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 Vertes looks to the future of medicine (from TED)

나는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DNA 구조를 해명하는 과정을 발견자인 제임스 왓슨이 매우 주관적인 관점에서 기록해 놓은 "이중나선"이란 책을 무척 좋아하고, 지금도 반복해 읽는다. 파인만의 "농담도 잘 하시네요!"가 내 작은 책장의 한 자리를 언제나 굳건히 지키고 있는 이유도 같다. 이런 이야기들에는 흔치 않은 모험과 화자의 독특한 개성이 담겨 있다. 재미있을 수 밖에 없다.

에바 베르테스의 TED 토크에도 강연자의 개성과, 문제 해결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지적 모험이 가득 담겨 있다. 나는 이 강연을 몇 번이고 반복해서 보았다.

지적 모험이라는 관점에서 이 이야기를 들어보자. 19살 소녀 에바의 특출난 점은 그가 질문을 던질 줄 안다는 데 있다. 예를 들면 암은, 많은 경우 손상된 조직에서 발생한다. 음주로 손상된 간이나 흡연으로 손상된 폐에서 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그렇다. 에바는 여기서 잠시 멈추어 서서 왜 그럴까, 하고 묻는다. 그리고 그에 대한 자신의 답을 제시한다. 즉, 가설을 세운다. 그런데 에바의 가설은 기술적인 것이 아니라 심오하고 비젼이 넘치는 것이다. 에바는 암이라는 개념 자체를 재정의한다. 즉, 에바는 암을 인체의 자가 치료 과정의 하나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심오하고 아름답다. 나도 강연을 보면서 절로 감탄사를 내뿜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어떤 개념이 심오하다거나 아름답다고 하는 것과 그것의 진리성은 별개다. 아마 에바의 가설도 그 명쾌함에서 오는 미적 외관을 끝까지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이 가설이 매력적이라는 것은 후속하는 사고와 연구의 원천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좋은 질문이란, 혹은 좋은 가설이란 생산적인 것이다.

에바는 하나의 질문이, 하나의 가설이, 하나의 해결이 다른 수 많은 질문들을 낳을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 자신의 인생 전부를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웃으며 이야기한다. 이 소녀는 자신이 터를 크게 잡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얘기다. 하, 19살 나이에 인생을 걸 연구 테마를 잡았다고 확신하다니!

물론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나이가 아니라 열정일 것이다. 그리고 열정은 하나의 환경일 것이다. 에바라는 이름을 물려준 에바의 할머니는 헝가리 태생의 화학자였다고 한다. 에바는 혈연으로 연결된 동명의 여성 과학자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가운데 의학 서적을 학생의 눈이 아닌 연구자의 눈으로 읽는 습관을 들였을 것이다. 또, 어린 나이에 의학계의 큰 상을 탐으로써 자신의 노력에 적절한 보상이 주어지는 기쁨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성공보다 더 성공적인 것은 없다"고 하지 않는가! 그리고 용케도, 암에 대해 연구하려거든 이러 저러한 학위를 따야 한다, 그러니 질문을 멈추고 차분히 교과서를 읽으라고 조언하는 세상에 밝은 어른들을 피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열정을 지속시킬 수 있는 환경을 성공적으로 강화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에바가 조성한 환경에는 우연적인 요소들도 많지만, 중요한 것은 에바가 그 우연적 요소들을 자신의 환경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에바의 강연을 들으면서 가장 놀라운 점은 바로 그런 것이었다. 에바 스스로도 그 점을 분명히 느끼고 있었던 것 같다. 에바가 자신의 가족사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강연을 시작한 이유가 바로 그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운 과학정신 - 현대프랑스철학총서 15
가스통 바슐라르 / 인간사랑 / 1990년 6월
평점 :
품절


읽은 기간: 4/1 ~ 4/9
번역 상태: 죄악이다!

내가 느끼기에 이 책은 현대의 고전이다. 그러나 현대 과학의 성과를 바탕에 깔고 매우 미묘한 사상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읽어내기가 결코 쉽지 않았다. 더구나 그 번역의 품질이란! 읽으면서 내내 영역본이라도 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더랬다. 더 바라건대는 본문만큼 두툼한 해제와 깔끔한 각주를 단 새로운 역서가 나와 주는 것. 바랄 것을 바래야 하는 것일까?

