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유기체가 무성생식을 한다면, 일단 신체의 금고를 따는 데 성공한 미생물들은 유기체의 자식들과 형제들의 금고도 쉽게 딸 것이다. 유성생식은 세대가 바뀔 때마다 금고의 열쇠를 바꾸는 방법이다. 유전자의 절반을 다른 유전자로 교체함으로써 유기체는 자식들에게 현지 미생물들과의 경쟁에 유리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자식들의 분자 자물쇠는 새로운 조합을 갖게 되고, 그래서 미생물들은 새 열쇠를 처음부터 진화시켜야 한다. 심술궂은 미생물은 변화를 위한 변화에 상을 주는 미생물이다.

-7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체스터필드 경은 성에 대해 "즐거움은 일시적이고, 자세는 우스꽝스럽고, 비용은 지독하다"고 말했다.
-7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양성 간의 전투는 단지 비친족 개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전초전일 뿐만 아니라 그와는 다른 무대에서 펼쳐지는 싸움이다. 그 기초에는 도널드 시먼스가 최초로 설명한 이유들이 있다. "인간의 성에는 여성적인 본성과 남성적인 본성이 있으며, 두 본성은 서로 다르다. ‥‥‥ 남자와 여자의 성적 본성이 다른 이유는 인류의 진화사 중 대단히 길었던 수렵채집 기간 내내 양성에게 적응력을 주는 성적 욕구와 성벽이 무의식적인 번식에 들어갈 수 있는 또 다른 티켓이었기 때문이다."

-70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19세기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웨스터마크는 유년에 한 사람과 가깝게 지내면서 성장하면 뇌는 그 사람을 '형제' 범주에 넣는다고 추측했다. 웨스터마크 효과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근친상간의 주인공인 오이디푸스의 비극을 설명해 준다.-707쪽

테베의 왕인 라이오스는 자신이 아들에게 살해당할 것이라는 신탁을 받는다. 아내인 이오카스테가 아들을 낳자 라이오스는 아기의 발목에 쇠못을 박아서 산중에 내다 버린다. 오이디푸스는 양치기에게 발견되어 길러진 다음 코린트의 왕에게 입양되어 왕자가 된다. 델포이를 방문한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운명임을 알게 되자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다고 맹세하고 코린트를 떠난다. 테베로 가는 길에 오이디푸스는 라이오스를 만나 사소한 말다툼 끝에 그를 죽인다. 그런 다음 그는 수수께끼를 풀고 스핑크스를 죽인 후 그에 대한 상으로 테베의 왕위와 홀로된 왕비를 얻는다. 그녀는 오이디푸스가 성장하는 동안 그와 떨어져 지낸 생물학적 어머니, 이오카스테였다. 두 사람은 네 자녀를 둔 다음 비극적인 소식을 듣는다.
-7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형제자매와의 섹스에 대한 강한 반감은 인간뿐만 아니라 장수하고 이동하는 대부분의 척추동물에게서 확실하게 발견되기 때문에 적응특성의 좋은 후보자라 할 수 있다. 그 기능은 근친교배의 비용-자손의 유전적 적응도가 감소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근친상간은 "피를 탁하게 한다'는 민간 속설과, 고립된 산골과 왕가의 심신장애자들이 자주 태어나는 현상 뒤에는 일말의 생물학적 진실이 숨어 있다. 유전자 풀에는 해로운 돌연변이들이 꾸준히 유입된다. 어떤 것들은 우성이 되어 주인을 불구로 만들고는 곧 도태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열성이어서 개체군에 누적되기 전까지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
-702쪽

가까운 친족들은 유전자를 공유하므로, 서로 짝을 맺으면 해로운 열성 유전자의 두 사본이 결합하여 자손에게 갈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 우리 모두는 치명적인 열성 유전자를 한두 개쯤 갖고 있기 때문에 남매가 짝을 맺으면 이론상으로나 위험도를 측정한 연구에서나 손상 자식이 태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이것은 모자간, 그리고 부녀간 교배(그리고 정도는 약하지만 더 먼 친족들 간의 교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인간(그리고 다른 많은 동물들)은 가족 구성원과의 섹스에 대한 생각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감정을 진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70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