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린드그렌 선생님 창비아동문고 219
유은실 지음, 권사우 그림 / 창비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아직 리뷰가 하나도 없다는 사실에 놀라면서 얼렁 하나 올리고 본다. 읽은지가 좀 되어서 느낌이 생생하진 않지만 지금까지 남아 있는 생각은 이렇다.

첫째. 이 책은 아이들이 이랬으면...하는 선생님의 마음이 담겨있다. 하지만 그 마음은 드러나지 않게 잘 포장되어 있다. 이 책을 읽으면 아이들은 린드그렌이란 작가가 어떤 책을 썼는지 모두 알 수 있다. 이건 인지적인 측면이다. 정보를 통해 책을 읽고 싶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둘째, 정서적인 면은 어떻게 표현 되어 있나. 이 책은 사람을 사랑하는 열정에 대한 방법을 가르쳐 준다. 요즘 아이들은 누굴 좋아하는 열정도 없고 좋아하는 바람직한? 방법도 모른다. 어떤 작가를 좋아한다면 적어도 비읍이나 그 헌 책방 언니 정도로 구체적인 방법으로 사랑해야 한다. 말이 필요 업쓰~!(리뷰를 다시 읽으니 구체적인 방법이라는 말에서 좀 걸린다. 둘 다 모두 린드그렌을 사랑했지만 구체적인 행동을 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좀 복잡해지는데, 예를 들면 나만의 방법으로 혼자 구체적이었다는 거다.)

셋째.이건 쓰기 방법론적 측면이랄까.. 일기란, 또는 편지란 어떤 형식을 갖추어야 하며 그런 글에서는 어떻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드러내야 하는지..무진장 좋은 예문이 많이 나온다.

써놓고 보니 모두 다 인지적인 측면 같은 생각이 든다. 이건 부모들이 무지 좋아할 버전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것은 그런 맘을 먹고 쓰지 않았기 때문에 그 느낌이 생경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아이들 모르게  그런 것들을 깨우쳐 주는 것이 어른들이 생각하는 좋은 동화라면 이 책은 딱 그런 예이다.  하지만 그것은 의도한 바도 주제도 아니란 것을 읽으면 알 수 있다.

결론: 위에 쓴 것은 내가 어른이라, 재미있고 감동적인 이야기 한 편을 읽으며 뭔가 작가의 입장에서 '생각'해본 것이다. 아니, 생각하기 전에 그랬을거야 하며 떠오른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이런 저런 의식 없이 재미있게 읽으며 내가 생각했던 그런 것들을 자기 몸으로 옮겨 갈 것이다. 이래저래 나로선 감동적이고도 학습적인 책이었다. 학습적이란 말엔 두 손들어 반대를 표할 독자가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극히 개별적인 느낌을 나는 올리는 것이고 판단은 여러분이 하시길 바란다.

어쨌거나 뭔가 비판적인 한 문장이 들어가야 좋은 리뷰 축에 낄 것 같은데..생각나는 것이 없다. 한 번 더 읽고 찾아 볼 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3-05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게 되면 꼭 땡스투 한 번 더 확인할게요.^^

2005-03-05 1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누군가의 서재에서 땡스투 두 번을 누르고 그 책을 안 산 것 같은데..그니까 사게 되면 한 번 더 눌러야 되는 건가요?..이거 굉장히 주관적인 리뷰인데..리뷰 올릴 때 사실 객관과 주관 사이에서 갈등 무지 합니다. 호 불호의 문제가 아니라 너무 내 식으로 써서 소통이 안 될 것 같은..어쨌든 이 책은 추천할 만 하답니다.
 
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 대 사람'과 함께 날아 온 책이다. '사람 대 사람'이 사회 유명인사를 강렬하게?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책이라면, '사람 풍경'은  나이기도 하고 내 친구이기도 한 듯한 이들의 심리를 은근하게 헤집는다. 작가가 여행지에서 만난 사람과 문화, 에피소드를 통해 '그들'을 이해하고 '나'를 알아가는 과정은, 천천히 곱씹으며 읽어도 한 번 더 읽고 싶은 그런 '여정'이었다.

 

내 안의 욕구를 억압하면 그것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잠재되어 있다가 언젠가 폭발한다. 착한 사람의 이면에는 이런 것이 숨어 있다. 내가 정신적으로 건강해지기 위해서 상처주는 일을 해야 하나 내 정신이 조금 불행하고 말고 싶다. 이 정도면 약먹어야할 병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 VS 사람 - 정혜신의 심리평전 2
정혜신 지음 / 개마고원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신선했다. 사람 대 사람의 1부격인 남자 대 남자를 안 본 터라..일단은 정신과 의사가 글도 잘쓰네..하는 충격?과 방대한 자료를 읽고 분석한 집념?에 놀랐다. 한 번 손에 잡으면 잘 안 놓아질 만큼 흡입력이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

근디, 내 취향에 좀 안 맞는 부분..두 인물을 서로 견주어서 상대적으로 부정과 긍정의 인식을 심어 준다는 것. 물론 저자는 심어줄 의도가 없었고 본인이 분석한 바를 서술했을 뿐이다. 하지만 그 이분법적 구도가 싫다. 또 하나 방대한 자료분석과 군데군데 객관성을 주장한 문장이 있어도, 지나치게 주관적인 느낌이 싫다. 글은 객관적인데 느낌은 주관적이라면 말이 되나?

