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사랑의 잎' 때문에 <정확한 사랑의 실험>을 빼들었다. 신형철의 글을 읽으면 카타르시스가 느껴진다. 이선희가 부르는 J에게를 들으며 음치인 내가 카타르시스를 느낀 상황과 비슷한 게 아닐까 싶은데, 펼쳐든 부분이 마침 '타인의 불행을 해석한다는 것'이다. 글이 참 분명하고 겸손하다. 맥락을 따져주고 경계를 넘나드는 강의가 매력있는 것 처럼 신형철의 글 또한 그렇다.

 

많은 훌륭한 이야기들의 원천이 대체로 인간의 행복이 아니라 불행인 것은 왜인가. 말년의 프로이트는 인간이 행복하기보다는 불행해지는 데 많은 재능을 타고났다는 사실을 착잡하게 인정해야만 했다. "인간을 행복하게 하려는 의도는 '천지창조'의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다."(<문명속의불안>1930.2장) 세 종류의 고통이 우리를 지속적으로 위협하기 때문이라는 것, 자주 고장 나고 결국 썩어 없어질 '육체', 무자비한 파괴력으로 우리를 덮치는 '세계', 그리고 앞의 두 요소 못지 않게 숙명적이라 해야 할 고통을 안겨주는 '타인'이 그것들이다. 그러고 보면 최근에 본 영화들만을 생각해봐도 <아무르>는 육체 때문에, <라이프 오브 파이>는 세계 때문에, <더 헌트>는 타인 때문에 불행해진 인간들을 그렸다고 할 만하다. 이런 식이니까 비평적 글쓰기라는 것은 많은 경우 타인의 불행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일이 되고 만다. 이 난감한 일을 계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떤 원칙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를테면 '불행의 해석학'이 갖추어야 할 '해석의 윤리학'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

"결혼을 한 뒤 과연 내가 영화를 만들면서 가장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이 생기기 시작했다. 게다가 부시 정권에 대한 불신이 싹 텄고, 미국 경제가 무너지고 있었다. 이런 느낌을 담아 시나리오를 쓴 것이다. 말하자면 커티스는 당시의 나다."('위기의 중산층',<씨네21>,831호) 제프 니컬스 감도기 이렇게 말하기도 했으니, '금융 대란 이후 중산층의 불안을 표현한 영화'라는 일각의 지적이 틀렸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표현들과 함께 하나의 텍스트는 너무 빨리 보편화되고 만다. 앞에서 사용ㅇ한 개념을 다시 가져오자면, '주석'은 최대한의 정확성을, '해석'은 최대한의 단독성을, '배치'는 최대한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작업이다. 어떤 텍스트가 최대한의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은 그 텍스트를 세상에서 하나뿐인 것으로 만드는 작업이며, 그것이 바로 '해석'이라 불리는 행위의 이상理想일 것이다. 특히 그 텍스크가 타인의 불행을 다룬 것일 때는 더욱 그렇다. 타인의 불행을 놓고 이론과 개념으로 왈가왈부하는 일이 드물게 용서받을 수 있는 길 중 하나는 그 불행이 유일무이한 것으로 남을 수 있도록, 그래서 쉽게 분류되어 잊히지 않도록 지켜주는 일이다. 1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투적인 것에 대하여@septuor1님의 트윗을 확인해 보세요 : https://twitter.com/septuor1/status/630860438738112512?s=0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5-08-11 07:43   좋아요 0 | URL
아!! 글 잘 읽었어요. 고맙습니다
 

 며칠 째 방콕이다. 책과 영화, 맥주와 낮잠의 나날이다. 책은 두서 없이 이 책 저 책을 보다 말다 하는데, 플래너리 오코너의 단편들이 강렬하다. 순간을 포착하는 날카로운 심리 묘사나 결말의 잔혹함이 카타르시스를 준다. <플래너리 오코너>에는 단편 서른 한 편이 실렸고,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엔 열 편의 단편이 실렸는데, 제목을 비슷하게 번역했다는 가정하에 <플래너리 오코너>에 없는 단편이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에 두 편  더 있다.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좋은 사람은 드물다)와 '그린리프', '선한 시골 사람들', '제라늄', '깊은 오한'이 특히 좋았다.

