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인문학 전공자만의 스킬인 건 아니지만 

인문학 전공자인 경우라면 특별히 더, 특별히 인간을 웃게 하고 울게 할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을 스킬. 그것으로는 당연히 "writing"이 있을 것이다. 


a very short introduction 시리즈 중 몇 권 오디오북이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데, 이것들 들어보면서 실감했던 게 그것이다. 이 문장이, 쓰려고 하면 그냥 바로 아무데서나 나오는 문장일 거 같습니까? 이 문장이 나오기 위해 무엇이 필요했겠습니까? 


........... 정말 정색하고, 누가 나를 들어준다면, 질문해 보고 싶어지기도 한다.  

카뮈 주제 외에, capitalism, socialism, empire, postcolonialism, Adorno, 등이 있다. 복잡하고 어려운 주제를 잘 설명하기. 이 주제의 무엇이 인간적 관심의 대상인지 잘 이해하기. 저자가 이것들을  하고 있다고 조용히 감탄하게 되는 대목들이 있다. 



아무튼. 모든 인문학 전공자들이, ㅎㅎㅎㅎㅎ 야 이거뜨라.... 들어라, 

하여 걸작들을 쓰기를 

기원하면서 저는 물러가보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or sale: Baby shoes. Never worn." 


헤밍웨이가 쓴 가장 짧은 단편 소설이라 전해져 온 6단어 소설. 

<미국 단편 소설> 주제 강의가 있어서 들어보는 중. 단편 소설을 정의하고 그에 보태어 "미국" 단편 소설을 정의하는 대목에서, 이 전설적인 6단어 소설에 대한 긴 논의가 있었다.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헤밍웨이는 친구들과 테이블에 앉아 있다가 누가 가장 짧은 소설을 쓸 수 있나 내기를 하게 된다. 나는 6단어로 쓸 수 있어. 그가 말했고 냅킨 위에 쓴다. "For sale: Baby shoes. Never worn." 더 짧은 소설은 나오지 않았고 그는 판돈 전부를 가져갔다. 


이게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많은 편집자들과 작가들이 (특히 아서 C. 클라크) 반복해 말해 왔다. 그러나 아니다. 저 6단어는 실제로 광고로 나온 적이 있는 6단어이고 그 광고에 대한 (이건 얼마나 우리 가슴을 치는 광고인가...) 글들이 헤밍웨이의 소년 시절 이미 나와 있었다. 헤밍웨이를 이 6단어 소설의 원작자로 보고 싶어하는 미국 대중의 욕구는, 이 6단어 소설을 근본적으로 미국적인 소설로 보겠다는 욕구다. 여기 담긴 내용은 보편적이기도 하지만 미국적이기도 하다. 자비를 향한 호소,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이 있다. 특히 20세기 전반 삶의 불확실성이 있다. 만일 가장 미국적인 작가로 추앙받은 헤밍웨이가 실제로 이 6단어 소설을 썼다면, 이 짧은 소설은 "patina of native genius"를 갖게 된다. 



새벽 캄캄할 때 별도 보고 하늘도 보면서 강의 듣는 건 제정신 유지에 가장 도움되는 활동이다. 오늘 새벽엔 위에 적은 저 내용에 특히 감탄했다. 오늘을 위한 제정신이 그렇게 확보되었. 


"patina of native genius" 이 구절은 어떻게 번역할 수 있을까. patina, 구리 등 금속 물건의 표면에 생기는 녹색의 녹(?). 오래 아끼며 쓴 물건의 표면이 갖게 되는 윤기. 세월의 증거. 기억된 세월의 증거. 


"미국 원산 천재성의 은은한 증거"? 


어쨌든 "patina of native genius" 이것을 갖겠다는 게 얼마나 어디서나 사람들의 영원한 욕망인가. 이것을 찾고 규정하고 추앙하겠다는 그 욕망. 너무 자주 왜곡되거나 잘못 이용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엠마 왓슨의 이 말. 바슐라르가 보면 기뻐하실 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하고 열심히 생각할 때 정신에 일어나는 그 놀라운 변화. 


그런 변화가 있었다, 혹은 그게 무엇인지 이제 알았다. 

생각하는 해이기도 하다 올해는. 그리고 그러다 보니 

글쓰는 게 달라졌다는 생각도 하게 됨. 이것들이 언제나 중요한 주제이긴 했는데 

전과는 달라지는 차이가 있지 않았나 하는. 


쓰고 싶은 글들이 아주 많지 않습니까. 

그 모두를 써야 하지 않겠습니까. 

.......................................... 



아니 정말 그렇다. 씀으로써 (쓰였기 때문에) 모두가 달라졌다. 

이걸 알게 된 다음엔 막을 수 없는 운명;;;;;; 하튼. 그렇습니다. 

이제 씁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cott 2021-12-21 20:4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문구 제 침대 머리맡에 붙여 놓고 싶습니다 ^ㅅ^

몰리 2021-12-22 16:32   좋아요 0 | URL
my brain is changing so rapidly sometimes.
이것과 똑같은 얘기를 바슐라르가 길고 심오하게 무수히 하시는데
... 아 그런가? 과연? 정말? 무슨 말씀인지 알겠긴 한데.... 하다가
이 간단한 구절로 순간 명료하게 이해했어요.
 






프랑스 혁명 너무 좋아가지고서는 (그러니까. 왜 그렇게 혁명과 관련한 모두에 다 끌렸나 모름) 

몇 년 동안 사들인 책들 적지 않은데, 이것도 있다. 