바슐라르가 이 책에서 논박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데카르트로 대표되는 서양의 전통적인 철학적 방법론이다. 즉, 이성을 사용하여 가장 직접적이고 단순한, 다시 말하면 확실한 기반을 찾아낸 후 그 위에 차곡 차곡 학을 쌓아올리는 방법론.

우선, 왜 데카르트인가? 즉, 왜 흄이나 로크가 아닌가? 그것은 바슐라르 자신이 데카르트의 후예답게 철두철미한 합리론자이기 때문이다. 데카르트를 무찌르고 전장에서 돌아온 바슐라르는 이렇게 선언한다. "예외란 없다. 예외와 비합리가 사라지고 모든 것이 합리성으로 수렴한다." 반전의 묘미가 있다.

다음으로 이성을 사용하여 가장 확실한 기반, 즉 가장 직접적이고 단순한 기반을 포착하자는 방법론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비판이 가능할 것인데, 아마 가장 근본적인 것은 "단순한 것은 단순화된 것"이라는 것일 게다. 예를 들면 평행선의 개념이나 동시성의 개념은 자명하지도 단순하지도 않다. 그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사색의 결과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한 것을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말이다.

직접적이고 단순한 기반에 대한 추구는 곧장 본질론으로 이어지고, 실체론적 철학으로 귀결될 것이다. 그러나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성립사에서 보듯이 우리가 평행선의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의 본질을 이해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다양한 적용의 양상을 안다는 것이다. 즉,  본질론은 무용하다. 또, 단순한 것이란 그것을 포괄하는 복합체를 전제하는 한에서 단순한 것이다. 즉, 단순한 것, 근본적인 것, 기본적인 것이 먼저 오지 않는다. 실체론은 무용하다.

"단순한 것은 단순화된 것"이란 비판이 가장 잘 적용될 수 있는 대상 중 하나가 결정론일 것이다. 결정론은, 예컨대 사물의 다양한 상태 중 고체 상태만을 고려한, 단순화되고 고정된 심적 상태를 반영한다. 데카르트도 이런 관념 안에 있었기 때문에 "운동과 형태를 구분하라"고 사람들에게 조언했지만 그가 도외시한 것, 즉 유체가 이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음을 우리는 너무도 잘 안다.

본질론이나 실체론, 결정론 등등에 대한 논박으로 현대 과학의 성과를 원용하는 것이 새삼스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바슐라르가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여 수행하고 있는 일이 그것이다. 물론 여기서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는 않겠다. 위에서 논의한 것들도 책 전체의 줄거리라기보다는 여러 테마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이 책은 상당히 얇지만 매우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간략히 스케치하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또, 과학적 활동의 배후에 놓여 있는 심적 상태에 대한 역사적, 심리학적 고찰과 그에 대한 교육학적, 철학적 의의를 다루면서 저자 자신의 매우 급진적으로 보이는, 수학적 형이상학이라 할 만한 주장을 내놓고 있어서 그에 대한 숙고를 피할 수 없게 한다. 앞서 이 책이 미묘한 사상을 다루고 있다고 한 것은 이것을 염두에 두고 말한 것이다.

자, 이 모든 것들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하다. 읽기 어려운 기술적 사항들로 꽉 차 있는 이 작은 책은 고전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결론도 간단하다. 즉, 고전을 읽자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4/11 ~ 2011/4/17
-계획했던 것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쓸 것[빚]
2. CU 읽고 노트할 것[진행 중- 매우 더딤], 2.30
3. TED, Eva Vertes 리뷰 쓸 것[빚]
4. WS 읽고 노트할 것[빚]
5. CON 읽고 노트할 것[완료], 4/10, 4/10, 2.57
6. KONG 읽고 노트할 것[완료], 4/10, 4/11, 1.07
-그리고
7. TED 23개 봄
8. 매일 영어 1시간 안팍으로 공부함
----------------------------
총 6시간34분 동안 읽고 노트함

-다음 주 계획(우선 순위)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2. TED, Eva Vertes 리뷰
3. CU 읽고 노트
4. 영어 하루 1시간 이상 공부
5. 시간 통계를 위한 스프레드쉬트 포맷 고안할 것[월요일, 화요일]

