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대로 볼 것 : 

그림으로 보는 근골격 해부학(대학서림)  

 

 

 

 

척추와 사지의 검진 (대학서림) 

 

 

 


시리악스 정형의학 (현문사) 

 

 

 

 

그림으로 풀어쓴 임상근육학 (대성의학사) 


 

 

 

gunn의 접근법에 의한 만성통증의 치료 (군자출판사)  

  

 

 

 

prolo your pain away (군자출판사) 

  

 

 

 

back pain & spinal manipulation (푸른솔),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군자출판사)  

 

 

 

 

에센셜 (한우리) 

관절기능이상 도수치료법 (대학서림) 

근에너지기법(영문출판사) 

 

 

 

 

침의 과학적 접근과 임상 (대한추나학회출판사) 


 

 
 

 

기타 참고서적 

신경외과학(대한신경외과학회) 

  

 

 

 

쉽게 배우는 신경학적 검진 (푸른솔) 

 

 

 

 

최신 실전 임상가이드 (한국의학) 

  

 

 

흔한 통증증후군별 주사요법 (범문사)  

연부조직의 통증 및 장애의 기전과 치료(영문출판사) 

 

 

 

 

척추 및 사지에 대한 정형검사 (현문사)  

정형물리치료진단학 (현문사)  

 

 

 

 

임상스포츠의학  (최신의학사)  

자세이완치료 (영문출판사)

List by 엄익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에서 구글 스칼라를 이용해 인용횟수를 기준으로 작성한 인문사회 관련 20세기 명저 목록인데... 번역서 목록이 몇 개씩 빠지는 한국 학계로서는 그저 굴욕이다. 듣도 보도 못한 책들이 수두룩하니... 

일부 원서는 제목을 누르면 아마존 미국 및 일본의 해당 서적 코너로 갈 수 있다.  

 

1. 과학혁명의 구조 科学革命の構造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 Kuhn, 1962, 피인용 횟수 14000)

김명자 역본은 1992년 동아출판사판부터 해서, 최근의 개정본까지 세번째 번역이 되는 셈인데, 그간의 번역에 대한 논란을 불식시켰으려나. 1980년도 이대출판부 판이 아마도 초역이다.

 

 

 

 

 

2. 정의론 正義論   A Theory of Justice, Revised Edition (J. Rawls, 1971, 피인용 횟수 7900)

 

 

 

 

 

 

 

3. 制度・制度変化・経済成果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Douglas C. North, 1990, 피인용 횟수 7800)  

놀랍게도, 1996년 한국경제연구원, 1997년 자유기업원 번역본 2종이나 ...

 

 

 

 

 

 

 

 

4. 哲学する民主主義  Making Democracy Work (Robert D. Putnam, 1993, 7200)  

 이... 책인가?

 

 

 

 

 

 

5. つきあい方の科学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Revised Edition (Robert Axelrod, 1984/2006, 7000) 

 

 

 

 

 

 

 

6. 集合行為論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Mancur Olson, 1965/1971, 6900) 

집단행동의 논리는 2003년 윤여덕 역본이 있음에도 굳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새 번역본이 나왔다.

 

 

 

 

 

 

 

 

7. Mind in Society (L. S. Vygotsky et al., 1978, 5600) - ヴィゴツキーの死後英訳され、編纂された論文集である。

비고츠키의 사회 속의 정신은 1994년 성원사, 2000년 양서원 2종의 역본이 있다.

 

 

 

 

 

 

 

8. 나 홀로 볼링 孤独なボウリング   Bowling Alone :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Robert D. Putnam, 2001, 5400)  

 

 

 

 

9. 삶으로서의 은유 レトリックと人生   Metaphors We Live By (George Lakoff and Mark Johnson, 1980, 5300) 

 

 

 

 

 

 

 

 

10. 行為と演技―日常生活における自己呈示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Erving Goffman, 1959, 5200)

상기서 대신 [상호작용의례]와 [스티그마] 외 1종이 번역되어 있다.

 

 

 

 

 

 

 

 

 

 

 

 

11. 青色本・茶色本 The Blue and Brown Books (Ludwig Wittgenstein, 1958/1969, 5100) 

 

 

 

 

 

 

 

12. 사회적 학습이론 人間行動の形成と自己制御  Social Learning Theory (Albert Bandura, 1971, 5100) 

 

 

 

 

 

 

 

13. 社会理論の基礎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James Coleman, 1990, 5000) 

14. 民主主義の経済理論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Anthony Downs, 1957, 4900) 

 

 

 

 

 

 

15. (인간의) 동기와 성격 人間性の心理学  Motivation and Personality (Abraham Harold Maslow, 1954, 4700) 

 

 

 

 

 

16. 生態学的視覚論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James J. Gibson, 1979, 4700)

17. 論理と会話   Studies in the Way of Words (Paul Grice, 1989, 4600) - 本書は論文集であり、中に収録されている同名の論文が単独で4700件の被引用数だったため、ランキングに入れることにした。 

18. 言語と行為   How to do things with words (John Langshaw Austin, 1960, 4600) 

 

 

 

 

19. ゲームの理論と経済行動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 (Oskar Morgenstern and John Von Neumann, 1944, 4500) 

20. 상상의 공동체 想像の共同体  Imagined Communities (Benedict Anderson, 1983, 4500) 

 
 

 

 

 

21. 감시와 처벌 監獄の誕生―監視と処罰 (M. Foucault, 1975, 4400)  


 

 

 

 

 

22 資本主義・社会主義・民主主義 (Joseph Alois Schumpeter, 1942, 4400)  


 

 

 

23 システムの科学  Herbert A. Simon 1969 4400


24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Manuel Castells 1996 4300  


 

 

 

 

 

 

 

2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by Morris Rosenberg 1965 4300

26. 최소주의 언어이론 ミニマリスト・プログラム  The Minimalist Program (N. Chomsky, 1995, 4200)  


 

 

 

 

 

 

 

27 思考と言語  L. S. Vygotsky 1934 4200  

 

 

 

 

 

 

28 暗黙知の次元  M. Polanyi 1967 4200

 

 

 

 

 

 

29 近代とはいかなる時代か? Anthony Giddens 1990 4200

30 幼児期と社会  E. H. Erickson 1950 4200

31 オーガニゼーションズ  H. Simon, J. March 1958 4200

32 経済発展の理論 J. A. Schumpeter 1912 4100  


 

 

 

 

 

 

33 ポストモダニティの条件  D. Harvey 1989 4100  


 

 

 

 

 

 

34 雇傭・利子及び貨幣の一般理論   J. M. Keynes 1935 4100  


 

 

 

 

 

 

 

35 A Treatise on the Family G. S. Becker 1981 4100  

36 과학적 발견의 논리 科学的発見の理論 K. Popper 1935 3800  

37 ディスタンクシオン  P. Bourdieu 1979 3800  


 

 

 

 

 

 

 

38 文法理論の諸相 N. Chomsky ノーム・チョムスキー 1965 3700

39 Esquisse d'une theorie de la pratique, precede de trois etudes d'ethnologie kabyle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P. Bourdieu 1972 3700)  

40 危険社会  U. Beck  1986 3700  


 

 

 

 

 

 

 

41 現実の社会的構成  P. L.. Berger 1966 3700

42 統率・束縛理論   N. Chomsky  1981 3600

43 社会的選択と個人的評価  K. Arrow 1951 3600  

44 Human Problem Solving H. Simon  1972 3600

45 「信」無くば立たず  F. Fukuyama  1995 3400  


 

 

 

 

 

 

 

46 自由と経済開発  A. Sen 1999 3400 

 
 

 