그러나 

조금 읽고 나서 갖고만 있다가 며칠 전 꺼내왔고 이번엔 밑줄 많이 치고 감탄도 많이 하면서 보고 있다. 


"루소의 가장 열정적 사도였던 이 청년 혁명가들. 이들은 덕에 (Virtue) 도취해 스스로를 소진했고, 오래 된 기억의 형태로 환멸이 찾아오기 전 서로를 학살했다. 공포는 (Terror) 학살된 청춘을, 이미 죽었으므로 불사가 된 청춘을 미화했다. (...)" 


이런 게 왜 이리 좋은 것이냐 이말임. 

거의 울면서 읽는다. 




이 책은 두 인물에 대한 상세한 묘사로 시작한다. 라파예트와 탈레랑. 

혁명사 덕질 하다보면 듣게 되는 이름들이지만 모호한 인상 정도 대강 알고 있던 인물들인데, 사이먼 샤마는 "니가 했던 게 덕질이기는 하냐" (......) 사람을 이해하려면 이 정도는 하라고, 진정 높은 기준 새로운 기준 보여준다. 


쓰고 욕 먹고 욕 먹는 걸 떠나 인생이 더, 더더 꼬이게 할 말일 거 같지만 

한국에 이 정도로, 이렇게 세밀하게, 이렇게 모든 면에서, 이렇게 자신이 그들에게 양가적임을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역사적 인물을 이해하는 사람은 (사학자든 사학자가 아니든) 단 한 사람도 없다는 생각이 들었. 우리는 이런 이해를 해 보이는 사람을 본 적도 없. 누가 그렇게 이해하려 하면 누가 반드시 말을 막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쟝쟝 2021-07-14 19: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세상에는 많은 덕질이 있지요. 사실 제가 518 덕후였는데요.(누가 그런 덕질을 하냐고 물어본 적이 있었더랬죠)... 그런데 몰리님 혁명사 덕질이라니.... ㅋㅋ아앗!!ㅋㅋㅋ (어쩐지 내적 뿌듯함) 마지막 문장의 경우는 (전 한국의 역사적 인물들을 이해한다는 사람들의 책을 많이 읽지는 못했지만 말이죠) 뭔가 뼈를 때리네요. 지겨운 진영 논리에서 조금 멀찍이 떨어져 한 개인의 복잡함을 끌어안으면서도 역사를 짚는. 그런 글. 조금의 세월이 더 흘러야 하지 않을까요. 저 역시 수월하게 단순하게 이해해버리고, 역사 따윈 잊고 지내기 바쁘므로.

몰리 2021-07-15 16:55   좋아요 1 | URL
사이먼 샤마 혁명사 책은 구체제와 왕정의 품위 회복이 목적인 책 같은데 (어떤 결말, 어떤 메시지로 끝날지 모르겠지만 도입부는 조금 노골적으로, 혁명에 새로운 건 별로 없었고 반면 구체제에 이미 새로운 시대를 위한 변화의 징조들이 가득했고.... 루이 16세는 왕다운(?) 왕이었고 등등) 샤마가 현실에서 정치적으로 얼마나 보수적인 사람인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이런 접근에 거부감이나 역겨움이 전혀 들지를 않아요. 진영 논리를 벗어난다는 건 이런 것이지 않나는 생각이 듭니다. 인간을 깊이 이해한다면, 아무리 깊이 보수적이어도 그 정신은 우리 모두를 위한 자산... ㅎㅎㅎㅎㅎㅎ 반면에 진보, 좌파를 내세우면서 (.... 이하 생략).

 




길리스피 책에 

화학에 대한 장이 별도로 있고 

라부아지에 중요하게 다룬다. 아주 높이 칭송한다. 


바슐라르도 

라부아지에의 업적 높이 칭송함. 라부아지에와 함께 화학이 현대로 진입한다고 함. 

과연 진짜로 화학의 아버지인가 봄. 영국의 조셉 프리슬리와 함께 화학의 두 아버지. 

라부아지에의 저 책은 과학책 같지가 않다고 한다. 술술 매료되어 읽을 수 있다고 한다. 

부화뇌동되었고 이 책을 사고 싶어졌는데 가까운 미래에 무직이 예정되어 있으니 

사고 싶다고 척척 사지 못함. 5월부터 오늘 오전까지 책을 10권이 되지 않게 샀다. 7월 독보적을 끝내고 나서 

2200원 ㅎㅎㅎㅎㅎ 적립금 포함해 8월에 라부아지에의 책을 사겠다고 결정하는 하루를 보냄. 

책을 별로 사지 않으니 독보적 스탬프가 80장이 넘게 모였다. 2200원 적립금을 받을 즈음엔 독보적 스탬프만으로도 적어도 5천원을 받게 된다. 그 모두가 라부아지에의 이 책을 사는데 쓰일 것이다. 


이 책을 어떻게 살 것인가 결정하는 하루를 보내면서 

그리고 독보적 스탬프를 환전하지 않으면서, 6권쯤 주문한 거 같다. 어떤 달이든 1일엔 책을 사야지. 

무직이 예정된 게 아니라면 라부아지에 책도 오늘 샀겠지. 척척 다 샀을 것이다. 




화학이 진짜 신기하고 어렵고 매우 쓸모 있고 심오하고 

..... ㅎㅎㅎㅎㅎ (웃게 된다, 물리학이나 수학은 저런 게 아니란 말이냐) 

하튼 화학, 매력적이다. 물리학이나 수학이나 생물학도 저 모두의 특징을 가질 것이다. 

그런데 철학은? 

문학 연구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1-07-02 05: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02 03: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02 16: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02 21:3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