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에 나오던 초창기의 영인본을 다시 내나 본데 ...

딱, 그때 표지를 그대로 쓰고 있다 ...

생각해 보면, 고서의 영인본이라 하면 기본적으로 정자, 곧 번체자인지라

간체자로 문자개혁을 이룬 현대 중국에서 크게 수요가 있지는 않겠다.

 

뭐, 그런 이유로 50여년 만에 다시 찍어내는건가?

 

황제내경: 이게 소문 상,하 그리고 영추까지 합본인가?

 

 

황제내경소문 상

 

 

황제내경소문 하

 

 

황제내경영추

 

 

주해상한론 금궤옥함경: 역시, 분권된 것이 있고 합본된 것이 있다.

 

 

금궤옥함경

 

 

주해상한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초진 선생이 1993년에 펴낸 사계의 고전 [상한론문헌통고] 이후의 작업물들이 하나씩 나오는 모양이다. 20여 년이 지났으니 나올 만도 하다.

 

일부는 영인본으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겠고 ...

일부는 기존 [문헌통고]를 증보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상한론문헌통고

(자매편으로 이순보의 [상한론판본대전]이 있음)

《伤寒论文献通考》由《伤寒论》学大家、中医文献训诂学家、全国医古文学会主任钱超尘教授撰写。
《伤寒论文献通考》对多种伤寒传本,如《脉经》、《玉函》、唐本、宋本、成本、敦煌本、淳化本、康治本、康平本等,以丰富史料,一一历考,分析精深而审慎;对重要《伤寒论》注家,亦有评考;对《伤寒论》中的难解字词,均有确诂详解。《伤寒论文献通考》解决了《伤寒论》文献研究中长期未能解决的问题。

 

 

 

 

영인 손사막본 상한론 교주고증

《孙思邈本伤寒论》收于《千金翼方》卷九卷十,所据底本为六朝之《辨伤寒》十卷本,与《宋本伤寒论》《金匮玉函经》均来源于同一祖本,即王叔和之《张仲景方》十五卷。孙思邈本几乎包括宋本之全,且可补充宋本所阙之条文与方剂,是研究《伤寒论》文献史不可或阙之重要着作。

《影印孙思邈本<伤寒论>校注考证》卷末《后记》对孙思邈本、宋本《伤寒论》版本做了研究考证。

 

 

영인 금궤옥함경 교주고증

《金匮玉函经》是《伤寒论》在六朝时期的另一种传本,北宋校正医书局曾加校定,谓与《伤寒论》“同体而别名”,二书条文相同,有些条文为赵开美本所无,《金匮玉函经》可补赵本之缺。《金匮玉函经》与《伤寒论》分卷大异,保留《伤寒论》两晋面貌,在《伤寒论》文献研究目前意义重大。

 

 

 

영인 일본 안정본 상한론 고증 - 久保道德의 漢方醫藥學에도 영인 수록

日本堀川济《翻刻宋版伤寒论明赵清常原本》于安政三年(1856)刊行,故称安政本。该本时称佳本,风行中日,影响深远。1923年恽铁樵涂改安政本后,伪称《影印伤寒论赵开美刻本》。至1991年刘渡舟《宋本伤寒论校注》出版前,国人所读白文本《宋本伤寒论》皆为安政本或惮铁樵本。钱超尘先生以《宋本伤寒论》校读,发现安政本所据底本为坊刻盗版本,但安政本对普及仲景之学及研究《宋本伤寒论》版本演变仍具有重要价值。

《影印日本安政本<伤寒论>考证》对安政本有详考,可供研究《伤寒论》版本史及训诂者参考。

 

 

영인 남조비본 돈황비권 상한론 교주고증

《影印南朝秘本敦煌秘卷<伤寒论>校注考证》六朝传本可确切考知者有王叔和辑之《张仲景方》十五卷、《辨伤寒》十卷(见梁阮孝绪七录》及《隋书经籍志》。柬晋末南朝初陈延之《小品方序》云:『张仲景《辨伤寒》并方有九卷,而世上有不啻九卷,未测定几卷,今且以目录为正。丹波元简云『《玉函经》亦是唐末人所号,即是《伤寒论》之异本』,其说是今与陈延之『而世上有不啻九查之说全及南朝秘本《伤寒论》。《辨伤寒》《金匮玉函经》《南朝秘本》皆以《张仲景方》为祖本。

 

 

송본 상한론 문헌사론

《宋本<伤寒论>文献史论》所据底本为台湾故宫博物院珍藏之宋本《伤寒论》修刻本,卷首有清末著名藏书家徐坊题记,综考张仲景、王叔和至当今刘渡舟本《伤寒论校注》近两千年版本流传演变历史,对宋本之俗字讹文亦有训释。

 

 

