
5. 결혼과 이혼: 공공연한 여성 지위 박탈이라는 로 이루어져 있다.
나머지 5개의 시리즈는 언제 나오는걸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4-04-12 12: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작아서 들고 다니며 읽기 좋았어요!^^ 저도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읽으면서도 재독 삼독하고 싶더군요.

은하수 2024-04-12 13:45   좋아요 1 | URL
그쵸~~~
읽으면서 다시 돌아가 여러번 읽어도 금방 읽으니 넘 좋아요.
그래도 모르겠는건 그냥 패스~~
난해한 문장은 어쩔 수 없죠^^
 

<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0: 서문>인식론과 방법론, 유물론


4. 기존 학문에 대한 비판과 페미니즘 관점의 발전

하지만 과학도, 페미니즘도 국경이 없다. 
지식의 평가는 국가적인 차원도, 다국적 차원도 
아니고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1975년 내가 소원이라 불렀던 전세계적 ‘지식의 페미니즘적 혁명‘은 시작되었으며 계속되고 있다. 페미니즘적 사유는 지난 30 년 간 사회과학 전체가 한 것보다  더 많은 가설을 낳았고, 더 많은 개념을 만들어냈으며, 더 많은 대상 ㅡ‘여성 억압‘을 비롯해ㅡ을 구성해냈다. - P64

페미니즘사상에 대항하는 프랑스 지식 기관 대표자들의 격렬한 공격(Delphy, Armengaud et Jasser1994)은 후위전戰 특유의 형태를 보인다. 페미니즘에 반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페미니즘이 만들어낸 개념(예를 들면 젠더) 중일부를 빌려야만 하기 때문에, 이 대표자들은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 - P65

하지만 젠더가 ‘섹스‘와 동의어로 (개념이 아닌 용어로) 쓰이는 경우에도, ‘젠더‘라는 단어가 발화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는 담론에서 싫든 좋든,
가장 일반적인 차원에서 가장 전복적인 차원-‘젠더‘를 사회 분열의 주요 쟁점으로 만드는-에 이르기까지 젠더에 대한 모든 함의를 끌어내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페미니즘에 적대적인 이들은 페미니즘의 영역으로 끌려 나오게 된다. 그들이 페미니즘과 그 영역이 존재할 만한 장소가 없거나
말할 가치가 없다는 듯 군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된다. - P65

계급 개념에서 젠더 개념으로

계급이라는 개념은 사회 구성의 개념에서 출발했으며 그 결과를 구체화한다. 집단은 더 이상 관계에 앞서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관계가 집단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성별 분업을 구성함으로써 ‘성별‘이라 일컬어지는 집단을 만드는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관행을 밝혀내야 한다. - P70

1970년대, 영어권에서 ‘젠더‘라는 개념이 탄생하면서 이론적으로 매우 주요한 발걸음을 떼게 되었다. 나는 1976년부터 이 개념을 사용했다. 
젠더 개념은 처음 등장했을 때 단 한 단어로 
‘성적‘ 이분법의 사회적 측면을 인정하고 그 사회적 측면을 사회적으로 다뤄야 할 필요성을 포괄했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적인 측면을 성의 해부학적·생물학적인 면과 분리했다. 젠더는 성 역할에 대한 시선을 ‘성‘의 구성 자체로 이동하게 할 방편을 잠정적으로나마 가지고 있다. 

어떻게 이 잠재적인 힘을 발현시켜 가부장제를 연구하고, 여전히 부재하는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는 이어지는 책에서 다루려 한다. - P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은 가벼운데 다루는 내용과 문장은 결코 가볍게 읽히지 않는다. 유산상속에 대한 고찰이라니..
흥미로운 내용인 건 분명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4-11 12: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화이팅!!