 

 

 

 

47 オリエンタリズム E. Said 1978 3400  


 

 

 

 

 

 

 

48 精神・自我・社会 G. H. Mead 1934 3300

49 Judgement under Uncertainty  D. Kahneman, P. Slovic, A. Tversky 1982 3300

50 ジェンダー・トラブル  J. Butler 1990 3200  


 

 

 

 

 

 

 

51 The Constitution of Society A. Giddens 1984 3200 

 
 

 

 

 

 

 

52 経営行動 H. Simon ハーバート・サイモン 1947 3200


 

 

 

 

53 오점:장애의 사회 심리학 スティグマの社会学 E. Goffman アーヴィング・ゴッフマン 1963 3200  


 

 

 

 

54 対人関係の心理学 F. Heider フリッツ・ハイダー 1958 3200

55 母子関係の理論 J. Bowlby ジョン・ボウルビィ 1969 3200

56 人的資本 G. S. Becker ゲーリー・S.ベッカー 1964 3200
57 精神の生態学 G. Bateson グレゴリー・ベイトソン 1972 3000  


 

 

 

 

 

 

58 精神のモジュール形式   J. Fodor ジェリー・フォーダー 1983 2900

59 行動の機構  D. O. Hebb ドナルド・O.ヘッブ 1949 2900

60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J. R. Anderson ジョン・R・アンダーソン 1983 2900

61 社会理論と社会構造  R. K. Merton ロバート・K.マートン 1957 2800

62 経験と教育 J. Dewey ジョン・デューイ 1938 2700  


 

 

 

 

 

 

63 Bodies that Matter J. Butler ジュディス・バトラー 1993 2700  


 

 

 

 

 

 

64 意味の復権   J. S. Bruner ジェローム・S.ブルーナー 1990 2700
65 ミシェル・フーコー思考集成   M. Foucault ミシェル・フーコー 1980 2600
66 文法の構造  N. Chomsky ノーム・チョムスキー 1957 2600
67 モダニティと自己アイデンティティ A. Giddens アンソニー・ギデンズ 1991 2600  


 

 

 

 

 

 

68 可能世界の心理 J. S. Bruner ジェローム・S.ブルーナー 1986 2600
69 民主主義と教育 J. Dewey ジョン・デューイ 1916 2500  


 

 

 

 

 

 

 

70 解明される意識 D. Dennett ダニエル・デネット 1991 2500
71 プロテスタンティズムの倫理と資本主義の精神 M. Weber マックス・ウェーバー 1904 2500  


 

 

 

 

 

 

 

72 社会体系論 T. Parsons タルコット・パーソンズ 1951 2500  

  

 

 

 

 

 

 

73 脱工業社会の到来 D. Bell ダニエル・ベル 1973 2400  


 

 

 

 

 

 

74 ポストモダンの条件 J. F. Lyotard ジャン・F.リオタール 1979 2300  


 

 

 

 

 

 

 

75. 心の概念 G. Ryle ギルバート・ライル 1949 2300


 

 

 

 

76. 인지의미론  認知言語学 G. Lakoff ジョージ・レイコフ 1987 2300
77 危険・不確実性および利潤 F. H. Knight フランク・H.ナイト 1921 2300



 


78. アナーキー・国家・ユートピア R. Nozick ロバート・ノージック 1974 2200

 

 

 

 

79 言語を生みだす本能 S. Pinker スティーブン・ピンカー 1994 2200  


 

 

 

 

 

 

80 個人的知識 M. Polanyi マイケル・ポランニー 1964 2200  


 

 

 

 

 

81 アサイラム E. Goffman アーヴィング・ゴッフマン 1961 2200


 



82 The Power of Identity M. Castelles マニュエル・カステル 1997 2200  


 

 

 

 

 

 

 

83 知覚の現象学 M. M. Ponty M.メルロ=ポンティ 1945 2100  


 

 

 

 

 

 

 

84 グラムシ獄中ノート A. Gramsci アントニオ・グラムシ 1975 2100  


 

 

 

 

 

 

 

85 言語行為 J. R. Searle ジョン・R.サール 1969 2100
86 性の歴史 M. Foucault ミシェル・フーコー 1984 2100  


 

 

 

 

 

 

 

87 文明の衝突 S. P. Huntington サミュエル・P.ハンチントン 1996 2100  


 

 

 

 

 

 

88 資本主義と自由 M. Friedman ミルトン・フリードマン 1962 2100  

 

 

 

 

 

 

 

89 真理と方法 H. G. Gadamer ハンス・G.ガダマー 1965 2000  

 

 

 

 

 

 

90 존재와 시간 存在と時間 M. Heidegger マルティン・ハイデガー 1926 2000  


 

 

 

 

 

 

 

91 論理哲学論考  L. Wittgenstein 1921 2000  

 

 

 

 

 

 

92 Political Liberalism J. Rawls ジョン・ロールズ 1993 2000  

 

 




93 自己の分析 H. Kohut ハインツ・コフート 1971 2000






94 거대한 변환 大転換 K. Polanyi カール・ポランニー 1944 2000


 

 

 

95 福利経済学 A. Pigou アーサー・C.ピグー 1920 1900

 
96 さまよえる近代 A. Appadurai  1996 1900  


 

 

 

 

 

 

97 哲学と自然の鏡 R. Rorty リチャード・ローティ 1979 1900  


 

 

 

 

 

 

98. 이름과 필연 名指しと必然性 S. Kripke ソール・A.クリプキ 1980 1900

 


 

 

99. 自己の修復  H. Kohut ハインツ・コフート 1977 1900






100. 인식과 관심  認識と関心 J. Habermas ユルゲン・ハバーマス 1968 1900 

고려원에서 1996년에 나온 적이 ... ㅎㄷㄷ 


 

 

 

 

 

 

 

 

Googleが選ぶ20世紀の名著100選


Google Scholarは、学術論文や学術書の被引用数を表示することができる。そこでこの仕組みを用いて、20世紀(1901年~2000年)に出版された文系の学術書の中で、どの本が多く引用されているかを100位まで調べてみた。以下にはその結果を掲載する。  

 

はじめに


 巨大な対象の全貌を見通すには、対象から距離を取らなければならない。21世紀になってからの7年という期間は、20世紀という巨大な対象の全貌が姿を現すのに十分な時間であったかどうかは分からないが、20世紀にはどのような著作が出版されたのかを纏めてみようと私が思い立ったのは、著作の被引用数、すなわち任意の著作が他の著作にどれだけ引用されているかが、Google Scholarを用いて調べられることが分かったからである。この小論の目的は、被引用数という指標を用いて、20世紀の文系学術書のランキングを作ることである。以下には、「文系学術書」という限定が必要であった理由を記そう。

 ある著作の被引用数という指標は、その著作が学術の世界でどれだけ影響力があったかを客観的に知る手がかりになる。被引用数という指標は、引用し、引用される著作のネットワークの中で、任意の著作がどのようなポジションにいるかを反映するのである。それゆえ、被引用数で著作の優劣を判定できるのは、他の著作に引用されることを期待して書かれた著作の範囲内でしかない。このことから、詩集や小説を被引用数でランキングするということは適切ではないことは明らかだろう。詩集や小説は、引用されるために書かれた著作ではないため、どれだけ多く引用されているかということが、その著作の質を全く反映しないのである。私が「学術書」という限定をつけたのはこのためである。「学術書」とは「引用されることを期待して書かれた著作」のことである。

