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 시대에 활동했던 일본유학자들의 저서들은,

당대의 정약용이 주로 [논어고훈외전]을 연구하여

거기에 소개된 타 학자들의 학설을 [논어고금주]에 반영한 것 말고는

그다지 소개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마루야마 마사오의 [일본정치사상사연구] 같은 저술에서

고학파 학자들의 사상을 접하고도,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육경의 전거들을 바탕으로 주자의 논어 이해를 하나하나 논파하면서

그 위에 자기류의 논조를 한층 더 굳건히 세우는  

오규 소라이(荻生徠, 1666-1728)의 [논어징(論語徵)]이 번역된 데 이어 ...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1627-1705)의 [논어고의(論語古義)]마저 번역되었네요.

 

 

 

 

 

 

 

 

 

 

 

 

 

 

 

 

 

언제 번역이라도 되겠나 싶던 이런 책들까지 다 번역되어 나오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설마 [논어고훈외전] 뭐 이런 것들까지 나오는 건 아니겠지 ...

 

아니야, 입이 방정이라고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준다 2014-07-16 1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논어주소에 논어집주의 세주까지 번역되고 완역은 아니지만 주자어류 논어파트도 선보이는 세상이니 앞으로 어떤 번역들이 나올지 가슴이 두근두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원사 빛깔있는 책들 총서 중, [옛 책] 에서

 

고서의 종류에 대한 부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약합편

 

(증맥방약합편 내부보유방)

 

을유이월/중추 야동신간 : 왜 두 가지 날짜가 나오지?

 

(참고로, 영림사 신민교 번역본 간행기에는 야동정해 신증중간 이라고 써진 판본이 언급됩니다.)

 

대구 보광한의원 소장 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방약합편

 

을유중추

 

미동신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