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벨라는 아마 당신 앞에서는 내가 아주 다정한 체해 주었으면 싶을 거야. 이렇게 진실을 폭로하면자존심이 상할 테니까. 하지만 그쪽에서 내게 몸이 달았다는것을 누가 안대도 나는 상관없어. 그점에 대해서는 이사벨라에게 거짓말을 한 적이 없으니까. 단 한 번이라도 마음에도 없이 좋아하는 척했다고 나를 비난할 수는 없을 거야. 그 집에서 나와 내가 맨 처음 해 보인 것은 이사벨라의 조그만 개를 매단 거였어. 그리고 이사벨라가 그 개를 풀어 주라고 말했을때, 내가 한 첫마디는 한 사람을 빼고 그 집안 사람은 모조리 목을 매다는 게 소원이라는 것이었어. 이사벨라는 그 예외인 한 사람이 아마 자신인 줄 알았을 거야. 그러니 이 사람은 내가 아무리 잔인한 짓을 해도 예사로 생각했거든. 자기에게 소중한 한 사람만 다치지 않는다면. 아마 선천적으로 잔인한 짓을 좋아하는 모양이야! 저렇게 가엾고 노예같이 비굴한 계집이 내 사랑을 받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는 게 그지없이 어리석고 어이없는 일 같지 않아? 넬리, 내 평생에 이 사람처럼 비열한 인간은 처음 보았다고 당신 주인에게 말해 주고 싶어.
저런 사람은 린튼 집안의 수치야. 아무리 심한 짓을 해도 참고여전히 창피하게 매달려 오는 통에 나로서는 정말로 골려 줄 묘안이 떠오르지 않아서 때로는 더 시험해 보지도 못하고 그만두는 수밖에 없을 때가 있었어! 그러나 린튼에게는 오빠나 치안 판사로서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해 줘. 나는 엄밀히 법률의 한계 내에서 그러는 것이니까. - P246

이건 거의 괴벽인지 모르겠지만, 미친 듯이 또는 절망에 빠져 슬퍼하는 사람과 함께 있지만 않으면 저는 시신이 있는 방을 지키는 동안 대개 행복을 느낀답니다. 이승의 괴로움도, 저승의 괴로움도 깨뜨릴 수 없는 안식이 있거든요. 그리고 앞으로 올 어두운 그림자라고는 없는 끝없는 세상에 대한 확신 같은 것을 느끼지요. 고인들이 들어간 영원의 세계를 말이에요.
거기에서 생명은 무한히 지속되고 사랑은 연민으로 싸여 있으며 기쁨이 넘쳐흐르니까요. 저는 그때 린튼 서방님이 캐서린 아씨의 그러한 복된 해방을 몹시 서러워하는 것을 보고, 그분이 지닌 것과 같은 애정에조차 얼마나 많은 이기심이 깃들어 있는지 보았답니다. 아씨가 그런 제멋대로의 참을성 없는생을 마친 뒤에도 평화로운 천국에 들어갈 자격이 있는지틀림없이 누구나 의심할 거예요. 냉정히 돌이켜 보면 그런 의심도 들겠지만 그때 아씨의 시신 앞에는 스스로의 안식이 또렷이 드러나 있었고, 그것은 아씨의 영혼도 그런 고요를 얻을 수 있다고 보증하는 듯했습니다. - P270

히스클리프가 아무리 비참한 일을 당한대도 시원치 않아. 만일 내가 그에게 고통을 줄 수 있고 그렇다는 걸 그자가 알기만 한다면 그가 지금보다 고통을 덜 당하더라도 난 상관없어.
아, 난 그에게 갚을 것이 너무나 많단 말이야. 내가 그를 용서할 수 있는 조건은 한가지뿐이야. 그건 내가 만약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갚을 수 있다면, 내가 당한 모든 쓰라린 괴로움을 똑같이 쓰라린 괴로움으로 되돌려주고 그자를 나와 대등한 위치로 끌어내리는 거야. 그자가 먼저 해를 입혔으니까 그자가 먼저 용서를 빌게 하는 거지. 그런다면(그러고 난 다음이라면) 엘런, 나도 너그럽게 대할 수 있어. 하지만 도저히 나의앙심이 풀릴 것 같지는 않아. 그러니까 나는 용서할 수 없어. - P2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의 인문학 - 숲이 인간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박중환 지음 / 한길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이 피는 이유는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시작하는 책이다. , , 열매, 뿌리에 얽힌 식물과 인간사 사이를 넘나든다. 감자, 초콜릿, 인삼, 커피 등이 어떻게 인류사에 관여하게 됐는지를 밝히는 대목이 흥미롭다. '인문학'이라는 제목이 거창하지 않게 지구온난화와 식물의 관계, 사막화되어가는 지구를 위해 식물과 숲이 얼마나 필요한지 역설한다.