 「文系」という限定をつけたのは、今回作成したランキングが本のランキングであることの必然的な帰結であった。文系、理系などという違いが学問の対象の側に存在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が、文系と見なされる領域では、学者は本を出版することで自らの研究成果を公表する慣習が存続している。一方理系とみなされる領域では、研究成果の公表は専ら専門学術雑誌への投稿という形で行なわれている。つまり、20世紀に理系分野で影響力の大きかった研究成果の大半は本にはなっておらず、本になっているとしても、それは教科書になってしまうのである。巷で見かける名著のリストでは、表のほとんどが小説や文系の本で占められている中に、取って着けたようにアインシュタインの『相対性理論』が入っていたりすることがある。しかし、このような節穴だらけの配慮はナンセンスであるし、名著を集めてくれば理系分野の重要な研究の動向も把握できる、という誤解を生み出しかねず、有害でもある。私が文系の学術書に的を絞ってランキングを作るのは、このような理由からである。「文系」とは、「学者が本で自らの研究成果を公表することが多い学術領域」という意味で理解してほしい。

 このような分野として、哲学、言語学、社会学、法学、経済学、政治学、地理学、歴史学、心理学、教育学、科学哲学、人類学を含めることにする。経済学では雑誌投稿による研究発表のウェイトが大きいが、自らの立場を本で表明するという文化も存在しているので、これに含めることにした。


方法


 日本語版Wikipediaにおいて、「哲学者」「言語学者」「思想家」「社会学者」「法学者」、「経済学者」、「政治学者」、「地理学者」、「歴史学者」、「心理学者」、「教育学者」、「科学哲学者」、「人類学者」のリストのうち、項目が立てられているすべての学者の名前に関して、その名前でGoogle Scholarの検索をかけた。Google Scholarは、その名前を著者とする著作を被引用数の多いものの順に表示するシステムになっている。そこで、被引用数の多かったもののうち、書籍であるものを記録に取り、最後にエクセルでソーティングをして表を作成した。被引用数は日々変化するので、下2桁は切り捨てた。なお以上の調査は、2007年8月28日から9月5日にかけて行った。

 次に、東京大学OPACを用いて、その著作に邦訳が出ていないかを調べ、邦訳が出版されているものに関してはその邦題を、出版されていないものに関しては英語版の題を調べた。また、東京大学OPACと、Wikipedia英語版を駆使して、原著の言語と、原著の出版年も調べた。


結果


 被引用数が上位に来ると思われた153件を記録に取り、ソーティングして100位までのランキングを作った。結果は上に載せたとおりである。

 以下に、「20世紀の文系学術書」という条件を満たさなかったために除外された若干の著作について記しておく。

 20世紀に出版されたという条件を満たさなかったものをいくつか挙げると、アルフレッド・マーシャルの『経済学原理』(4300件)は、原著出版年が1891年であるため除外された。同様にジグムンド・フロイドの『夢判断』(2100件)も、出版年が1899年であるため除外された。逆にジョセフ・E.スティグリッツの『世界を不幸にしたグローバリズムの正体』(2000件)は、出版年が2002年であるために除外された。

 書籍ではなく論文であったために除外されたものをいくつか挙げると、アルバート・バンデューラの“Social Cognitive Theory”(6800件)、ダニエル・カーネマンの“Prospect Theory”(6000件)、ジェームズ・コールマンの“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5200件)、マーク・グラノヴェッターの“The Strength of Weak Tie”(5100件)、N.グレゴリー・マンキューの“A Contribution to the Empirics of Economic Growth”(3300件)、ジョージ・アカロフの“The Market for “Lemons””(3000件)などがある。ポール・グライスの“Logic and Convention”(4600件)は、この論文を含む論文集が本として出版されていることを知っていたので、その論文集を著作として認めることにした。

 文系という条件を満たさなかったために除外された書籍を挙げると、ベンワー・B.マンデルブロの『フラクタル幾何学』(9600件)、リチャード・ドーキンスの『利己的な遺伝子』(4000件)、デヴィッド・マーの『ヴィジョン』(3300件)などである。これらはいずれも、もともとの専門分野に留まらず、学際的な影響を与えた著作であり、「20世紀の名著」に数え上げられてしかるべきだと思うが、これらの本を認めると芋づる式に他の本も認め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除外することにした。


考察


 被引用数でランキングを作ることの最大の長所は、著作の影響力についての客観的な評価ができる点である。この点は、このランキングが誇ってよい強みである。出版社や書店でも、「20世紀の名著」と称して本のリストを作ることがあるが、これらのリストは、おそらく数人の読書家や知識人が集まって決めたものであり、どうしても取りこぼしや選考委員の専門分野への贔屓が除外できないだろう。

 被引用数というのは、学問の素人である一般の読者への影響の大きさではなく、学問のプロたる学者への影響の大きさを反映している。このことは、20世紀の中で、真に重要であった著作がどれであったのかを明らかにする上で、有利な特徴であると思う。なぜなら、第一に、一般の読者よりも学者の方が、自分の専門とする分野の著作の重要性に関してより適確な判断ができるからである。そして第二に、学者は影響力を持つ存在であり、学者が引用するということは、学者の影響力を介して、その著作が影響力を間接的に拡大させていることになるからである。

 しかし、被引用数を基にしたランキングには、種々のバイアスが存在することも認めなければならない。
第一のバイアスは、より早くに出版された書物の方が有利だという点である。1901年に出版された本は、1990年に出版された本よりも10倍の期間だけ引用してもらうチャンスがある。ところが、結果はここから予想されるのとは全く逆であった。以下の表は、出版年を10年ごとに区切って、ランキング入りした著作の数を集計したものである。

出版年        冊数
1901~1910    1
1911~1920    3
1921~1930    3
1931~1940    5
1941~1950    8
1951~1960    10
1961~1970    17
1971~1980    20
1981~1990    19
1991~2000    14

 表を見ると、20世紀前半の著作よりも、20世紀後半の著作の方が100位以内により多く名を連ねていることが分かるだろう。どうしてこのような結果が生じたのだろうか。上述のバイアスをひっくり返してしまうほどに、20世紀前半は生産性の低い時代であり、20世紀後半は多産な時代だったということなのだろうか?

 おそらくそうではないだろう。第一に、著作が引用される頻度は、出版から時間を経ると急激に下がっていくものである。また、書物や学術雑誌の出版の総数は、時代が下るほど増加している。すると、過去の著作は、出版当時に高い割合で他著に引用されたとしても被引用数をそれほど稼ぎ出すことができず、近年の著作は、それと同じ割合で他著に引用されるだけで高い被引用数を叩き出してしまう、ということがありうると考えられるのである。この仮説が正しいとすると、上に述べたのとは逆に、比較的新しい著作の方が有利になるようなバイアスが存在していることになる。もっとも、パラドキシカルな結果は、単に、Google Scholarがインターネットからアクセスしにくい著作を正しく評価できていないために生じたものなのかもしれない。この点は後述することにする。

 第二のバイアスは、言語の壁である。ある著作が引用されるためには、その著作が多くの学者が読める言語で書かれていなければならない。具体的には、著作は、英語でなければ引用されないのである。仮に革新的な著作が日本語で書かれても、その著作は高い被引用数を叩き出すことはできない。ゆえに、言語の壁によってランキング入りを阻まれている、隠れた名著が数多く存在していることになるのではないか?だが、これに対しては再反論が可能である。もし、ある著作が真に革新的なものであるなら、それは英語に訳されるはずである。そして英訳されたその著作が高い被引用数を稼ぎ出すだろう。もう一つの反論:ある学者が真に有能な学者であれば、彼は英語を必ずや習得し、英語で著作を書くだろう。これは両方とも大方正しいと思う。具体例を挙げれば、ロシア語で書かれたヴィゴツキーの著作や、フランス語で書かれたフーコーの著作や、ドイツ語で書かれた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の著作は、真に革新的であったため、英訳され、高い被引用数を獲得したのである。第二に、ハンガリー生まれのマイケル・ポランニー、スペイン生まれのマニュエル・カステル、インド生まれのアマルティア・センは、とびきり優秀であったために、母国語ではない英語で著作を書くことができたのであった。

