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삼 년 전에 로저 워터스의 미국 투어, 뉴욕 공연을 덜컥 예매해 버렸다. 코로나 때문에 두 어 번 연기되었다가 이번 여름에 드디어 투어가 시작되었고, 겸사 겸사해서 생전 처음 미국이라는 나라에 가 보게 되었다. 


8/28:

저녁에 뉴욕에 도착했다. 숙소는 브룩클린에 잡았다. 

8/29:

아침에 브룩클린에서 맨하탄으로 넘어가서 인디언 뮤지엄에 갔다. 거기서 <운디드 니에 나를 묻어주오>를 샀다. 

점심에 파이낸셜 관련 가이드 투어를 했다. 

저녁에 뭘 했을까? - 적어 놓지 않아서 기억이 안난다:<

8/30:

아침에 모던 뮤지엄에 갔다. 

점심 즈음부터는 센트럴 파크에서 놀았다. 

저녁에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로저 워터스의 공연을 보았다.

8/31:

어제 너무 무리했었기 때문에 쉬엄 쉬엄 가기로 했다.

아침에 록펠러 센터에 갔었는데 별 감흥이 없었다.

뉴욕 공공 도서관 열람실에서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쐬며 영국에서 가져간 책들을 읽었다. 그러다가 옆에 붙어 있는 브리언트 공원에서 책도 읽고 수다도 떨면서 느슨한 하루를 보냈다.

9/1:

아침에 할렘 가이드 투어를 했다. 많은 것을 배웠다. 혹 뉴욕 여행 가시는 분들이 있으면 추천할 만한 일정이다.

오후 4시 10분 뉴욕 메츠와 엘에이 다저스의 경기가 있어서 시티 필드에 가서 관람했다. 평일 낮 경기임에도 90 퍼센트 정도 좌석이 가득 찼다. 다저스 선발 투수가 커쇼였지만 경기는 메츠의 역전승으로 끝났다.

9/2:

아침에 휘트니 뮤지엄에 갔다. 아내가 호퍼의 팬이다. 

점심 즈음에 하이 라인을 따라 걸었다. 폐쇄된 기차길을 정원처럼 꾸며놓은 고가 도로(인도)이다.

오후엔 주로 뉴욕대 근방에서 놀았다. 어떤 흑인 아저씨가 길거리에 책을 쌓아놓고 파는 데서 이러 저러한 책을 샀고, 미국의 유일한 대형 서점이라는 스트랜드에서 메를로-퐁티의 책과 스피노자에 대한 책을 샀고, 주변 일본 식당에서 라면을 먹었다.  

9/3:

아침에 그리니치 빌리지 가이드 투어를 했다. 그저 그랬다.

점심 이후에는 주로 워싱턴 스퀘어 가든에서 놀았다. 사람들 공연하는 것을 들으며 책을 읽었다.

저녁에 블루 노트라는 재즈 바에서 공연을 보았다. 낮에 보았던 길거리 뮤지션들과 프로페셔널들 사이의 차이란!

9/4:

아침에 유대인 관련 뮤지엄에 갔다. 마스크를 써야 해서 근처 차이나 타운을 헤매며 마스크를 사갔는데, 관람은 가이드 투어 형식으로만 진행된다 하고, 등등으로 나의 심기를 건드리는 일들이 좀 있어서 관람을 않기로 하고 그냥 나왔다.

빈 시간을 메우려 구겐하임 뮤지엄에 갔다. 세실리아라는 페루 아티스트와 칸딘스키의 작품이 나선형 회랑을 따라 전시되어 있었는데, 특히 전자는 나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 아다시피, 어떤 미지의 문화권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열쇠를 제공해 주는 사람들을 우리는 예술가라고 부른다. 

밤거리를 헤매다가 어떤 중고 서점에서 <2014: The Best American Short Stories>라는 책을 샀다. 당대적 고민에 대한 미국의 사정을 듣고 싶었다고나 할까?(즉, 소설의 종말에 대한?) 윈도우 전시대에 휴버트 셀비의 <브룩클린으로 가는 출구>가 전시되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그 책을 샀어야 했다. 그렇게 전시되어 있는 책들은 비쌀 것이라고 생각하고 아예 살 생각을 안한 것이 아쉽다. 

9/5:

마지막 날. 비행기 시간이 저녁 8:10이기 때문에 시간이 꽤 있다.

오전에 스트랜드 서점에 갔다. 그 동안 미국 여행하면서 배우고, 느낀 것과 관련된 주제의 책을 사고자 했다. 휴버트 셀비의 <브룩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출구>를 찾았으나 없었다. 대신 같은 저자의 다른 책을 샀다. 랭스턴 휴즈의 책 등등을 샀다.

나머지 시간은 브리언트 공원에서 책을 읽으며 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칸트에 대한 하이데거의 강의록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했고, 다음과 같은 말이 그 마지막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었다. 


"... one can trust Kant fully. In Kant as in no other thinker one has the immediate certainty that he does not cheat. And the most monstrous danger in philosophy consists in cheating, because all efforts do not have the massive character of a natural scientific experiment or that of an historical source. But where the greatest danger of cheating is, there is also the ultimate possibility for the genuineness of thinking and questioning. The meaning of doing philosophy consists in awakening the need for this genuineness and in keeping it awake." 


