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뇌.심리 - 데카르트에서 제임스까지
Wozniak, Robert H. 지음, 진영선 옮김 / 학지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마음/신체 관계에 대한 관심은 학문의 영역을 뛰어넘어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첩경이기도 하다. 이 책은 철학의 물리주의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둔 인문학도나 뇌 기능의 교육적 함의에 관심을 둔 교육전문가, 인지신경과학 임상연구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고할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뇌.심리 - 데카르트에서 제임스까지
Wozniak, Robert H. 지음, 진영선 옮김 / 학지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마음, 뇌, 심리 ]     Robert H. Wozniak  /  학지사 


 

1.
과학의 발달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싶고,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을 느껴보고 싶어지게 한다.


2.
마음과 신체에 관한 연구에 깊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그만큼 모르는 것이 더 많아지고 의문점은 끝도 없어진다. 논쟁도 많아진다. 과학은 실증학문이다. 그 설명이 똑 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아직 가야할 길이 먼 것은 인간의 뇌, 마음, 심리상태다.


3.
지은이는 미국심리학회와 미국의학도서관 주관으로 열린 미국심리학회 창립 100주년 기념 출판물 전시회에 등장한 심리학 관련 유명 출판물들의 작가 소개 및 그 기념비적 의미를 담았다.


4.
총 3부로 구성되어있다. 제1부에선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중세까지의 심리학적 논쟁이 소개된다. 2부에선 경험주의 철학과 인간 마음의 이해에 관한 실험심리적 접근의 필연적 관계에 대한 진술이 이어진다. 마지막 제3부에선 제임스의 『심리학 원리』의 등장에 영향을 준 미국의 문화와 의식, 그리고 학문적 풍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5.
뇌 안에 영혼이 내재 되어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 철학자들의 생각에서 표현된다. 피타고라스, 히포크라테스, 플라톤, 에리시스트라투스 및 갈레노스 등의 저술에서 볼 수 있다. 중세의 심령 생리학자들은 정신능력이 뇌실의 체액에 위치한다고 생각했다. 그 후 뇌간과 대뇌로 이동한다. 뇌에 관한 연구가 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은 특정 정신적 과정이 뇌의 특정 부위와 상관이 있다는 기능적 국재화이다. 이러한 시도가 본질적으로 19세기의 업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부분에 이름이 올라가는 사람은 골(Franz Josef Gall)이다. 골은 ‘뇌가 마음의 기관 역할을 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었다.


6.
프러시아 태생의 의학자, 물리학자, 수학자인 페히너는 정신물리학의 미래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를 다져주었다. 정신의 긴장이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여 신체 에너지가 증가하는 것을 관련시킴으로써 정신/신체 단일성을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 그것이다.

 

7.
정신/신체 문제를 놓고 볼 때 그냥 지나치지 못할 이름이 있다.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인 제임스이다. ' 제임스 = 기능주의'라는 도식도 형성된다. 1842년 뉴욕의 한 호텔에서 태어난 제임스는 괴짜 종교철학자인 헨리 제임스 1세의 장남이고, 소설가 헨리 제임스의 형이다. 제임스는 에머슨의 윤리 철학에 지극한 영향을 받았다. 그의 연구 경력이 정점에 도달할 무렵인 1890년에 두 권의 『심리학 원리』를 펴냈다. 지금까지 심리학 분야의 위대한 저술 중 하나이고, 이 학문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교과서이다. 이 책에선 제임스는 주위의 중심에 있는 대상에 몰두하는 것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하여, 심리학이 의식에 대한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사고의 흐름은 그가 즐겨 사용하는 은유가 되었다.


8.
인간의 마음/신체 관계에 대한 관심은 학문의 영역을 뛰어넘어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첩경이기도 하다. 이 책은 철학의 물리주의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둔 인문학도나 뇌 기능의 교육적 함의에 관심을 둔 교육전문가, 인지신경과학 임상연구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고할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보화혁명의 세계사 - 1700∼1850 이성과 혁명의 시대 지식을 다루는 기술 동아시아와 그 너머 3
대니얼 R. 헤드릭 지음, 서순승 옮김 / 너머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 시스템의 기계화는 인간의 근본적인 삶 자체를 뒤 흔들어놓았다. 그 과정을 추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보화혁명의 세계사 - 1700∼1850 이성과 혁명의 시대 지식을 다루는 기술 동아시아와 그 너머 3
대니얼 R. 헤드릭 지음, 서순승 옮김 / 너머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화 혁명의 세계사 』  대니얼 R. 헤드릭 / 너머북스

 



1.
정보 시스템의 기계화는 인간의 근본적인 삶 자체를 뒤 흔들어놓았다. 그 과정을 추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이 책은 정보의 기계화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는 19세기 이전에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이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해왔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3.
첫 장에선 정보의 개념을 정의해주고 있다. ‘정보화 혁명’은 최근의 현상이 아니라 역사적 뿌리가 깊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지금의 시대를 정의한다는 ‘정보’란 과연 무엇을 의미할까? 학자나 과학자에게 ‘정보’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불확실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같은 맥락에서 나무의 나이테, DNA구조, 멀리 떨어진 별빛, 동물의 발자취 등 자연이 형성하는 에너지 혹은 사건들의 일정한 양상은 정보를 담고 있다.”


4.
사례연구로서 과학언어를 사용하여 ‘정보를 조직하고 분류’하는 시스템이 이어진다. 19세기 초에 이루어진 중요한 과학적 공헌들은 새로운 발전 개념이 아니라 홍수처럼 쏟아진 새로운 관찰과 그것을 다루는 체계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5.
통계와 정보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시대의 특징인 셈하고, 계량화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숫자들을 분석하는 데 이르기까지 그 열광의 진원은 18세기와 19세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6.
집약된 정보는 시각화를 통해 정점에 이른다. 지도를 예로 든다. 18세기에 접어들어서도 여전히 세계지도에는 채워 넣어야 할 빈 공간이 많았지만, 이전과는 비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채워졌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발견과 기술에서 정확성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진다.


7.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시스템이 필요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사전, 백과사전이었다. 출판문화가 꽃 피운 18세기는 신간서적과 판본들이 늘어나고 판매 부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는 교육받은 대중 사이에서 보편적 지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8.
‘정보’에도 소통이 필요하다. 우편제도와 시각통신기(망루나 지붕 위에 설치하여 손으로 움직이는 신호기), 해상 깃발 신호 체계는 사람이나 사물보다도 빠르게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었다. 이는 정보의 기계화가 문제를 일으켰을 때 더욱 그 가치가 높아졌다.


9.
인류 역사를 통해 볼 때 인간에겐 늘 ‘정보’가 필요했다. 또 그것을 이용했다. 단지 그 시절에는 그것을 ‘정보’라고 명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그 방향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삶의 지혜도 필요하다.


10.
지은이 대니얼 R. 헤드릭은 루스벨트대학의 사회과학 및 역사학 교수이다. 저서로는《제국의 통치수단들 : 테크놀로지와 19세기 유럽의 제국주의》, 《보이지 않는 무기 : 원거리통신과 국제정치》, 《진보의 촉수들 : 제국주의시대의 기술이동》 등 다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투쟁 1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 지음, 손화수 옮김 / 한길사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여덟 살 유년의 기억을 시작으로 가끔의 현재와 대부분의 과거를 오가며, 이야기가 펼쳐진다. 저자의 나이가 아직 젊기에 자서전이라고 부르기엔 이르다. 그저 독백이다. 자신의 삶에 대한 진솔한 고백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