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268
황동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동규의 이번 시집은 그가 오랜 동안 시를 써온 사람이라는 것, 또한 그가 젊음의 열정이나 환희를 넘어선 아픔이 지나고 난 자리, 꽃이 피고 진 자리에 남겨진 신성한 기억을 노래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하게 해준다.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그의 연가풍의 시들('즐거운 편지', '조그만 사랑 노래' 등)이 사랑하는 순간의, 혹은 사랑을 잃어버린 순간의 자리를 서성이는 것이라면 이번 시집에 담긴 연가풍의 시들은 시간의 흔적이 담긴 노래이다. 극한을 지나온 뒤의 평정, 평정을 찾으려는 마음이 아니라 평정 속에서도 추억에 의해 흐트러질 수밖에 없는 마음의 물결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굳이 사랑을 다룬 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여타의 시들에서 역시 그는 일상에 담긴 신성한 초월의 경지를 포착하고 그 탈속의 모습이 허무함이나 무상함이 아닌 시간의 궤적 속에 이루어진 성스러운 것임을 은근히 드러낸다. 이러한 종교적 신성함의 세계는 예수와 불타, 원효의 대사로 이루어진 여러 편의 시들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 성인들의 대화는 읊조리듯 낮고 적막하게 울리는데, 전혀 다른 종교의 합일, 지향점에 담겨진 자연스러운 삶의 몸짓을 황동규는 시의 언어로 되살려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탈속의 경지가 자칫 담아내기 쉬운, 논리 없는 긍정과 낙관주의적 희망, 자연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의지 대신 황동규의 시는 일상생활(몽정, 젊은 날의 기억)을 자연스레 시로 풀어냄으로 해서 시인의 원숙미를 느끼게 해준다. 이와 같은 원숙미의 경지는 시의 내용뿐만이 아니라 그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시의 행과 행 사이의 간극, 연과 연 사이의 간극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찾을 수 있다. 하나의 시적인 가능성을 담고 있는 생각이 한 편의 시가 되기 위해 지켜야할 언어 사이의 긴장과 역동적인 힘을 황동규의 시는 포착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는 복잡하고 난해하며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시의 흐름 역시 기계적인 복잡성에 어느 정도 그 의지처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시대의 흐름에 반하는 것조차 시대를 따라 표류하는 것이므로) 그러나 황동규의 시는 이러한 현대성에서 벗어나 시인만의 시적 흐름을 유지하며 이 시대에 시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있다. 굳이 현대성을 작위적으로 끌어들여 컴퓨터, 휴대폰 등의 기계적 사물의 인간적 의미를 밝히는 대신 황동규의 시는 그것들이 일상임을 인정하고, 그 일상 속에 내재하고 있는 시적인 풍경('詩的인 것은 禪的인 것이다'는 말이 떠오른다, 나 역시 이 말에 어느 정도 공감한다)을 그려내는 것이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랑한 캔디
백민석 지음 / 김영사 / 199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캔디는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밝고 씩씩하게 살며 테리우스나 안소니 같은 왕자님을 만나게 되는 '외로워도 슬퍼도' 울지 않는다고 외치는 어릴 적 만화주인공이다. 어떤 사람들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캔디의 주제곡을 부르며, 한 번 스윽 웃고는 말기도 할 것이다. 그런 식의 가벼움, 유년시절의 만화 같은... 캔디라는 이름 자체에 스며있는 꿈과 사랑이 숨쉬는...그러나 백민석의 소설 '내가 사랑한 캔디'는 그 '캔디'라는 이름을 통해 가벼움의 제스처를 도용할 뿐, 소설 속의 현실은 전혀 다른 것이다. 제도권 교육 속에서 희생당하고 사회의 울타리, 체제 속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한 남학생의 성장기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내가 사랑한 캔디'이다. 여기서 캔디는 그의 동성연애상대인 남학생이며, 따라서 소설은 밝고 씩씩하지만은 않다. 가벼움과 무거움의 공존은 어차피 모든 소설의 미덕이지만 '내가 사랑한 캔디'는 유독 그에 집착하고 있다.예를 들자면, 총잡이- 기형도 시인의 시에도 나온 비지스의 노래를 들었다던 탈주범 지강헌의 이야기를 소설 속에 삽입시킴으로 해서 그의 삶의 태도와 이 소설의 분위기는 일부 닮아있음을 상기시킨다.