거침 없는 문체와 내용이 시원하면서도 나를 불편하게 했다. 아마도 자료만을 가지고 분석해서가 아닐까. 인터뷰랄지 사람을 직접 대면한 흔적이 아니라 자료만(아닌가?) 읽고 사람을 나누어 쪼갠다는 것 그 내면을 파헤친다는 것..뭔가 위험하단 생각이 든다. 즉, 이렇게 읽으면 안된다는 이야기다.

이 책은 인간 중심이 아니라 심리 중심이다. 개인에 포커스를 맞추기 보다 보편적인 심리가 그 인간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더 개별적으로 드러나느냐에 중점을 둔다면 나처럼 불편하게 읽히는 일은 없을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05-03-05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괜챦던가요? 난 이 분 자체가 왠지 거부감을 갖게 되는 캐릭터라...

2005-03-05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자들이 보면 좀 그렇죠? ^^ 글발 좋고, 인간분석이라기 보다 심리분석이라고 생각하지면 재밌게 읽힐 거에요. 일단 우리 보다 많이 아는 '박사'잖아요^^

비로그인 2005-04-15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용은 투덜투덜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만큼은 인정해주고 싶어요..;;
 
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권장연령: 초등 고학년부터 어른까지-책따세에는 중3부터라고 나와 있지만 독서력이 있는 초등고학년 정도부터 읽혀도 재미있게 볼 것 같다. 중간 중간 초등생이 이해하기 어려운 수학적인 이야기들이 나오지만 그것을 이해하지 못해도 내용 파악이 된다.

권장취향: 행복이 오면 의자를 내어주세요,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류를 재밌게 보는 이들에게 적합하며, 적당히 감성적이며 적당히 명쾌하며 적당히 창의적인 소재로 쓴 신선하고 따뜻한 소설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5-02-10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읽고나면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책이었죠...

반딧불,, 2005-02-11 1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이어요.
설 잘 쇠셨죠?? 궁금했습니다.
어찌나 브리핑에 뜬 이름이 반갑던지요..

2005-02-13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넵...무사귀환!^^
 
톨킨 - 판타지의 제왕
마이클 화이트 지음, 김승욱 옮김 / 작가정신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주말 동안 '톨킨'을 읽으며 울고 웃고 했다. 울었다는 것은 눈물을 흘렸단 의미는 아니고, 내 마음의 물결이 울렁거렸단 뜻이고 웃었단 말은 '톨킨'과 그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공감이 가서 기분좋게 재미있었단 이야기다. 사람은 언제, 어디서에서 누구하고 살아도 모두 비슷비슷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톨킨'은 범상한 인물은 아니지만, 그의 내면과 주변은 범상한 우리의 내면과 주변과 비슷하다고 느꼈기에 인간 '톨킨'의 '반지의 제왕'도 읽고 싶어졌다.

<톨킨>엔 톨킨이 태어나기 전 부모의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톨킨의 성장과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리고 중간중간 책의 작가가 톨킨의 생애에서 톨킨의 작품들과의 연관관계를  짚어준다. 영국에서 환타지가 나왔던 계보를 축약해서 이야기하기도 하고, 톨킨이 단어 하나하나에 집착하면서 집요하게 원고를 썼고, '반지의 제왕'이 출간되기까지 뒷 이야기들이 공개되는 것도 흥미롭다, 본인은 아니라고 우겼다지만, 어쩔 수 없이 시대상이 작품 속에 녹아 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개인과 작품과 그들이 속한 시대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톨킨과 톨킨의 친구들이 모임이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친 흔적을 찾아 읽는 재미가 쏠쏠하고, 대작가의 사소한 내면 심리를 훔쳐보는 것 같은 스릴도 있었다. 어차피 자서전은 아니기에 진실의 여부를 추측하는 맛도 있었는데, 작가가 작품을 대하는 마음과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을  들여다 본 셈이라, '반지의 제왕'을 읽게 되면 더 재미있게 더 깊이 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12-21 2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4-12-22 09: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4-12-22 1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4-12-23 1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 2004-12-24 2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었다는 것은 눈물을 흘렸단 의미는 아니고, 내 마음의 물결이 울렁거렸단 뜻이고~

크...아트입니다..마음의 물결 울렁...^^

2004-12-25 0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기 읽는 거 좋아해요..너무 와닿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