여기에 복잡한 말을 얹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컨대, 자기 기만과 같은 현상이 없지 않다는 것을 모르지 않지만 지금 어떤 절대적 의미에서의 믿음에 대해 논하고 있는 것은 아니니까. 하이데거가 말하고 있는 것은 철학함에 있어 어떤 기준점일 것이다. 깊이와 담백함. 깊이와 담백함이 꼭 같이 가는 것은 아니지만, 깊이가 없는 담백함이란 적어도 철학함에 있어서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리라. 여튼 하이데거는 이를 솔직함이라는 한 마디로 표현하고 있다. 이때의 솔직함이란, 사태가 너무도 복잡하여 거짓으로 꾸며 말하나 솔직하게 말하나 누구 하나 눈치 챌 수 없는 상황에서도 솔직함을 유지하는 것을 뜻할 것이다. 칸트가 그런 철학자에 속한다는 점에 나도 동의한다. 그럼 하이데거는 어떠한가? 그와 당대의 사람 중에는 그를 속을 모르겠는 사람, 심지어는 음흉한 사람으로까지 치부하는 이까지 있었다. 그의 그러한 성격이 그의 철학에 반영되지 않을 방법은 없을 것이다. 더구나 나는 그의 철학에 그리 동정적이지도 않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성격적 결함과 스타일상의 허세, 혹은 과장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에게서 어떤 담백함, 물론 깊이가 수반되는 담백함을 발견한다. 그것이 그를 거듭 거듭 읽게 만든다. 


매우 가문 2022년의 여름에 내가 주로 어떤 책들을 읽고 있었나를 나중에 기억하기 위해 이렇게 적어둔다. 내가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두 명의 철학자, 하이데거와 모한티의 책들을 주로 읽고 있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주 김정희 기념관에서 산 세한도 다포. 애초부터 다포로 쓸 일은 없을 것 같았지만 종이보다는 오래 가겠지 싶어 그냥 다포로 샀다. 어디다 쓸까 하다가 책장에 휘장처럼 걸어놓고 있다. 글쎄... 나의 정신 세계(그런 것이 있다면!)의 어떤 상태같은 것을 이 그림이 반영하고 있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왜 샀을까... 이 위화감을 어찌 할 것이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년만이었고, 아마 이만한 기간 동안 변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한국이 아니라 나 자신일 것이다. 어느 곳을 가든 누추한 곳이 없을 정도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는 모습에... 흠 이렇게 말해도 될런지... 나는 어느새 지루함을 느끼고 있었다. 송광사에서 지눌의 '진심직설'을 샀고, 제주 김정희 유배관에서 세한도 다포도 샀지만... 영국 집에 돌아오자마자 이런 고도로 형식화한 물건들에 살짝 정이 떨어져 버리고 말았다. 형식화에 이미 지쳐버렸는데 고도로 형식화한 것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랭스로 되돌아가다
디디에 에리봉 지음, 이상길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일요일(그러니까 내일 모레)에 3주 예정으로 한국에 가기 때문에 비행기 안에서 읽을 책을 찾아보았고, 그래서 고른 것이 디디에 에리봉의 이 책이었다. 이름이 생소하지 않다 했는데, 푸코의 전기를 썼던 바로 그 사람이었다. 푸코의 연인이기도 했던. 내용은, 자신의 성정체성과 관련된 수치의 경험에 못지 않은, 노동자 계급 출신이었기에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수치심에 대한 것으로 알고 있었기에, 아마 신좌파와 구좌파 사이의 갈등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을 것으로 짐작했었다. 그런데 그보다는 이런 수치심의 근원으로서의 자신의 가족사, 자신의 개인사를 드러내고, 그것이 무엇보다도 지배와 저항이라는 의미에서의 정치와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마치 소설을 읽듯 흥미롭게 읽혔기 때문에 읽다보니 어제 저녁에 배송받아서 오늘 하룻 만에 뚝딱 읽어버리게 되었다. --- 비행기 안에서 읽을 책은 다시 골라야겠다.


많은 이야기꺼리를 담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이야기를 시작했다가는 한도 끝도 없을 것 같다. 단, 하나만 이야기하자. 저 귀환의 의미는, 물론 저자도 이야기하고 있듯이 랭스에서의 자신과 자신의 가족들의 과거 삶에 대한 이해의 모색이다. 그런데 그 이해는 철저하게 이론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 저러한 개념들을 동원해가면서. 나는 저자가 개념적 틀에 갇혀 있는 것이 내내 안타까웠다. 예컨대, 저자는 진정으로 자신의 어머니와 아버지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끝까지, 우리의 경험을 제대로 포착하게 해 줄, 우리의 경험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공해 줄, 그런 담론과 이론의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반복적으로 하는 이야기지만, 이런 칸트주의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그런 이론 없이도, 오히려 그런 이론이라는 속박이 없어야 비로소 진리의 가능성이 열릴지도 모른다.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비로소 자신이 아버지의 장례식에 가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고 말한다. 바로 그 말인 것이다. 이 책은 참으로 잘 쓴 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대로 에필로그가 마지막에 집필된 장이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즉, 에필로그를 쓰고 나서 저자는 책 전체를 다시 써야 했다고 본다. 만약 그 귀환이 '진정한 이해'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만약 진정한 이해란 어떤 참신한 개념 틀에 의한 이해 등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