투쟁 현장 속에서의 의미를 상실한 폭력과 그것을 멀리 지켜본 풍경이 '구름 기둥'같다는 낭만적 발언 사이의 간극을 '내가 사랑한 캔디'는 고집하는 것이다. 어쩌면 이 분위기는 90년대의 것, 소비의 사회에 당연시 되어버린, 쓸쓸한 풍경이면서 바로 주위의 풍경일지도 모른다. '내가 사랑한 캔디'는 그 주위를 배회할 수밖에 없는 자들의 성장기를 성적 코드와 더불어 (이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일테지만) 그리고 있다. 우리, 불쌍한, 싸구려 다툼이 전부인 삶에 대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스트 잇
김영하 지음 / 현대문학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김영하는 9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기억될 것이다. 그가 21세기를 어떤 작가로 살아갈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90년대를 김영하는 성공적으로 문학 속에 재생해냈다. 포스트 잇은 이러한 김영하를 잘 엿볼 수 있는 산문집이다. 그의 소설이 탄생하게 된 계기, 그의 일상이 틈틈히 재치있게 소개되어 있다.

어떤 소설인지 제목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김영하의 단편 소설 중 대금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데, 그가 대학 다니던 시절 대금을 불었단 사실은 소설 읽는 재미를 왠지 더해준다. (왜일까 이유는)

속도전의 사회 속에서 김영하는 나름대로 그 속도에 발 맞추는 작가로 말해지지만, 그조차도 이 속도를 따라갈 수가 없다고 말한다. 한때 그리도 유행했던 삐삐가 다시 퇴물이 되어버린 사회, 자살조장이 정말 가능해진 사회- 속도전의 그 틈새를 김영하는 칼 하나를 가슴에 품고 가늠해보는 중이다.

포스트잇은 그의 틈새(사회와 개인, 소설과 작가 등등)에 대한 산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옥에서 보낸 한 철 민음사 세계시인선 3
랭보 지음, 김현 옮김 / 민음사 / 1974년 5월
평점 :
절판


랭보는 음울하게 세상을 조롱하고 내면의 들끓는 바람을 노래하고 자신의 시선으로 사물을 관통한다. 아침부터 랭보 시집을 읽어서인지, 하루가 그리 유쾌하지만은 않았다. 하지만, 꼭 유쾌한 것만이 인생은 아니란 것쯤은 이제 알 때니까... 시집 중 가장 내 마음을 끈 대목'나의 삶은 단지 부드러운 광기였다'부드러운 광기... 취한 듯 살아가는 시선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 선의 속에 도사리는 악의, 악의 속에 도사리는 현명함, 어리석음...몇 편은 이해할 수 없었고 몇 편은 공감하며 읽었다 오래전부터 붙잡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책장을 덮었다.다음에 다시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오! 그이가 죄의 바람을 쐬며 걷고 싶어하는 그 날들!'이 찾아오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젠가 바다 깊은 곳으로 1
마루야마 겐지 지음, 박은주 옮김 / 책세상 / 2000년 7월
평점 :
절판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이 시적이라는 말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 해도 이 소설 '언젠가 바다 깊은 곳으로'에는 시적인 부분이 자주 엿보인다. 시종일관 주인공 세이지는 가벼움을 유지하지만, 그의 삶 속에는 바다와 같은 충만함이 깃들여있다는 기분. 소설을 읽는 내내 '충만하다'는 단어가 떠올랐다. 매우 어긋난 가정의 차남인 세이지가 믿는 유일한 가족은 할아버지, 그 할아버지가 세이지에게 남긴 몇몇 교훈들이 소설 속의 세이지를 압도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도중에 어떤 일이 있든 인간은 모두 제각기 바라는대로 되며 자리를 잡을 곳에 자리잡는 법이다.''운명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남모래 바라고 있는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다.'두루미, 기요시, 쓰루가 가버린 바다 속, 언젠가 그 바다 깊은 곳으로를 꿈꾸는 세이지의 모습은 험난한 인생을 헤쳐나갈 준비를 이제 막 마친 선장의 모습과도 비슷하다. 소설 후반부의 환상성은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이 시종일관 유지해오던 시적인 문체 덕분에 힘을 얻는다. 여러가지 장치를 통해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은 희망을 암시한다. 무엇을 바랄 것인가, 한 번쯤 무언가를 바래도 좋은 생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