 第三のバイアスは、自らの研究成果を本で発表する割合が高い領域の方が、不利だということである。10ページの論文に引用されても、1000ページの大著に引用されても、引用数のカウントとしては1回である。したがって、研究成果を小出しにして、論文で発表するのが一般的な研究領域の著作の方が、高い被引用数を得ることができるのである。フランス現代哲学の分野から、ジャック・デリダやジル・ドゥルーズがランキング入りを果たせなかったのは、おそらくこれが原因である。

 第四のバイアスは、著作が真の名著であるかどうかに関わらず、著作を書くときに引用しなければならない著作が高い被引用数を獲得してしまうという点である。このバイアスは、被引用数で著作を評価する手法の本質的な欠点である。ランキングの上位を見てみると、用語を流行させた学者が散見される。誰もが知っている例を挙げると、クーンは「パラダイム」、マズローは「自己実現」、エリクソンは「モラトリアム」や「アイデンティティ」、シュンペーターは「イノヴェーション」、ベッカーは「人的資本」という言葉を流行させた張本人である。少し専門的な例を挙げるなら、サイモンは「限定合理性」、ギブソンは「アフォーダンス」、ポパーは「反証主義」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は「言語ゲーム」、マイケル・ポランニーは「暗黙知」、ボウルビィは「分離不安」というように、それぞれキーワードが連想されよう。そして、その用語の発端となった著作は、そのキーワードに言及する際に引用しなければならないために、被引用数が激増することになるのである。もっともこれに対しては、言葉を流行させたということは、真の名著であることの十分条件である、という反論があるかもしれない。

 最後に、被引用数をGoogle Scholarで調査したことに付随する限界を指摘しよう。Google Scholarが把握している論文や書籍は、インターネット上からアクセスできるものに限定されている。つまり、紙媒体でしか存在が確認できない論文や書籍は無視されているわけである。すると、古い著作は、それを引用する著作の少なからぬ部分が紙媒体でしか手に入らないため、被引用数が過小評価されてしまっていると思われるのである。

 また、明らかにランキング入りしていてよいはずの著作がランキングに入っていないということがある。私は哲学の分野にしか詳しくないので、哲学の分野の例しか挙げることができないが、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の『青色本・茶色本』および『論理哲学論考』がランキングに入っ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彼の『哲学探究』が入ってこないのは、明らかにGoogle Scholarのエラーである。そしてこのようなエラーは、他の学問分野でも多々存在することが推測されるのである。



最後に


 上述したように、被引用数に基づいたランキングには様々なバイアスが入り込んでいるので、順位にはたいした意味はないと私は考えている。しかし他方で、私は、100冊のリストに上がった著作の大半は、実際に後世に受け継がれるべき20世紀の名著であると信じている。このリストが、新たな著作や著者との出会いのきっかけになってくれれば幸いである。
 

 



댓글(3) 먼댓글(1) 좋아요(8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구글 선정 20세기 명저 100
    from 효진이네 : 꼼꼼히 읽기 2014-08-18 03:22 
    원글의 주소는 http://blog.aladin.co.kr/trackback/vairocana/2851495원글 작성작인 비로자나 님께 감사드립니다.순서는 100위부터 반대로.목록에 없는 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25 사회와 사춘기 자기이미지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모리스 로젠버그 (알라딘에서 검색불가)(아마존 링크 : http://amzn.com/0819562289)31 조직이론 제임스 마치&허버트 사
 
 
비로자나 2015-10-09 1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검토해 보니 이 목록이 발표된 이후에 국내에 번역본이 나온 경우도 있고,
이전에 나왔으나 제가 미처 찾지 못한 경우도 있네요.
차츰차츰 추가를 하겠습니다.

2016-06-24 16: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자나 2016-06-24 16:43   좋아요 0 | URL
아 ... 그 ... 뭐 ... 저 ...
없다고 해서 굳이 또 구하실 것까지야 ㅎㄷㄷ
대단하십니다!
 

독일적인 독서 목록   

 

 

 

 

 

 

 

 

이 책이다... 

 

 

 

 

 

 

슈바니츠의 이 책, [교양,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이라는 건방진 제목의 책이 조금 잘 팔리자 시리즈 개념으로 나온 듯 하다. 솔직히 말해서, 거창한 제목만 믿고 위 책을 읽는다고 해서 그다지 교양이 늘어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세계
성서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돈 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파우스트」- 요한 볼프강 괴테
「인간희극」- 오노레 드 발자크
「모비딕」- 허먼 멜빌
「율리시스」- 제임스 조이스  

 

 

    

      

 

 


 

  

사랑
「트리스탄과 이졸데」- 고트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
「로미오와 줄리엣」- 윌리엄 셰익스피어
「위험한 관계」- 쇼들로 드 라클로
「신 엘로이즈」- 장 자크 루소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적과 흑」- 스탕달
「친화력」- 요한 볼프강 괴테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
「안나 카레니나」- 레프 톨스토이
「에피 브리스트」- 테오도르 폰타네
「롤리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정치
「군주론」- 니콜로 마키아벨리
「라바이어선」- 토마스 홉스
「통치이론」- 존 로크
「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스 드 토크빌
「공산당선언」-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
「발라드」- 프랑수아 비용
「무례한 아이들」- 드니 디드로
「패니 힐, 한 매춘부의 회상」- 존 클레랜드
「생갈의 J. 카사노바 회고록」- 조반니 지아코모 카사노바
「쥐스틴 또는 미덕의 불운」- 마르키 드 사드
「채털리 부인의 사랑」- D.H. 로렌스 
 

 

 


 

 

 

경제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막스 베버
「로빈슨 크루소」- 다니엘 디포
「국부론」- 애덤 스미스
「자본론」- 카를 마르크스
「서푼짜리 오페라」- 베르톨트 브레히트
「고용·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 존 메이너드 케인스
「도널드 덕」- 칼 바크스
「99프랑」- 프레데릭 베엑베데
  

 



 

 

 

 

 

 

 

 

 

 

여성
「여성의 권리옹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제2의 성」- 시몬 드 보부아르
「거세된 여자」- 저메인 그리어
「작은 차이」- 알리체 슈바르처
  



 

 

 

 

문명
「궁정인」-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
「우울증의 해부」- 로버트 버턴
 희극 - 몰리에르
「학예론」- 장 자크 루소
「라모의 조카」- 드니 디드로
「부덴브로크가」- 토마스 만
「계몽의 변증법」- 테오도르 아도르노·막스 호르크하이머
「문명화 과정에 대하여」-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정신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
「트리스트럼 샌디」- 로렌스 스턴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꿈의 해석」- 지크문트 프로이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마르셀 프루스트  



 

 

 

 

 

 

 

셰익스피어 
 희곡 작품들 

 

 

 

 

 

현대
「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황무지」- T.S. 엘리엇
「마의 산」- 토마스 만
「심판」- 프란츠 카프카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알프레드 되블린
「특성 없는 사나이」- 로베르트 무질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  



 

 

 

통속 소설
「프랑켄슈타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셸리
「드라큘라」- 브람 스토커
「셜록 홈스」- 아서 코넌 도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마거릿 미첼
「비네토우」- 카를 마이 

 

 

 

 