책을 읽을 즈음 마침 KBS1 시사프로그램에서 기후 위기와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방영하고 있어 책의 내용과 궤를 같이 하며 인류의 미래 같은 것을 생각해보았다. 이대로 가다는 절멸일까, 분명 지금이 위기라고 생각하지만 책이나 시사프로그램을 보면 그렇지만, 실제 사람들의 삶은 그대로이다. 이를 위해서 어딘가 숲은 파헤쳐지고 있을 것이다. 자원을 위해.

신문기자였던 작가의 전직이력답게 잡학다식하며 때로 정치, 경제 분야를 넘나드는 대목(때로 어떤 그룹에 대한 의견들은 약간 불편할 때도 있었으나) 등이 다시 떠올라 보고 싶다면 다음에는 사서 봐야지 싶었다.

식물은 아니면 아니오의 방식이라고 한다. 그렇게 필요가 있겠다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태계의 생존 방식을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동물의 법칙과 식물의 법칙입니다. 동물은 살기 위해 약한 이웃을 잡아먹지요. 반면 식물은 자신을 해치는 이웃이라 해도 고통을 주어 쫓을 뿐 죽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거래합니다. 초식동물에게 맛있는 잎과 열매를 주는 대신 씨앗을 멀리 퍼뜨리도록 심부름 시킵니다. 벌에게는 꿀을 주는 대신 꽃가루를 올기도록 하지요. 동물이 제로섬zero-sum 게임을 한다면, 식물은 윈윈win-win 게임을 하는 셈입니다. 제로섬 게임이 생존에 유리한 듯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식물계가 동물계보다 종의 다양성과 개체 수에서 압도적으로 많고 풍부합니다. 그만큼 윈윈 게임이 제로섬 게임보다 더 생태적 우위에 있음을 방증하는 것입니다. - P160

지금도 바람은 때론 거칠게 때론 부드럽게 세상을 유연한 곡선으로 다듬고 있습니다. - P247

바람은 생명의 기운입니다. - P2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연변이는 변화무쌍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뒤척이다‘ 출현한 별종입니다. 그 가운데 강력한 유전인자를 지닌 경이로운 종이 새로운 생명을 창출합니다. - P129

창의력은 어디에서 비롯하는 걸까요? 자연입니다. 자연적이지 않은 것은 부자연스럽다는 뜻입니다. 자연스런 것은 친근하고 오래 해도 지겹지 않습니다. 자연스럽지 않은 창조는 억지입니다. 그래서 부자연스런것은 언젠가 도태됩니다. 시대를 초월하는 예술작품과 과학이론이 자연의 형상을 모방하고 생태와 닮아 있는 이유입니다. - P137

인간을 움직이고 역사를 뒤바꾼 식물은 감자만이 아닙니다. 오늘날우리 식탁에 오른 갖가지 농식품은 수백 년에서 수십 년에 걸쳐 지구촌곳곳에서 온 것입니다. 쌀은 인도에서, 배추는 중국에서, 무는 중앙아시아에서 고추는 멕시코에서 콩은 만주에서 왔습니다.
원산지를 떠나 우리 식탁에 오르기까지 식물이 거쳐온 기나긴 여정은곧 인류문명의 역사입니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도시의 품격은, 치솟은 빌딩과 멋진 구조물이 아니라 숲이 결정합니다. - P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