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5년 6월
평점 :
“그래요, 우린 비명을 지릅니다.” (...)
그들은 하나같이 삼백 년 전 일본이 침략해 온 일을, 그리고 사찰들과 선교사들과 유럽에서 온 배들의 역사를 이야기하며 유령 따위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래요, 우린 비명을 지릅니다.” 199-200
<벌집과 꿀>편에서 등장하는 고려인들의 저 이야기는 이주민들의 삶의 고단함의 정도를 바로 느끼게 해준다. 잠도 못잘 만큼 괴롭지만 유령 따위로 자신의 ‘터’를 떠날 순 없다. 그 터란 나고자란 터이기도 하지만 강제로 떠나와 자리잡은 터도 마찬가지다. 헌데 벌집과 꿀에서 유령을 보는 사람들은 자신을 허락없이 범하는 남편을 죽인 아내의 죽음에 동조하거나 묵인했던 사람들이다. 유령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은 러시아 공사관과 죽은 여인의 딸 뿐이다. 타이틀에서 등장하는 꿀과 벌집은 대등하거나 종속관계라기 보단 벌집을 찾아내기 위한 수단으로 꿀이 쓰이는 것을 뜻한다. 공사관은 자신의 아버지를 전쟁으로 잃었고, 자신도 삼촌에 의해 불모지에 파견되어 왔다. 그리고 그곳에서 새로운 터를 잡고 살아가는 고려인들은 벌집을 얻으려는 누군가에 의해 이용된 ‘벌’인 듯 보인다. 표제작 뿐 아니라 다른 작품들에서도 이런 고단함이 느껴진다. 코마로프와 크로머는 탈북인들의 부모와 자녀들의 삶이 간접적으로 비쳐진다.
“두 분 다 반쯤 죽은 듯이 사셨잖아.” 그레이스가 말했다. “그리고 몇 년 뒤에 여기 도착하셨을 때는 더 그러셨고. 살아 있다는 걸 제대로 느낀 적이 한 번도 없으셨을 거야. 그게 그분들의 삶이었어. 항상 다른 사람들을 따라잡으려고 하는 거. 당신도 그 정도는 알잖아, 해리.” 169쪽
발췌문에 등장하는 해리와 그레이스는 탈북한 두 남자가 각각의 가정을 꾸리고 낳은 아이들로 어릴 때 부터 같이 놀고 다투며 어른이 되어 자연스레 부부가 되었다. 해리는 아버지의 어린 시절이 궁금하고 때때로 가족이라곤 둘 뿐 이라는 삶의 유한성에 외로움을 느끼며 자녀를 가져보는 것이 어떨지 생각하며 그레이스가 아이를 원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진다. 독자인 내겐 발췌문에서 그레이스가 이야기한 그들 아버지의 삶만 보더라도 왜 그녀가 아이를 원할 수 없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전보다는 나아졌다고 할 수 있지만 분쟁으로 발생한 폭력에 두 블럭을 날아가 해리 품에 안겼던 그녀에게는 피부색도 다르고 언어도 다른 세상에서 살아가는 자신과 남편의 아이가 안전하다고 안심할 순 없었을 것이다. <코마로프>에서처럼 죽은 아이의 시신도 거두지 못하고 탈북해야 했던 주연 만큼 급박하고 처절하진 않았더라도 ‘항상 다른 사람들을 따라잡으려고’ 하는 삶은 좀 더 나았다고 할 수 있을까.
매일 밤 여기서 달이 뜨고, 기울고, 부서졌단다. 그러고는 스스로를 다시 만들어냈지. 250쪽
전쟁이나 침략 혹은 이주의 아픔을 직접 겪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 아픔이란게 시간의 흐름과 함께 완전하게 소멸하진 못할 것이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잊고 살다가도 갑자기 떠올릴 수도 있고, 갈 곳이 어딘지 알 수 없는 누군가는 어쩌다 만난 이의 흘리듯 했던 말에도 마음을 움직인다. 그렇게 마치 계속 기울고 부서지면서도 다시 살아가는 모습이 소설집 <벌집과 꿀> 안의 마치 벌집처럼, 여러 개의 방이 칸칸이 모여 있었다. 결말이 모호해서 답답한 것이 아니라 그 모호함 속에서 희망이 보이고, 잊힌 아픔이 떠오르다 부서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