컬트문학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요한 볼프강 괴테
「호밀밭의 파수꾼」- J.D. 샐린저
「길 위에서」- 잭 케루악
「황야의 이리」- 헤르만 헤세
「X세대」- 더글러스 커플랜드  



 

 

 

 

유토피아 : 사이버 세계
「유토피아」- 토마스 모어
「노바 아틀란티스」- 프랜시스 베이컨
「태양의 나라」- 토마소 캄파넬라
「타임머신」- H.G. 웰스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1984」- 조지 오웰
「솔라리스」- 스타니슬라프 렘
「뉴로맨서」- 윌리엄 기브슨  


 


 

 

  

 

 

 

 

학교 고전
「에밀리아 갈로티」「현자 나탄」-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도적들」「간계와 사랑」「빌헬름 텔」- 프리드리히 쉴러
「깨어진 항아리」「미하엘 콜하스」-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어느 빈들이의 생활」-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당통의 죽음」- 게오르크 뷔히너
「독일, 겨울동화」- 하인리히 하이네  



 

 

 

아동도서
「에밀-교육에 관하여」- 장 자크 루소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삐삐 롱스타킹」-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해리 포터」- 조앤 K. 롤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과대학 추천 인문도서 목록

                                              

                                               인제의대 인문의학교실 주임교수 강신익


1. 인간에 대한 이해 : 철학, 생명 & 인간, 문학 & 예술

1) 철학

김교빈, 박석준 외, <동양철학과 한의학
>, 아카넷, 2005.  

 

 

 

조광제, <존재 이야기: 조광제의 철학 유혹>, 미래M&B, 2002.
한자경, <동서양의 인간 이해>, 서광사, 2001.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이런, 이게 바로 나야!>, 전2권, 김동광(역), 사이언스북스, 2001.
리처드 니스벳, <생각의 지도: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최인철(역), 김영사, 2004.
C.A. 반 퍼슨, <몸 영혼 정신: 철학적 인간학 입문>, 손봉호, 강영안(공역), 서광사, 1989.
A.C. 그레일링, <존재의 이유: 강단 밖으로 나온 철학자, 길 위에서 길을 묻다>, 남경태(역), 사회평론, 2003. : 주목받는 당대 철학자의 저서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최혁순(역), 범우사상신서 제3권, 범우사, 1999.  


 

 

   

    

 

 

 

 

2) 생명 & 인간 

손봉호, <고통받는 인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이은봉, <한국인의 죽음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한림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죽음과 삶>, 민속원, 2001.
셔윈 B. 뉴랜드, <사람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 명희진(역), 세종서적, 2003.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죽음의 순간>, 김진욱(역), 자유문학사, 2000.
우어즐라 마이스너 외, <죽음의 춤>, 유영미(역), 대원사, 2004.
필리프 아리에스, <죽음의 역사>, 이종민(역), 동문선, 2002.   

   

    

 

 

      

 

 

 

 

이블린 폭스 켈러, <유전자의 세기는 끝났다>, 이한음(역), 지호, 2002.
그레고리 펜스, <누가 인간 복제를 두려워하는가>, 이용혜(역), 양문, 2001.
그레고리 펜스(편), <인간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인간복제의 윤리학>, 류지한(역), 울력, 2002.
알란 주디스 클로츠코, <나를 복제한다면>, 이한음(역), 을유문화사, 2005.
프랜시스 후쿠야마, <HUMAN FUTURE: 부자의 유전자 가난한 자의 유전자>, 송정화(역), 한국경제신문사, 2003.
에드워드 윌슨, <인간 본성에 대하여>, 이한음(역), 사이언스북스, 2003.  

  

 

 

 

 

레이 그릭 외, <탐욕과 오만의 동물 실험>, 김익현, 안기홍(공역), 다른세상, 2005.
한스 요나스, <: 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이진우(역), 서광사, 1994.
 


 

 

 

R. 네스 외,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최재천(역), 사이언스북스, 2005.
야마자키 후미오, <병원에서 죽는다는 것>, 김대환(역), 상상미디어, 2005.
멜빈 코너, <하버드 대학 병원의 의사들>, 한성구 외(역), 몸과 마음, 2001.
멜빈 코너, <현대의학의 위기>, 소의영 외(역), 사이언스북스, 2001.
알프레드 토버, <어느 의사의 고백>, 김숙진(역), 지호, 2003.
아툴 가완디,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김미화(역), 소소, 2003.
에릭 J. 카셀,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강신익(역), 코기토/들녘, 2002.
버나드 라운, <치유의 예술을 찾아서>, 서정돈 외(역), 몸과마음, 2003.   

 

   

 

  

 

 

 

 

알베르트 슈바이처, <나의 생애와 사상>, 천병희(역), 문예출판사, 1999.
케빈 타카쿠와 외, <의과대학이 나를 이렇게 바꿨다>, 김명철(역), 청년의사, 2004.
테드 알란 외, <닥터 노먼 베쑨>, 천희상(역), 실천문학사, 2001.
 


 

 

 

수잔 손택, <타인의 고통>, 이재원(역), 이후, 2004.
아서 클라이만 외, <사회적 고통>, 안종설(역), 그린비, 2002.
프랭크 T. 버토식 Jr, <사로잡힌 몸: 통증의 자연사>, 이제이북스, 2005.
Roselyne Rey, The history of pain, Havard univ. press, 1998.

 


 


3) 문학 & 예술 

문국진, <명화로 보는 인간의 고통>, 예담, 2005.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1, 2, 3>, 전3권, 휴머니스트, 2003.
진중권, <춤추는 죽음 1, 2>, 전2권, 세종서적, 2005.
게르트 호르스트 슈마허, <신화와 예술로 본 기형의 역사>, 이내금(역), 자작, 2001.
필립 샌드블롬, <창조성과 고통: 위대한 예술가는 위대한 병자다>, 박승숙(역), 아트북스, 2003.
에드워드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 박홍규(역), 문예출판사, 2005.
존 버거, <이미지>, 편집부(역), 동문선 문예신서, 제12권, 동문선, 1990.
 

 



 

 

 

 

 

 

마종기, <보이는 것을 바라는 것은 희망이 아니므로>, 문학과지성사, 2004.
마종기 외, <의학과 문학>, 문학과 지성사, 2004.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문학과 지성사, 2003.
노아 고든, <메디쿠스>, 전3권, 김소영(역), 해나무, 2003.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 서민아(역), 인디북, 2002.
아치볼드 크로닌, <성채>, 이승우(역), 성바오로딸수도회, 1990.
안톤 체호프, <체호프 단편선>, 박현섭(역), 민음사, 2002.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암병동>, 홍가영(역), 홍신문화사, 1993.
알베르 카뮈, <페스트>, 김화영(역), 책세상, 1998.
에릭 시걸, <닥터스>, 전2권, 석은영, 정성희(공역), 김영사, 1990.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이덕형(역), 문예출판사, 1998.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최종철(역), 민음사, 1998.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유성인(역), 하서출판사, 1990.

 

 

 

 




2. 인간의 사회적 환경 :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정치경제학, NGO학

1) 사회학

이상돈, <의료체계와 법>,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전병재 외, <한국 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사회비평사, 1995.
조병희, <의료개혁과 의료권력>, 나남출판, 2003.
린 페이어, <의학, 과학인가 문화인가>, 이미애(역), 몸과마음, 2004.
사라 네틀턴,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조효제(역), 한울, 1997.
앤소니 기든스, <제3의 길>, 한상진 외(역), 생각의 나무, 2001.
이케가미 나오키 외, <일본의 의료: 통제와 균형 감각>, 권오주(역), 청년의사, 2004.
피에르 레비, <사이버 문화>, 김동윤 외(공역), 문예출판사, 2000.
피터 드러커, <프로페셔널의 조건>, 이재규(역), 청림출판, 2001.