은하수 2024-04-11 13:18   좋아요 1 | URL
이 달엔 기필코 끝까지 읽고 싶네요~~^^*
 

한 쌍의 손이 물에서 나와 각진 구멍의 가장자리를 더듬었다.
탐색하는 손가락이 아주 작은 협곡의 경사면을 닮은 구멍의 두꺼운 안쪽 벽을 기어올라 표면까지 나오는 데는 꽤 시간이 걸렸다. 가장자리 너머에 이른 손은 갈고리처럼 눈을 움키고 당겼다.
머리가 나왔다. 헤엄치던 사람이 눈을 떴다. 그는 지평선조차 보이지 않는 광활하고 단조로운 풍경을 바라보았다. 길고 흰 머리카락과 턱수염이 지푸라기 빛깔이 들어간 끈으로 묶여 있었다.
그에게는 고통스러워하는 기색이 전혀 없었다. 설령 숨이 찼더라도 날숨에서 나오는 김은 아무 색깔 없는 배경 속에서 보이지 않있다. 그는 팔꿈치와 가슴을 얕은 눈밭에 올려놓고 몸을 돌렸다.
- P9

그들의 작은 행렬은 계속해서 움직이며 칼에 
베인 새와 개, 파충류, 설치류로 이루어진 흔적을 남겼다.
수업 도중에 로리머는 종종 제자에게, 칼을 잡은 
손에 진실을 찾는 눈의 인도를 받는 사랑이 어리지 않는다면 메스를 다루는 호칸의 놀라운 재능은 결국아무것도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로리머는 돋보기 아래에서 돌과 식물, 동물이 
얼어붙게 된다면자연에 대한 탐구는 삭막해진다고말했다.  - P88

동식물 연구자는 열렬한 사랑은 아니더라도 따뜻한 애정을 품고 세상을 바라보아야 했다. 메스가 끝내버린 생명은 그 생명체의 반복될 수 없는 개별성에 대한 깊고도 헌신적인 감사로 기려야 했다. 동시에 이런 감사는, 이상하게 보일 수는 있지만, 그 생명체가 자연계 전체를 대표한다는 사실에 대한 것이기도 했다. 주의깊게 살펴보면, 해부된 토끼는 다른 모든 동물의 부위와 특질, 더 나아가 환경까지 조명해주었다. 토끼는, 풀잎 한 장이나 석탄 한 조각과 마찬가지로,전체의 작은 파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전체를 담고 있었다. 이 사실이 우리 모두를 하나로 만들었다. 다른 점을 전부
차치하더라도 우리 모두가 똑같은 물질로 만들어져 있으니까.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밖으로 나왔다. 나는 길을 건너기가 두려웠고 
비스듬하게 서 있는 집들이 내 쪽으로 쓰러지거나 
보도가 솟구쳐 나를 들이받을까 두려웠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두려운 것은 지나가는 사람들이었다. 왜냐하면 나는 죽어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내가 죽어가고 있다는 바로 그 이유로 언제든지 그들 중 누구라도 가던 길을 멈추고 내게 다가와 나를 때려눕히거나, 아니면 내게 한껏 길게 혀를 내밀어 보일 수도 있었다. 고향에서 메타가 그랬을 때처럼. 가면무도회가 열렸을 때 그녀는 나를 보러 와서 가면의 틈새로 내게 혀를 내밀었다.

택시 한대가 지나갔다. 손을 들자 운전사가 멈췄다. 내가 문을 열지 못하자 그가 내려서 문을 열어 주었다. - P217

모든 것이 항상 그토록 똑같았다 내가 결코 익숙해질 수 없었던게 바로 그 점이었다. 
그리고 그 추위. 또 다 똑같은 집들과 동서남북으로 뻗은 다 똑같은 거리들. - P218

나는 ‘고통이란...... 하고 생각했지만, 그게 어떤 것이었는지 이미 아주 오래전에 잊어버렸다. 나는 괜찮았다. 가끔 가다 마치 침대밑을 뚫고 아래로 떨어지는 것 같은 순간이 있는 걸 빼곤. - P221

그들의 말소리가 멈추자 빛줄기가 다시 방문 아래로 들어왔다.
마치 모든 것이 다 잊히기 전에 마지막으로 기억이 물밀 듯 되돌아오는 것처럼. 나는 누워서 그 빛줄기를 보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해 생각했다. 그리고 새롭고 신선하다는 것에 대해 무슨 일이든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아침들과 안개 낀 날들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 P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