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도 어렵지만 결혼은 더 어려운 세상에, 남부럽지 않은 직업에 결혼까지 한 남자가 있다. 최근에 신혼일기겸 독서일기를 묶어 낸 오상진아나운서이다.
짐작할 수 있는 캐릭터가 짐작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쓴 글편들.
좋은 의미로 모범 답안 같은 일기장이라고나 할까.
어떤 독자는 굳이 책으로 엮을 필요가 있나싶은 글들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던데, 문학성이 뛰어나고 훌륭한 글을 읽고 싶으면 고전문학을 읽으면 되는 것이고, 마음가는대로 쓴 이런 글이 주는 소소하고 편안한 재미는 또 다른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부부가 같이 책을 좋아해서 아내는 책방을 차려서 승승장구를 하고 있고
저자 또한 오상진의 북스타그램으로 꾸준히 책을 소개하고 있으니 부부가 모두 젊은 독자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셈이다.
오아나운서가 넘 대중적이지 않아서 소개는 못했다며 본인이 좋아하는 책으로 미하일 불가코프의 거장과 마르가리따를 언급한 적이 있다. 흠. 거장과 마르가리따라, 풍자코드를 잘 읽어야 하고 양도 많아서 왠만하면 좋아하기 어렵겠다라고 생각한 그 책이다. 내가 읽다가 포기하고 영화로 겨우겨우 봐낸 작품인데, 오상진이 추천하는 책이라고 하니, 다시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 중이다.
암튼, 이런 책을 읽고 책도 읽고 싶어지고 결혼도 하고 싶어진다면 좋은 거지 뭐.
비슷한 맥락으로, 뭐 이런 잡다한 시시껄렁한 이야기들을 굳이 책으로 낼 필요가 있나 싶은 대표적인 책들이 음식에세이. 관심 없는 독자들이 본다면 참 쓸데 없는 책들이다.
권여선의 <오늘 뭐 먹지>는 노랑이라는 표지색으로 나로 하여금 두 권의 음식수다책을 더 불러 내었는데, 세 권 중 가장 무겁고 큰 책 <칼과 황홀>, 중간무게 중간두께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가장 얇고 가벼운 책이 <오늘 뭐 먹지>다.
음식수다책 세 권의 공통점은 ‘글을 참 잘 쓰는 사람이 쓴 유머코드가 있는 책‘이란 것이다. <칼과 황홀>을 <오늘 뭐 먹지>의 그립감과 사이즈, 두께로 재출간하면 두 권으로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읽어도 재밌다.
그냥 묻어두기 아깝다. 칼과 황홀을 제목도 바꾸고 디자인도 바꿔서 재출간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들고 다니며 읽고 글의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다.
<오늘 뭐 먹지>의 내용은 뭐, 공감 백이십퍼여서 말하면 잔소리.
시래기를 삶아 겉껍질을 벗기는 장면에선 머윗대를 수북하게 쌓아놓고 껍질을 벗기고 앉아있는 내가 오버랩됐고, 두부 부추 숙주 고기 당면이 들어간 정통만두를 좋아한다는 부분을 읽고는 고개를 끄덕이다 못해 냉장고를 열고 주섬주섬 있는 재료만으로 만두를 빚어 먹었다. (맛집프로그램 보고 만들어먹는 스타일)
암튼, 그렇다는 얘기고, <오늘 뭐 먹지> 때문에 괜히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와 <칼과 황홀>을 소환해서 다시 읽었는데, 역시 정말 참 글 잘쓴다 싶은, 이런 게 에세이를 읽는 맛이다 싶은 글들이었다.
속초의 청어와 후쿠오카의 청어, 두 작가가 가진 청어 에피소드.
참 다르게 감칠맛이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