2) 인류학, 종교학, 신화학

한국문화인류학회,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나카자와 신이치, <카이에 소바주 시리즈>, 전5권, 김옥희(역), 동아시아, 2005.
돈 큐피드, <신, 그 이후>, 이한우(역), 해냄, 1999.
루돌프 옷토, <성스러움의 의미>, 길희성(역), 종교학 총서, 제2권, 분도출판사, 1999.
마빈 해리스, <문화의 수수께끼>, 박종렬(역), 한길사, 1990.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이은봉(역), 한길사, 1998.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종교의 의미와 목적>, 길희성(역), 종교학총서, 제4권, 분도출판사, 1991.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 김진준(역), 문학사상, 2005.
칼 구스타브 융(편),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이부영 외(역), 집문당, 2000.

3) 역사학

신동원, <한국근대보건의료사>, 한울아카데미, 1997.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한겨레출판, 2001.
신동원, <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역사비평사, 2004.
이종찬, <서양의학과 보건의 역사>, 명경, 1995.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 지성사, 2004.
반덕진, <히포크라테스의 발견>, 휴머니스트, 2005.
주경철,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산처럼, 2002.
황상익, <첨단의학 시대에는 역사시계가 멈추는가>, 창작과 비평사, 1999.
황상익, <역사 속의 의인들>,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린 헌트,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조한욱(역), 새물결, 1999.
스벤 린드크비스트, <야만의 역사>, 김남섭(역), 한겨레신문사, 2003.
아노 카렌, <전염병의 문화사>, 권복규(역), 사이언스북스, 2001.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세계>, 오영환(역), 서광사, 1990.
앨버트 라이언즈, 조지프 페트루첼리, <세계의학의 역사>, 황상익, 권복규(공역), 한울아카데미, 1994.
야마다 게이지, <중국의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전상운, 이성규(공역), 사이언스북스, 2002.
윌리엄 H. 맥닐, <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한울, 1998.
자크 르 고프, 장 샤를 수르니아(편), <고통받는 몸의 역사>, 장석훈(역), 지호, 2000.
제임스 르 파누, <현대의학의 역사>, 조윤정(역), 아침이슬, 2005.
피터 게이, <부르주아전>, 고유경(역), 서해역사책방, 제14권, 서해문집, 2005.
Roy Porter,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Medicine, Cambridge Univ. Press, 1996.

4) 정치경제학, NGO학

안드레 군더 프랑크, <리오리엔트>, 이희재(역), 이산, 2003.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박홍규(역), 증보판, 현대사상신서, 제6권, 교보문고, 2000.
제레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이희재(역), 민음사, 2001.
조지프 스티글리츠, <세계화와 그 불만>, 송철복(역), 세종연구원, 2002.
존 에렌버그, <시민사회, 사상과 역사>, 김유남 외 2인(공역), 아르케, 2002.
헬무트 안하이어 외, <지구시민사회: 개념과 현실>, 조효제 외(역), 아르케, 2004.


3. 자연에 대한 탐구 : 순수과학, 물리과학, 생물과학, 환경과학, 실용과학 등

1) 순수과학

이은희, 류기정, <하리하라의 과학블로그>, 살림출판사, 2005.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 지식산업사, 1990.
장회익, <삶과 온생명: 새 과학 문화의 모색>, 솔, 1998.
최종덕, <시앵티아>, 당대, 2003.
홍성욱, <과학은 얼마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알버트 L. 바라바시, <링크>, 강병남, 김기훈(공역), 동아시아, 2002.
앤드류 그레고리, <왜 하필이면 그리스에서 과학이 탄생했을까>, 김상락(역), 몸과 마음, 2003.
에드워드 윌슨, <통섭: 지식의 대통합>, 최재천, 장대익(공역), 사이언스북스, 2005.
S. 조나단 싱어, <자연과학자의 인문학적 이성 죽이기>, 임지원(역), 다른세상, 2004.
토마스 S. 쿤, <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역), 까치, 2002.
해리 콜린스 & 트레버 핀치, <골렘: 과학의 뒷골목>, 이충형(역), 새물결, 2005.

2) 물리과학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개정판), 김용준(역), 지식산업사, 2005.
스티븐 호킹,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김동광(역), 까치, 1998.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 이창희(역), 세종연구원, 2000.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홍욱희(역), 갈라파고스, 2004.
칼 세이건, <창백한 푸른 점>, 현정준(역), 사이언스북스, 2001.

3) 생물과학

전방욱, <수상한 과학>, 풀빛, 2004.
장순근, <그림으로 보는 비글호 항해 이야기>, 가람기획, 2003.
리처드 르원틴, <DNA 독트린>, 김동광(역), 궁리, 2001.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생명이란 무엇인가?>, 황현숙(역), 지호, 1999.
마티아스 글라우브레히트, <진화 오디세이>, 유영미(역), 웅진닷컴, 2004.
매트 리들리, <게놈>, 하영미, 전송수, 이동희(공역), 김영사, 2000.
매트 리들리, <본성과 양육>, 김한영(역), 김영사, 2004.
서유헌, 홍욱희, 이병훈, 이상원, 황상익, <인간은 유전자로 결정되는가>, 명경, 1995.
스티븐 로우즈, R.C. 르원틴, 레온 J. 카민,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 이상원(역), 한울, 1993.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 이명희(역), 사이언스북스, 2002.
스티븐 제이 굴드,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김동광(역), 경문사, 2004.
스티븐 존슨 지음, <이머전스: 미래와 진화의 열쇠>, 김한영(역), 김영사, 2004.
에른스트 마이어, <이것이 생물학이다>, 최재천 외(공역), 몸과 마음, 2002.
이케가야 유지,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이규원(역), 은행나무, 2004.
제니퍼 애커먼 지음, <유전, 운명과 우연의 자연사>, 진우기(역), 양문, 2003.
제임스 D. 왓슨, <DNA: 생명의 비밀>, 이한음(역), 까치, 2003.
존 월러, <왜 하필이면 세균이었을까>, 이미리나(역), 몸과 마음, 2004.
톰 웨이크퍼드,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 전방욱(역), 해나무, 2004.
폴 데이비스 지음, <생명의 기원>, 고문주(역), 북힐스, 2000.
프리초프 카프라, <생명의 그물>, 김용정, 김동광(공역), 범양사 출판부, 1998.

4) 환경과학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김은령(역), 에코리브르, 2002.
에드워드 윌슨, <생명의 미래>, 전방욱(역), 사이언스북스, 20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의대생 ‘의식화’ 필독서

                     새내기, 이 책만은 읽어라


조용히 은둔 생활을 즐기던 필자에게, 도반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가 왔다(원고 청탁: bad! 원고료 지급 전망 없음: too bad!!). 즉슨, 새내기들이 읽을 만한 책을 좀 추천해 달라는 것. 새터 자료집에 싣는다고 하니 술에 취해 비몽사몽 하는 와중에 스윽 훑어보고 “에이, 지겨운 책 얘기잖아!” 하면서 던져버리기 십상이렷다. 솔직히, 필자라도 그런 심정일 것이다.

亂麻와 같이 뒤얽힌 입시의 관문을 갓 통과한 채, 아직 창백함이 가시지도 않은 이들에게 책을 들이민다는 것은 인간성에 대한 범죄이자 책에 대한 결례가 될 것. 먼저 약이 되는 좋은 술(酒: 性大熱, 味苦甘辛)로써 든든히 보양하여 발그레하니 혈색이 돌고 뜻이 펴지게 하여 (通血脈, 潤皮膚, 消憂發怒, 宣言暢意) 世會에 나아가 어울리거나, 바람과 달을 벗삼아 노닌다면 그 또한 아름답지 아니하겠는가.

