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혁명 - 리딩멘토 이지성과 인문학자 황광우의 생각경영 프로젝트
이지성.황광우 지음 / 생각정원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겨우내 얼어있던 대지들이 봄기운을 맡으면서 기지개를 폅니다. 일궈진 논밭이 제법 눈에 띕니다. 뒤집어엎을 때가 되었습니다. 씨를 뿌릴 준비가 되었습니다. 때마침 봄비가 진하게 내려줬습니다. 굳어있는 땅에는 씨를 뿌린들 새가 물어가거나 바람에 날아갈 뿐이지요.

 

객토(客土)를 생각합니다. 객토는 농경지의 지력(地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른 곳으로부터 적당한 성질을 가진 흙을 가져다 넣는 일입니다. 땅은 그렇다 치고, 우리의 마음 밭은 어찌해야 할까요? 어떻게 객토를 해야 할까요?

 

데카르트는 ‘Cogito Ergo Su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말을 했지만 내안에 생각할 재료가 없으면 그저 일상사의 잔걱정과 염려만 하다 말겠지요. 독서가 곧 객토작업이라 생각합니다. 건전하고 생산적인 생각거리를 넣어주고, 심토(心土)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것이지요.

 

이 책은 인문학을 위해 거의 목숨을 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두 사람이 의기투합 되어 나온 작품입니다. 두 사람의 『인문고전』에 대한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냥 고전을 읽으면 좋다가 아니라, 왜 읽어야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혀주고 있습니다. 살아가며 결단의 시간, 어려움의 시간이 없을 수 없지만, 두 사람이 두 다리에 힘을 줄 수 있었던 힘은 인문고전에서 나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제대로 살아가기 위해선 생각이 필요합니다. 생각은 생존의 결정적 요소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생존은 나다운 나, 삶다운 삶을 사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내가 원하는 나는 누구인지, 내가 바라는 삶은 무엇인지를 생각해야하는 것이지요. 이 생존을 위해 고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고전은 곧 나와 세계를 이해하고 바꾸는 혁명이라고까지 표현합니다.

 

혁명은 굳어진 밭을 갈아엎는 것입니다. 생각을 뒤집는 일입니다. 선입견과 고정관념의 의식을 깨뜨리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한 생각만 바꾸어도 죽을 사람이 살 사람으로 바뀌는데 까짓 저자들이 역설하는 혁명의 대열에 들어서도 그다지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삶의 극적인 변화, 180도 달라진 나를 꿈꾸며 그 방법을 새롭고 혁신적인 무엇에서 찾지만, 좋음을 넘어 위대해지기 위해서는 ‘축적’이 필요하다. 생각을 축적하고, 그 생각을 실현할 힘을 축적해야만 위대함이 가능해진다.”

 

‘한 번에 한 걸음’이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살아가며 분초를 다투며 해야 할 일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축적’은 바로 차근차근 쌓아가는 일을 의미하지요. 고전은 축적된 에너지가 많습니다. 거르고 걸러져서 지금까지 살아있고, 또 앞으로도 살아있을 것입니다. 물론 잊혀져 갈 것도 있겠습니다.  

 

 

고전은 과거에 행해진 질문과 답의 기록이라고도 합니다. 누군가 앞서 던진 질문과 그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접하면서, 우리가 품은 의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 갈 수 있다고 합니다.

공자가 말한 ‘학문으로써 나를 박학하게 하시고 예로써 나를 다잡아주신 스승’이 곧 우리에겐 고전이라고 합니다.

 

저자들의 자아혁명을 들어봅니다. 자아혁명을 완성하는 네 가지 단계입니다.

- 생각하라 -- 생각의 확장

- 질문하라 -- 대상의 확장

- 변화하라 -- 실천의 확장

- 다시 생각하고, 질문하고, 변화하라 - 확장의 확장.

 

세상살이가 힘들어지는 것은 먹고 사는 문제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과의 관계 탓이 더 큽니다. 인간관계만 잘 유지되어도 우리의 마음은 그런 대로 행복감을 느낍니다.

 

저자는 관계란 단순히 나와 대상과의 사이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시간의 개념에도 대입이 된다고 합니다. 현재 진행되는 대부분의 일은 과거와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는 말입니다. 여기에도 혁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시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 사람과 사람 등 모든 것은 연결돼 관계를 맺으며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이 점에 공감합니다.

 

저자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약간 왼쪽으로 치우친 느낌입니다만, 뭐 괜찮습니다.

틀린 것이 아니고, 좀 다를 뿐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전혁명 - 리딩멘토 이지성과 인문학자 황광우의 생각경영 프로젝트
이지성.황광우 지음 / 생각정원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인문고전을 읽어야할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잘 정리해놓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계, 인간의 척도가 되다 - 과학, 기술, 그리고 서양 우위의 이데올로기
마이클 에이더스 지음, 김동광 옮김 / 산처럼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몸과 마음의 평안함과 나태함에 가까운 편안함의 차이를 생각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림 위버 - 소설로 읽는 유쾌한 철학 오디세이
잭 보웬 지음, 박이문.하정임 옮김 / 다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철학은 그 답보다 생각의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