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과학의 대립이 이렇게 격렬할 줄 상상도 하지 못했다. 리처드 도킨스에 의한 신랄한 종교 비판. [이기적 유전자] 는 말로만 들어봤는데 한 번 읽어봐야겠다. 나는, 따지자면 과학은 과학의 할 일이 있고 종교는 종교의 할 일이 있으니 서로 존중하면서 공생하자는 쪽??!!

 

 

문명 속에서 동물이 걸어온 발자취를 짚어본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특히 고대 이집트인들이 고양이에 대해 란 말은 소오름!!

 

생명체의 품위는 생명 그 자체의 존중에서 확보된다.

p 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레니엄, 오, 밀레니엄!>에서는 미래와 문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디스토피아의 상상력을 통해 본 낙원과 유토피아의 공통점과 차이점. 여기에서 더 나아가 과거와 현재를 분리하지 않고 과거-미래의 동시화를 통한 통합적 상상력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통합적 상상력으로 풍요화된 문학의 상상력. 과연 이 문학적 상상력이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인간의 가치를 지키고 유지해줄 수 있을까.

 

 

전혀 이어지지 않을 것 같은 문맥들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한 번 읽기에는 아까운 내용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주설화는 소비자를 어떤 환상적 세계로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그를 현실세계의 유능하고 무자비한 욕망주체이게 한다. 그러므로 공주설화를 소비하는 행위는 현실도피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설화세계로부터의 이탈이고, 설화를 현실로 옮겨놓기이다. 공주설화의 위대한 힘은 그 소비자로 하여금 지금 이 특정의 시대를 지배하는 일반 생산양식과 소비양식에 순응하는 가장 충직한 주체가 되게 하는 데 있다.

p 26

 

 

 

우리의 삶은 누구의 조종을 받고 있는 것인가. 행복서사의 이데올로성을 인지할 필요에 대해 역설하는 저자의 문장을 읽고 있다보면, 우리를 둘러싼 이 세계 자체가 거짓인 것처럼 느껴진다. 저자의 말처럼 '밥이 나오지도 떡이 나오지도' 않지만 마법사와 상징적 아비의 작동법을 안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왜 고통당하는 지 알아야 뚫고 나갈 길을 모색하기 마련이니까. 이제 그저 울분에 찬 한숨만 내놓을 수는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이에프가 이렇게 순수할 일인가!! 조시를 위해서라면 자신의 몸 안에 있는 것을 내주어도 아깝지 않다!! 태양이 클라라의 소원을 들어준 것이 아니라, 그 누군가의 말처럼, 클라라의 소원이 온 세계를 움직인 것이다.

 

개인적으로 씁쓸했던 결말. 왜? 라는 의문이 떠나지 않았던 마지막. 다시 찬찬히 곱씹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시의 엄마, 크리시의 마음을 나는 충분히 이해한다. 나도 크리시처럼 엄마니까. 자식을 하나도 아니고 둘이나 잃어버린다면, 나도 제정신으로는 살기 힘들 것 같다.

 

 

하지만 크리시가 선택한 방법이 과연 그녀에게 도움이 될까. 정말 그렇게 한다면 조시가 없는 세상을 버텨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걸까. 클라라가 그렇게 변할 수 있을까. 내 생각에 크리시의 계획은 실패할 것 같다. 조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자식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세상에 누구도 없다. 그 아이는 그 아이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