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신화의 해명
신연우 지음 / 북스힐 / 2025년 1월
평점 :

우리의 문명 자체가 악을 포함하고 있는 선이기 때문에 우리 인간 사회에 늘 악은 선과 함께 있다고 제주도 신화는 말하고 있다.
한국 신화라는 단어에만 몰입되어서 해명이라는 단어를 미처 못 봤다.
우리나라 신화와 전설과 설화가 적혀있는 한국판 <이솝 우화> 내지는 <그림 형제 이야기> 또는 <그리스 신화>나 <북유럽 신화>를 생각하며 책을 기다렸다.
책을 받아보고는 솔직히 실망했다고 말하고 싶다.
내가 알고 싶었던 전설, 설화, 신화들이 담겨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이야기를 논하는 논문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이걸 어떻게 읽지?'
나의 우려는 이 책을 같이 읽은 분들로 인해 사라졌다.
정해진 분량을 같이 읽고 요약하고 관련 책이나 이야기들을 찾아보고 함께 나눴던 분들로 인해 복잡해진 내 머릿속이 맑아졌다.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한국 신화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이 어떻게 지금까지 전승되어 왔는지에 대한 것이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라진 우리 고유의 이야기가 바다 건너 제주도에 살아남았다는 것에 감명받았다.
북한에 남아 있을 이야기들이 합쳐지면 그 시대를 이해하는데 지금보다 가속도가 붙지 않을까?
신화라고는 박혁거세가 알에서 태어났다는 것과 곰과 호랑이가 백일동안 마늘만 먹다 호랑이는 도망가고 곰은 견뎌내어 인간이 되었다는 것밖에 몰랐던 나에게 이 낯설면서도 신선한 신화들이 무당의 입을 통해 구전된다는 사실도 놀라웠다.

신화는 상반되는 것, 모순적인 것이 공존하는 것이 우리 현실 세계라고 말하는 서사 문학인 것이다.
조선시대 초기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러나 <삼강행실도>에 보이는 여성의 고난부터 여성의 지위가 전보다 낮아졌다는 사실에 분노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그리스 신화의 신들 이름은 줄줄이 외우고 수시로 그 책을 들여다보며 인간사를 해석하면서도 정작 우리의 신화와 우리의 신들에 대해서는 엄청 무지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정말 반성해야 하는 부분이었다.
대별왕 소별왕도 나는 이 책으로 처음 알았다.
우리의 신화는 모두 아이들 동화책에서만 찾을 수 있었다. 그 외에는 이 책처럼 전문가 수준의 해설서들만 존재하는 거 같았다.
우리 신화도 그리스 신화 못지않을 텐데 어째서 알 수 없는 걸까?
그럼에도 우리의 신화는 후세로 이어지고 있다.
많은 작품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잃어버렸거나 잊고 있던 우리의 신화를 찾아내어 발전시키는 것이다.
K-신화, K-전설, K-설화로 우리도 미래인들에게 그리스 신화 못지않게 읽힐 거라 믿고 싶다.
우리의 신화는 아름답지 않다.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에서도 잔혹함이 담겨있다.
이는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녹록지 않다는 것이기도 하다.
스스로를 알고, 스스로를 지키고, 스스로를 발견하지 못하면 진정한 영웅이 될 수 없다는 걸 신화는 이야기해 준다.
결국 인간은 스스로를 극복해 내야만 인간답게 살 수 있다는 걸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된다.
신화는 나 자신을 알고, 이겨내고, 극복해야 한다는 진리다...
우리의 신화는 그것을 극복해낸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담은 이야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