그런 뜻에서, 이 글에서는 분야별로 한 권, 오직 한 권만을 고르고 골라 선정 사유와 약간의 설명을 덧붙였다. 사실, 각각의 분야에서 만만찮은 책들이 계속 쏟아지고 있는 와중에 굳건히 살아남아 최후의 한 권으로 뽑힐 정도의 책이라면 구질구질한 설명 따위는 오히려 군더더기가 될 터. 이 글을 읽고 있는 그대는 필시 술기운이 지나쳐 정신이 혼미한 지경일테니 그저 건성으로  제목이나 기억해 두었다가, 술과 장미의 나날들도 무덤덤하고 지루해질 즈음이 되어서 한 번쯤 뒤적여봄도 나쁘지는 않을 것이라. 

 

 

 

 

 

 

 



0. 교양, 지성, 대학
1. 삶과 죽음
2. 우리 학문의 길
3. 철학하기, 생각하기
4. 동양철학의 유혹
5. 변하면서 변하지 않는
6. 밤하늘의 별들
7. 한자의 바다
8. 중국인의 마음
9. 길을 찾아서
10. 그리고, 한의학 


0. 교양, 지성, 대학 :『뇌를 단련하다』(立花隆, 청어람미디어, 2004) 

 

 

 

 

소위 수재들의 집합소라는 도쿄대생마저 안심할 수 없을 지경이 되버린 학력저하, 교양교육 붕괴 현상을 폭로하여 화제가 되었던 책,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의 자매편. 『도쿄대생』이 사회적 측면에서 통시적으로 문제점을 해부한 책이라면 이 책은 저자가 실제로 도쿄대생들에게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현대의 교양은 무엇인가'에 대한 생생한 강의록이다.

고교 이수과목의 축소(정확히 말하면 수능시험 반영과목의 축소)로 인해 경악스러울 정도로 기초 지식이 결여된 채로 대학에 들어오고, 다양한 지적 자극과는 거리가 먼 회색빛 세계를 잠깐 방황하다가 반쯤은 체념한 채 좁은 전공의 터널을 통과하는 것,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의대생의 모습이다. 가끔은 오지선다형 질문으로 평가된 수능 성적을 지성의 동의어로 착각한 채 “우쭐해서 나도 이제 한 인물이 되었거니 하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도 없지 않은데, 산중턱에 한의대만 고고히 서 있는 캠퍼스 환경이 상징하듯 다른 전공 집단과의 교류나 비교가 거의 없는 독특한 분위기가 이런 유아독존적 사고를 더욱 심하게 만드는 듯 하다.

다치바나 다카시는 이 교양 부재 시대의 희생자인 젊은이들을 사정없이 흔들어 깨운다. “대학 담장 너머는 곧 전선과 같습니다. 전장에 비유하자면 참호 속을 기어다니며 24시간 내내 총을 쏴야 하는 현장입니다. 매일 전사자가 나오는 현장입니다.” 라는 대목에서는 마치 무서운 군대 교관 같을 정도다. 욕설 대신 각종 사회 변화 전망, 인지과학의 자료 등을 들이대는 점이 다를 뿐. 이렇게 닦달해대는 데도 감흥이 없다면 어쩔 수 없겠고, 스스로의 정신을 말랑말랑하게 만들고 싶은 이라면 “여러분은 아직 어느 누구도 아닙니다. 노바디입니다.”라 일갈하며 ‘노바디(nobody)’를 ‘섬바디(somebody)’로 만들어가는 과정으로서의 교양, 드넓은 인간 지식의 전체상을 연주하는 지성의 향연이 얼마나 풍요로운지 온 힘을 다해 이야기하는, 이 사람을 보라. 

더 읽을 책 :『21세기 지의 도전』 (다치바나 다카시, 청어람미디어, 2003)


 

 


1. 삶과 죽음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 (영한대역판, 미치 앨봄, 세종서적, 2004) 
  

 

 

 


삶과 죽음은 항상 말해져서는 안 될 것으로 회피되는 주제이지만 실은 우리 모두의 실존에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언제나. 지은이는 불치의 병에 걸려 서서히 죽어가면서도 죽음을 거부하고 은폐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주위 사람들까지 바꾸어 가는 스승의 모습을 감동적으로 그리고 있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현장에서 고뇌해야 할 모든 의대생에게 권한다. 

더 읽을 책 : 『죽음, 그 마지막 성장』 (부위훈, 청계, 2001) 

 

 

2. 우리 학문의 길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 (김용옥, 통나무, 1985)  

 

 

 



출간되자마자 ‘동양학 바람’을 불러일으키며 한국 지식인 사회에 파장을 던진 문제작. 그가 제기한 번역의 문제, 한문해석학의 방법론은 이후 소장 학자들의 동양 고전 번역 작업에 거의 패러다임 변화 수준의 영향을 끼치게 된다. 당연히, 한의학도로서는 반드시 숙지하여야 할 내용이다. 더구나 아직도 가당찮은 사이비 학문들이 ‘신비한 동양 사상’이니 어쩌니 하는 修辭 뒤에 숨어 기생하는 한의대의 풍토에서라면 ‘동양적’인 것의 의미 또한 곱씹어봐도 괜찮을 것이다. 두 번은 읽어라. 

더 읽을 책 : 『우리 학문의 길』(조동일, 지식산업사, 1995) 

 

 

3. 철학하기, 생각하기 :『철학풀이 철학살이』 (이왕주, 민음사, 1995)   

 

 

 

 

철학자들의 사상을 시대순으로 얄팍하게 간추려 나열하는 수준의 개론서가 판치던 시절(지금이라고 별반 달라진 것 같지는 않다), 철학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사유 과정을 유려한 필치로 그려내어 많은 호응을 받았던 입문서이다. 철학은 끊임없는 철학하기(philosophieren)의 과정일 뿐이라는 칸트의 말을 다시 되새기게 하는 책이다. 마지막에 나오는 참고도서 목록도 매우 유용하다. 철학이 재미있어지는 책. 

더 읽을 책 : 『개념-뿌리들』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2004) - 철학적 개념의 분석을 통해 차근히 접근해 나가는 괜찮은 입문서. 두 번은 읽어라. 
 

『국가∙정체』 (플라톤, 서광사, 1997) - 위 두 권의 입문서로 어느 정도 철학하기의 맛을 보았다면, 이천오백년 동안 서양 사상사를 규정지었던 거인과 직접 대결을 벌이는 것은 어떨지?  
 

 

 

 

   

 



4. 『동양철학의 유혹』 (신정근, 이학사, 2003) 

 

 

 

 

이미 고전의 반열에 오른 풍우란 선생의 『중국철학사』(1934)가 영어로 번역된 것이 1952년의 일이니, 근 70여 년 만에 완역본(박성규, 까치, 1999)이 나오면서 체면치레를 한 우리 동양철학계에서 역시나 거의 처음으로 가져 보는 ‘제대로 된’ 동양철학 입문서이다. 이 책은 동양철학의 주요 개념들이 처음 만들어질 때의 사정과 의미에서부터 시작하여 철학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발전되는 과정을 차근차근 짚어줌으로써 동양철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에 익숙치 않은 초보자들이 확실한 개념설정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지은이의 강력한 내공을 느낄 수 있는 책. 세 번은 읽어라.

