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7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어에게 통째로 먹혀버린 이반과 주위의 반응이 평범하지 않다. 돌아눕기도 힘든 악어의 배속에서 유명해지리라는 헛된 망상에 빠진 이반과 그런 이반을 홍보로 돈을 벌 생각 뿐인 악어 주인, 돌아오지 못할 남편을 구해내기는 커녕 이혼을 생각하는 그의 아내까지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 없다.
남의 위기를 돈벌이의 기회로 삼고 유명해지기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사람은 사실 생각보다 세상에 많다. 악어에게 먹혔다는 설정이 생소하고 현실성이 없을 뿐.
도스토옙스키는 이런 비현실적인 설정으로 이보다 더 비현실적인 세상을 풍자하고 싶었던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7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남자를 기다리면서도 연락없는 이유를 변심보다는 다른 데서 찾으려는 나스텐카가 측은하기도 하지만 자신을 사랑하는 '나'를 마치 어장관리하듯 곁에 두는 것은 얌체 같다. 나스젠까를 사랑하는 '나'는 그녀의 사랑 얘기를 듣는게 괴로운데 말이다.

돌아오겠다던 남자에게서 끝내 아무 연락이 없자 나스젠까는 나에게 마음을 열 노력을 하며 자신의 집으로 이사를 오라고까지 한다. 그러나 미래를 약속했던 그가 돌아왔다. 그리고 그녀를 불렀다. 잡고 있던 손을 뿌리치고 나스텐카는 그를 향해 총알처럼 달려갔다. 이런이런...
오매불망하던 나스텐카의 사랑이 이루어져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나'에게 주려던 마음이 진심이 아니었다는 걸 너무 늦기전에 알게 되어 다행이라고 해야하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7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살고 있는 두 친구 바샤와 이바노비치.
둘의 우정이 끈끈하다. 바샤는 리잔카와 결혼을 하고난 후에도 이바노비치와 함께 살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파혼 당한 과거를 가지고 있는 리잔카에 대한 연민이 사랑으로 발전하고 맡은 일을 다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다가 정신을 놓아버리는 등 바샤의 마음이 약한 것에 중심을 두고 이야기는 진행된다.
자신의 행복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고 타인의 행복까지 자신이 책임지려 하는 것은 선의에서 우러난 일이지만 그 책임감이 본인의 능력 밖이라면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하지 않았을까? 세계평화가 한 개인의 책임과 의무가 아니듯이 타인의 불행과 행복도 어느 특정 개인의 몫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바샤는 자기 몫의 행복도 놓치고 만다. 약한 정신상태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행동보다 고민뿐이던 그에게 동정의 마음이 생기질 않는다.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걱정과 잘못에 대한 죄책감으로 괴로움 중 무엇이 더 낫다 나쁘다 할 수 없다. 죄책감에 몸부림 친다한들 도둑질에 정직함이 있을 수 있는지? 죽음을 목전에 두고서야 이뤄지는 고백이 마음의 짐을 덜어내는 것 외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예멜류시카의 고백으로 그를 정직한 도둑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57. 여자는 약한 동물입니다. 도대체 이 이야기를 몇 번이나 해야 알아 듣겠어요? 여자는 꽃병 같은 거에요. 아주 조심해서 만지지 않으면 깨져요.

 의외인걸? 여자라면 무조건 밝히기만 하는 줄 알았던 조르바에게 이런 생각이 있었다니.
그저 자유롭기만을 바라던 조르바가 '나'의 농담에 결혼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도 부불리나에게 상처주지 않으려 애쓰는 마음이 다른 호색한들과 차이를 보인다.
여자와 종교인들을 바라보는 냉소적인 시각은 아마도 그가 젊은날 조국을 위해서랍시고 했던 짓들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조국으로부터 해방되고, 신부들로부터 해방되고, 돈으로부터 해방된 삶을 사는 것이 구원의 길을 찾고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라 말한다. 조르바는 그가 원하던 자유로운 삶을 살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57. 여자는 약한 동물입니다. 도대체 이 이야기를 몇 번이나 해야 알아 듣겠어요? 여자는 꽃병 같은 거에요. 아주 조심해서 만지지 않으면 깨져요.

의외인걸? 여자라면 무조건 밝히기만 하는 줄 알았던 조르바에게 이런 생각이 있었다니.
그저 자유롭기만을 바라던 조르바가 '나'의 농담에 결혼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도 부불리나에게 상처주지 않으려 애쓰는 마음이 다른 호색한들과 차이를 보인다.
여자와 종교인들을 바라보는 냉소적인 시각은 아마도 그가 젊은날 조국을 위해서랍시고 했던 짓들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조국으로부터 해방되고, 신부들로부터 해방되고, 돈으로부터 해방된 삶을 사는 것이 구원의 길을 찾고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라 말한다. 조르바는 그가 원하던 자유로운 삶을 살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