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밀화로 보는 곤충의 생활 권혁도 세밀화 그림책 시리즈 1
권혁도 글 그림 / 길벗어린이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도감류 보는 재미에 폭 빠져있다. 웰빙바람과 함께 생태적인 삶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서점가에도 자연을 소재로 한 책들이 부쩍 늘어났다. 그래서 서점 진열대를 보면 예년에 비해 도감류도 훨씬 풍성하고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 판형면에서 좌중을 압도하는 <세밀화로 보는 곤충의 생활>은 가볍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이라도 혼자서 펼쳐들고 즐길 수 있다.

이 책의 특징은 도감인데도 '구성'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런 책은 도감이라고 부르면 안된다고 그럴까봐  '도감형식의 그림책인가요?'이라고 대답도 준비해놨다. 암튼, 나는 이 책이 몹시 마음에 들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을 느낄 수 있는 화면 안에서 곤충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아는 도감류들은 배경이 없는 상황에서 곤충 하나만을 부각시켜 놓았기 때문에 실제 생물을 관찰하는 것 같은 정밀함은 느낄 수 있으되, 표본을 보는 듯한 딱딱한 분위기를 어쩔 수 없고, 그런 분위기가 어쩐지 재미없음이라는 신호를 보낸다. 그래서 어지간한 관심을 아니고는 아이들이 도감을 동화책 보듯이 들여다 보게 되진 않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계절의 아름다움을 양페이지에 걸쳐 한가득 그려놓고 그 안에 곤충들을 낱낱이 그려 놓았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싸리꽃이 필 때는 어떤 곤충들이 있고. 엉겅퀴가 피는 계절에는 어떤 곤충들이 나온다 하는 것을 저절로 알 수 있게 해준다. 특히나 풍경 속에 있는 존재들은 얼마나 아름다운가...물론 책 전체가 그런 것은 아니다. 다음 페이지를 넘기면 개체 하나하나를 모아서 더 자세히 보이도록 전시?를 해두는 것을 잊지 않았다. 사진을 찍을 때 줌렌즈로 당겼다 밀었다 하는 것처럼...그래서 심심하지 않다. 마치 이야기책을 보듯 곤충의 생활을 읽어 내려 갈 수 있다.

이 책이 남다른 점의 하나는 날아다니는 곤충의 모습이 많이 나온다는 것이다. 메뚜기류가 날아갈 때 너무 순식간이라 날개를 볼 수는 없다. 무당벌레도 마찬가지. 그런데 이 책에는 유독 날아가는 곤충들을 그려놓아 날개를 볼 수 있어서 그런 호기심도 해결이 되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크기의 문제인데, 책 전체를 통해서 확대 비율이 작은 글씨로 안내가 되었으면 더 좋았겠다. 실물크기라던가. 몇 배라든가하는.

보리 곤충도감을 가격 때문에 구입을  망설이고 있다면, 같은 작가가 그린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아이가 클 때까지 한 동안은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무겁지 않으니 들고 나가기도 좋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04-09-09 0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감류치고는 가격도 괜찮군요.
저도 좋아합니다..
비싸서 그렇지요^^;;

2004-09-09 0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디도 나와 있어요. 이 책에..반디의 생태를 연구해 보고 싶군요...왜 이리 아침 일찍 날아다는 것인지^^ 퓨햐...

반딧불,, 2004-09-09 0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히히..
거야, 주부로서 아침을 잘 챙겨주다보니
(무쟈게 찔립니다ㅠㅠ)
 

 

 

 

 

 


 

 

 

 

 

 

 

 

 

 

 

끝검은 말매미충 - 실제 길이가 1센티미터 정도.


 

 

 

 

 

 

 

 

 

 

 

검은다리 실베짱이-베짱이는 생각보다 더 날씬하게 생겼다.


 

 

 

 

 

 

 

 

 

 

 

섬서구 메뚜기-도감을 찾아 보지 않았다면 그냥 여치라고 생각했을 것.섬서구 라는 뜻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을 보다 보면 곤충도 자연스레 관심의 대상이 된다. 꽃이 있는 곳에 나비가 있고 거미도 있고 기타등등의 꼬물거리는 것들이 있게 마련이어서. 거미는 곤충이 아니라지만, 분류가 어떠할지라도 네겐 곤충의 이미지다. 거미를 두 종류 찍었는데 이름도 궁금하고 생태도 궁금하다. 이제 시작이지...