 

 플래너리 오코너 (1925~1964)는 스물다섯 살에 루푸스병으로 자신이 얼마 살지 못할 것임을 알았지만 이후 12년을 끈질기게 살아내어 장편 소설 두 편과 단편 소설 서른 두 편만으로 문학사에 깊은 자취를 남겼다. 고향에서 은둔하며 걷지 못할 지경이 되어서도 집필을 멈추지 않았는데, 이 같은 확고한 작가 정신에서 탄생한 작품들은 20세기 미국 소설의 가장 독창적이고 강력한 목소리 가운데 하나로 인정 받고 있다. 프로테스탄트 신앙이 맹위를 떨친 미국 남부 출신의 독실한 카톨릭 교도였던 오코너는 그러한 특수한 정체성을 작품 속에 탁월하게 녹여 냈다. 그러나 카톨릭 작가로 한정되기를 거부하며 자신의 종교적 비전과 믿음을 인류 전체의 메시지로 승화시켰다. 인간 실존의 모순과 부조리, 허위와 위선을 해학적인 언어로 그려 냄으로써 극적인 재미를 선사했을 뿐만 아니라 등장 인물과 독자들에게 강렬한 구원의 순간을 체험하게 했다. 오코너의 구원은 무자비한 폭력이나 돌연한 죽음과 같은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 압도적으로 나타나는데, 그녀가 만들어 낸 크로테스크한 비극의 세계는 지난 몇 십년 동안 놀라울 만큼 무수한 평론을 낳았고 대중적으로도 열광적인 지지를 얻었다. 첫 장편소설 <현명한 피>는 소위 '남부 고딕' 장르를 정의하는 미국 소설 중 하나가 되었다. 그녀의 생존 시와 사후에 걸쳐 세 차례의 오 헨리 상을 수상, 미국예술문학아카데미상과 <단편소설전집>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했다. - 알라딘 저자파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의 집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딸들 손녀들이랑 보테로전을 봤다고 좋아하신다. 나는 일정상 빠졌지만 엄마와 열한살, 일곱살 조카가 찍은 사진을 보며 잠시 추억에 잠긴다. 큰아이가 조카보다 어렸을 때 선재미술관에서 보테로전을 보며 충격에 빠졌었던 기억이 되살아나서다. (그때 선재미술관 앞의 조각에 대한 인상이 강해서 그후로도 길게 내 의식 속의 보테로는 조각가였다.) 시골 출신이지만 도회적 성향의 엄마는 어린 우리들을 데리고 버스를 한 시간 씩 태워 어린이 뮤지컬을 보러 다니셨다. 큰 동백나무가 있는 섬에 가기 위해 버스와 배를 번갈아 타며 몇 시간씩 고생을 했던 기억도 선명하다. 여름이면 가까운 바다에만 가는 게 모자라 버스를 갈아 타고 두 시간도 더 걸려 계곡에도 몸을 담그게 하셨고, 여원 잡지에 나온 요리 레시피대로 당시에는 평범하지 않은 음식을 만들어 먹이셨다. 아빠와 우리의 이용.미용을 손수 해결하셨고 천을 떠다 옷을 지어 입히기도 하셨다. 작년엔 바티칸전이 보고 싶다셔서 모시고 갔는데 작은 성상화 앞에서 바짝 다가서는 엄마를 보고 흠칫 놀랐는데 연로하셔도 아직 저 열정이 식지 않았구나하는 느낌 때문이었다. 바로 나의 노후를 보는 것 같아 마냥 좋은 기분이 아니었다. 사람의 열정이란게 세월이 갈수록 피곤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당뇨와 혈압으로 몇 년새 부쩍 노쇠해진 엄마. 엄마가 그렇게 업고 걸리고 줄줄이 사탕으로 데리고 다니던 엄마의 딸들은 또 딸들을 낳아, 예전과는 비교가 안되는 안락함으로 전시회장을 찾는다. 오늘 엄마는 막내딸이 운전하는 차로 편히 가서 예술의 전당에서 보테로전을 보고 그 때 우리만 했던 손녀와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마셨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5-08-06 15:19   좋아요 0 | URL
쑥님 어머님의 열정이 깊이 와닿아요. 멋진 어머니세요. 그런것으로 살아가시는 게 아닐까 싶기도하고 나이들어가시는 모습 뵈면 짠하지요. 무더위 잘 견디시기 바랍니다.

2015-08-06 15: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6 15: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6 1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07 08: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읽는나무 2015-08-07 06:26   좋아요 0 | URL
훌륭하신 어머님이세요!
어머님의 건강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