-비고
1. 비교적 가벼운 읽을거리를 읽고 노트하는 것은 계획대로 되었다. 그러나 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리뷰들에는 손도 대지 않았고, 깊게 읽기가 필요한 책의 진도도 지지부진했다. 그래서 휴식 삼아 본 TED 토크의 수가 저토록 많아진 것. 나 자신을 비판하지는 않겠다. 피곤하여 에너지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그러나 방치하지도 않겠다. 어쨌든 일은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루 10분 정도 매일 매일의 진척을 리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아다시피 의지란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기억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리뷰란 기억을 상기하는 과정이 될 터이다.
2. 영어 공부한 것도 간단하게 노트를 하자. 나는 노트를 해놓지 않으면 머리가 모래를 움켜 쥔 손같이 느껴진다. 노트를 해놓으면 언제든 확인하고 되새김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가벼워진다.  그러나 TED 강연은 전적으로 휴식으로 생각하자. 그건 노트할 필요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록을 시작한 2011 3월부터 시작하여 통짜 파일로 관리할 것
*새로운 항목을 파일 상단에 위치시킬 것

13. 해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5/23 ~ 5/28, 총 3시간 53분 걸림
12. 페이스북 이펙트(이준구 저), 5/23 ~ 5/24, 총3시간 25분 걸림
11. 페이스북 이펙트(커크패트릭 저), 5/11 ~ 5/16, 총 10시간 58분 걸림
10. 아이폰 사진 스쿨, 5/20 ~ 5/20, 총 1시간 8분 걸림
9.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 완독하기, 5/8 ~ 5/9, 총 7 시간 23분 걸림
8. 플랫폼 전략 읽음, 5/7 ~ 5/7. 총 1시간 45분 걸림
7. 부자통장 읽음, 5/1 ~ 5/1, 총 2시간 5분 걸림
6. 초월하는 애플, 초월하는 삼성 읽음, 4/30 ~ 4/30, 총 2시간 44분 걸림
5. 구글노믹스 읽음, 4/23 ~ 5/1, 총 4시간 2분걸림
4. CON 읽고 노트, 4/10 ~ 4/10, 총 2시간 57분 걸림
3. KONG 읽고 노트, 4/10 ~ 4/11, 총 1시간 7분 걸림

ET, note,  4/1 ~ 4/9, 총 3시간 30분 걸림
2.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ad, 3/26 ~ 3/28, 총 5시간 52분 걸림
생각하지않는사람들, note, 4/1 ~ 4/3, 총 1시간 22분 걸림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view, 4/4 ~ 4/4, 총 2시간 12분 걸림
1. 새로운과학정신, read, 3/26 ~ 4/9, 총 5시간 16분 걸림
새로운과학정신, note, 3/26 ~ 4/9, 총 3시간 10분 걸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22 2012-06-05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방금 댓글로 놀랍다는 글 남기고 슬며시 둘러보고 있는데 또 놀랍군요...

페이스북 이펙트(커크패트릭)은 영문 원서겠지요...? 저도 이준구/패트릭 각각 소장하고있습니다. 읽고 노트하는 습관, 엄밀히 따지자면...으...말로 표현이 안되네요, 미국의 누가 노트에 자신의 원칙 열몇가지를 적어두고 매일 그에 합당한 행동을 하며 살았는지를 체크했다는데..누군지 기억이 안나네요, 여하튼 그런식으로 책을 읽고 단순히 따라하는게 아니라 뭔가 책의 근본적인 내용에 밀접하게 생활하려는 노트습관을 가지려는데 잘 안되네요...

모바일이라는 아주 멋진 도구가 있는데도 말이죠~;
 

ET,note, 4/1, 4/9, 3:30, D
생각하지않는사람들, review, 4/4, 4/4, 2:12, D
새로운과학정신, read, 4/1, 4/9, 2:03, D
새로운과학정신, note, 4/1, 4/9, 1:28, D
CU, read, 4/1, , 0:29, C
------------------------------------------------
총 9시간44분

-다음 주 계획
1. 새로운과학정신 리뷰 쓸 것
2. CU 읽고 노트할 것
3. TED, Eva Vertes 리뷰 쓸 것
4. WS 읽고 노트할 것
5. CON 읽고 노트할 것
6. KONG 읽고 노트할 것

-비고
1. 주의깊게 읽고 본 모든 것을 기록 항목에 넣을 것
2. 각 항목의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를 제때 확인할 것
3. 읽은 쪽수 기록할 것
4. 미디어 종류 기록할 것
5. 각 항목을 the first class와 the rest로 분류할 것
6. 스프레드쉬트를 공부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