 

 

 

 

 

 

 

 

 

 

 

이건 처마 밑에 있던 꼬마 호랑거미. 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8848 여길 클릭하시면 꼬마호랑거미가 집을 짓는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요넘은 긴호랑거미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9-09 07:52   좋아요 0 | URL
오..좋군요.
울아들이 좋아하는 곤충들이라니^^
 

 

 

 

 

 

 

호랑나비가 보이기 시작한다. 크고 화려해서 단연 눈에 띄는 호랑나비...목향에서 백일홍 사이를 노닐던  호랑나비, 지리산에서 금잔화 꿀을 탐닉하던 호랑나비...이번 기회에 나비의 집중력은 3초이상이 안된 다는 걸 확인했다. 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9-08 09:58   좋아요 0 | URL
너무 이쁩니다..
추천하고 퍼갑니다.

2004-09-08 23:17   좋아요 0 | URL
전 반디가 더 이뻐요^^, 한 밤중에 새벽별을 보니 더 반갑네요..^^*

. 2004-09-10 19:26   좋아요 0 | URL
어..직접 찍으신거예요? 장난이 아닌데요? 멋집니다.

아라비스 2004-09-22 11:39   좋아요 0 | URL
저도 요사이 산책하다 호랑나비 봤어요^^ 이렇게 이쁜 놈은 아니었지만요.
 
그림이랑 놀자 4 - 열매
황성옥 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놀자’라는 말처럼 매력적인 말이 또 있을까. 노는 방법이야말로 무궁무진하지만 그림이랑은 어떻게 놀아야 하는 것인지 한 번 펼쳐보자.

이 책에 소개된 그림과 조각들은 대상과 표현기법, 재료 면에서 다양한 관점과 표현기법을 보여준다. 작가도 다르고 시대도 다른 여러 점의 그림이 '열매'라는 공통점으로 묶여있다. 여러 작가들의 다양한 그림들을 한 자리에서 구경을 하는 것만으로도 풍요의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뭔가 대단한 예술적 체험이라도 한 듯 뿌듯한 마음도 들었다.

 

이제 가을이라 열매들이 수확될 계절이니 그런 계절감과도 맞춤하여 아이들도 사과 한 알을 보면서도 뭔가 예술적인 충만감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한다.  한 그림 한 그림 소제목을 달아 그림과 조각을 재미있게 소개했는데, 이정도 책이라면 아이들이 그림을 생활속으로 끌어들이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실제로 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의 저학년 권장도서인데 아이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책이다.


<덧붙여>

표지에 ‘'그림이랑 놀자‘는 아이의 생각을 키워주는 우리 명화시리즈입니다’ 라는 말이 있다. 이 문구를 보면 아이의 생각을 키워주되 그 도구로 사용한 것은 우리 명화다 이런 얘기다. 하지만 이 책 역시 내용을 소개하는 키워드를 잘 못 뽑았다. 상업적으로 자극적 문구를 뽑아 봤겠지만, 그런 현실이 잘 만든 책 한 권을 2프로 부족하게 보이게 한다.


‘생각’, ‘명화’ 이런 단어들은 이제 너무 진부하고 통속적이다. 요즘의 아이들은 생각이 부족한 아이들이 아니라 정서가 빈곤한 아이들이다.  그림을 통해서 생각을 키운다라는 것이 틀리거나 잘못된 발상이라고 말 할 수는 없지만, 시류에 영합하기 보다 시류를 이끌어 가는 출판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이 책의 내용에 맞춘다면 “아이의 인생을 풍요롭게 해주는 우리나라 좋은 그림을 담았습니다.”가 더 적당할 것 같다. 


어찌되었거나 이 책은 그림을 보여주기 위한 책이다. 그림은 왜 보여주려 하는가. 다른 사람이 그린 그림을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끼는가. 마음에 드는 그림을 보게 되면 들여다 보게 되고 들여다 보면 애정이 생긴다. 마음과 마음이 닿아서 정서적으로 풍부해지고, 그런 풍부함이 인간에 대한 애정을 새로이 발견하게 하고, 그런 애정을 바탕으로 우리 모두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 보자, 뭐 이런 인식의 전환까지 이끈다면, 하는 기대를 품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