더 읽을 책 : 『도의 논쟁자들』 (A. C. Graham, 새물결, 2003) - 서구 동양학의 치밀한 학문 방법을 맛 볼 수 있는 ‘거대한 벽’.  

 
  

 

5. 변하면서 변하지 않는 :『만화로 보는 주역』 (이기동 최영진, 동아출판사, 1994) 


초학자가 가장 쉽고, 재미있고, 확실하게 주역의 무궁한 세계를 흘끗 볼 수 있게 하는 책.

고대의 先哲들이 하늘과 땅의 원리를 찾아서 64괘로 펼쳐 놓은 주역이라는 책에는 동서양의 수많은 천재들이 갖가지 말들을 덕지덕지 붙여 두었다. 이 말들의 숲에서 헤매는 후학들은 역이 우주 변전의 모습을 象(symbol)이라고 하는 수단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어려운 고전으로만 여겨지던 주역을 만화로 엮은 저자들의 기획은 단순히 쉽고 재미있게 고전을 접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말 이전의 상징체계를 문자 언어 이외의 수단으로 나타낸다는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비록 그 가능성이 온전히 발현되었다고 보기에는 약간 미진한 부분들이 있지만.

더 읽을 책 : 『우주변화의 원리』(한동석, 대원출판, 2003) - !  


 


 

 

 

 

6. 밤하늘의 별들 :『음양오행으로 가는 길』 (어윤형 전창선, 세기, 1999)  

 

 

 



『음양이 뭐지』시리즈는 워낙 이곳저곳에서 추천해주는 책이고, 신입생 시절에 많이들 보지만 이 마지막 권까지는 보는 사람도 적고, 보더라도 약간 어리둥절한 기분으로 중간에 책을 덮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3부작의 완결편이자 하이라이트인 이 책을 놓쳐서는 앞의 두 권이 헛될진저. 다섯 번은 읽어야 하지 않을까? 


더 읽을 책 : 밤하늘의 별들 (조물주, 하늘, 태초)

 


7. 한자의 바다 :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 삼인, 2003)  

 

 

 


더도말고 덜도말고 딱 천개의 글자로 지은 한편의 시 천자문. “하늘 천 따 지 가믈 현 누를 황”하는 정도는 누구나 들어보았을 것이다. 백여년 전만 해도 온 백성의 교과서였건만, 이제 천자문을 돌돌 외는 이는 참 찾아보기 힘들다. 심지어 한문 꽤나 한다는 이들 조차도 말이다.

이 책의 미덕, 그 하나 : 갑골문의 해석을 바탕으로 한, 한자의 의미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생동감 있고 자세한 풀이.

그 둘 : 천자문에 깔린 혹은 천자문을 매개로 학습되어진 근대 이전 동아시아 사회의 가치관, 자연관에 대한 분석.

그 셋, 결정적인 : 한걸음 더 나아가 현대 동아시아인의 사고방식을 은연중에 지배하는 천자문적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적 인식.

세 번은 읽어라. 


더 읽을 책 : 『한자정석』 (최동표 안종남, 문이재, 2002) 
 

『한학연구입문』 (심경호, 이회, 2003)  

 

 

 

  

흔히 漢學이라 일컫는 고전중국어학의 전분야를 아우르는 배경지식을 다루고 있는 종합입문서. 한자의 구성, 한문 문법, 공구서 등의 小學 분야에서부터 경학, 제자백가, 시∙산문 등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까지, 한학을 배우는 학인이 꼭 알아야 할 필수사항들을 각종 도판과 사진을 곁들여 강의식으로 쉽게 풀어 설명해 놓았다. 몇 종 되지 않는 국내 서적을 이것저것 뒤적이거나, 중국이나 일본 서적을 찾아보아야 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박탈감이 들 정도이다. 특히 ‘문헌학의 상식’ 부분에 나오는 고인쇄본의 변천과 감별법은 웬만한 기초서적에는 잘 나오지 않는 사항으로, 여러 도판을 통한 친절한 설명이 돋보인다. 

 
 


8. 중국인의 마음 :『열국지』 (풍몽룡 지음, 김구용 옮김, 솔, 2001) 

 

 

 

 

 


당신이 이 열 두 권 짜리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하나 : 재미있다. 삼국지보다 훨씬.

둘 : 고대 중국의 역사는 거저먹기로 파악하게 된다.

셋 : 인간의 어리석음에 대한 통찰이 덤으로 얻어진다.

그러려면 역시 세 번 정도는 읽어야 되지 않겠는가. 참고로 지인 중에 이 책을 열 번 이상 읽은 사람이 있다. 그 사람, 걸어다니는 중국사로 불린다. 

 
더 읽을 책? 당신도 걸어다니는 중국사가 되어보라.

 


9. 길을 찾아서 :『단』 (김정빈, 정신세계사, 1984) 
  

한의대에 들어와 동기들과 대화를 나누던 도중 이 책의 이름조차 듣지 못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에 경악한 적이 있었는데, 따지고 보면 이 책이 나올 때 아직 생명체로서의 최소 단위조차 이루지 못했을 신입생들이 이 책을 알기를 기대한다는 것도 너무 과분한 일일 것이다. 사실 이 책은 지난 80년대에 출간되자마자 ‘단 열풍’을 일으키며 이후 한국 사회에서 명상 수행의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친 이정표가 된 책이다. 물론 각종 수행 체계를 섭렵한 뒤 깨달음의 경지의 절대성마저 문제삼은 박석 교수의 논의나, 아예 명상이니 수행이니 하는 ‘행태’에 대한 조소를 날리는 무묘앙에오의 독설까지 국내 명상계에 소개된 지 오래인 지금, 이 고색창연한 책의 약발은 많이 바랜  면도 있다. 지금 돌이켜 보면 군사정권 아래서 억눌린 민족적 에너지가 신비주의적인 탈출구로 폭발한 측면이나, 한편으로 우파 민족주의와 결합된 한계 등이 지적되어야 하겠지만, 그 자체로 하나의 국민적 신드롬이 되었다는 점, 그리고 조선 仙道의 흐름과 우리 수행 체계의 맥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이 책은 일독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우리 민족 고유의 수행 체계에는 몸에 대한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는 점에서, 한의학도들은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의 끈을 늦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단, 얼치기 도사 노릇 하느라 본분을 소홀히 하진 말기를. 

더 읽을 책 : 『나를 다시하는 동양학』 (박현, 바나리, 1999) - 우리 민족 고유의 수행관과 인체관의 본격적인 전개

 

 

 

10. 한의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학인으로서 언제나 고민되는 화두이다. 따지고 보면 위의 수많은 ‘포스트’들도 결국 이 화두를 향해 귀결되는 것일 테고. 최근 필자의 번뇌와 방황을 종식시킨 한 권의 책이 있는지라 이 자리에 소개를 하여야 마땅할 것이나, 아쉽게도 원고의 마감시간을 훌쩍 넘긴지라 도저히 시간을 낼 수가 없다. 이 책에서 받은 필자의 감동과 각성을 다 전달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 아쉽기만 하다. 그렇다고 이 훌륭한 책을 제목만 달랑 적어서 던져놓고 만다는 것은 너무나 보배스러운 책과 독자 양쪽에 대한 예의가 아니겠고……. 뭐, 어쩌겠는가. 그대들도 조금만 더 번뇌하고 방황하는 수밖에.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게 마련이라 했으니, 어찌 보면 방황 역시 그대들의 노력의 징표가 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그대들의 가련한 영혼이라고 연옥에서 영원히 기다리며 있으란 법은 없을 테니, 언젠가는 구원의 손이 뻗치기를.

 


                                                                        - coup d'espri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