교감 원본 영인 명본 금궤요략 집

一、《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以元邓珍《新编金匮方论》为底本,以明俞桥《新编金匮要略方论》、徐熔《新编金匮要略方论》、赵开美《金匮要略方论》为校本。校本讹字亦正之,改正俞桥本讹字尤多。
二、元邓珍《新编金匮方论》藏北京大学图书馆,孤本,一灯独传,千灯绩焰,存亡继绝,价值独高。日本燎原书店1988年10月影印发行,《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底本取自燎原书店影印本。选取书影若干示例,不敢影印也。
三、上海涵芬楼《四部丛刊》影印俞桥本、徐熔本,《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据以影印。
四、邓珍本多俗体字,与现行筒体字多同,校勘本照录邓本俗体字,是以繁体字中杂有一些简体字。
五、《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以北京中医药大学梁永宣教授《元邓珍本(新编金匮方论)校注》为参校本。(2009年学苑出版社)。梁永宣第一次以邓珍本为底本校注之,在《金匮要略》版本传承史上具有重要意义。
六、《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校勘元邓珍本,影印明俞桥本、徐熔本,故名《校勘元本影印明本(金匮要略)集》。邓本名《新编金匮方论》,俞本、徐本增『要略』二字,趟本删『新编』二字,通称《金匮要略》,今用通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이어트


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스즈키 스노코의 신 먹어야 살이 빠진다
스즈끼 소노꼬 지음, 삶과꿈 편집부 엮음 / 삶과꿈 / 2001년 1월
8,000원 → 7,200원(10%할인) / 마일리지 400원(5% 적립)
2021년 11월 12일에 저장
품절
호르몬 다이어트- 비만 호르몬을 잠재우는 마법의 식사법
이원천 지음 / 사계절 / 2018년 3월
15,500원 → 13,950원(10%할인) / 마일리지 77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1년 11월 12일에 저장

다이어트 불변의 법칙- 개정증보판
하비 다이아몬드 지음, 강신원 옮김, 이의철 감수 / 사이몬북스 / 2016년 5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2021년 11월 12일에 저장
구판절판
다이어트의 배신- 왜 뚱뚱한 사람이 더 오래 사는가
아힘 페터스 지음, 이덕임 옮김 / 에코리브르 / 2013년 12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16년 06월 04일에 저장
구판절판


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에 학술원에서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했다 하여 보았더니 ...

뭐 다른 분야도 할 말은 많지만, 입을 다물고 ...

 

한의학 분야만 살펴보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책도 있고, 아니 대체 왜? 싶은 책도 있다.

 

소위 저 우수학술도서 중에 한의학 분야는 누가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지,

궁금증이 일었다.

 

내친 김에 ... 최근 몇 년 간의 선정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2015년도 것부터 살펴보자.

 

 

 

 

 

 

 

 

 

 

 

 

 

딱 한 권이 선정되었는데 ...

([세계의 독성식물]이라는 책을 ... 넓게 봐서 본초학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아마도 동양의학의 본초학 개념보다는 약물학 범주로 봐야 할 것이다.)

흠 ... 2014년도 출간된 책 중에는 다른 저자의 번역서가 훨씬 더 비중있는 작품인데 ...

뭐, 주학해의 저작을 번역한 것도 의미 있는 일이긴 하다.

 

 

2014년도를 보면 ... 아주 가관이다.

처음 들어본 저자들의 ... 개론서 하나와 본초 도감 하나인데,

이 책들이 학술적으로 무슨 대단한 의미가 있는거지?

 

 

 

 

 

 

 

 

 

 

 

 

 

 

2013년도, 역시 한 권 ...

학술원에서는 도감류를 좋아하시는구만.

 

 

 

 

 

 

 

 

 

 

 

 

 

2012년도에는 한의학 책이 아예 선정되지 않았고 ...

(국립국어원에서 국어 연구 자료로 나와 한국학 분야에 선정된 [구황촬요]를 제외하면)

 

 

 

 

 

 

 

 

 

 

 

 

 

 

 

2011년도에도 ...

한국학 분야에 속한다 할 수 있는 고려시대 의사학 관련서 두 점을 제외하면

(이 두 서적은 고려 의학사라는, 불모에 가까운 분야로서는 소중한 연구자료가 될 것이다.)

[황제내경소문해석] 한 점.

이거 학술적으로 그닥 큰 반향을 일으킨 책도 아닌데 ...

 

 

 

 

 

 

 

 

 

 

 

 

 

 

 

 

 

 

 

한의학의 학술 분야에서 큰 성취를 이루었거나,

임상적으로 진일보한, 의미있는 서적들이 최근 5년 동안에도 분명히 많이 출간되었는데

이런 수준의 면면이라면 ... 이거 참 뭔가 당황스럽네. 

올해의 저런 모습은 다른 해에 비하면 딱히 못할 것도 없는 것이었군.

 

한의학 분야만 언급했는데, 양의학이나 치의학 쪽은 훨씬 더 안드로메다로 가는 느낌이고.

인문 사회 계열은 뭔가 보편적인 기준이랄까, 어느 정도의 상식선을 벗어나지 않는데

(누가 봐도 타당한 책이 열에 아홉 정도 뽑히면, 이건 대체 뭐야 싶은 책 한 권 정도 겉다리로 ...

뭐 그런 느낌?)

자연과학, 특히 공학이나 기타 각종 기술과학 쪽은 일반인의 해당 분야에 대한 무지라는

장막을 너무 믿고 ... 쿵따리 짝짝으로 돌아가는게 아닌가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30 14: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잠자는 책 풀빛 그림 아이 22
스테파노 비탈레 그림, 샬롯 졸로토 글, 김경연 옮김 / 풀빛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은 애기 잠 좀 재울 목적으로 읽어주는 거 아니던가? 우리 애는 대체 왜 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