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억 번째 여름 (양장) ㅣ 소설Y
청예 지음 / 창비 / 2025년 5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리뷰하였습니다.
"내게는 선택지가 많지 않았다.
지키고 싶은 사람은 늘 하나였다."
한없이 슬프고 또 너무나 아름다운 소설 [일억 번째 여름]
내일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미미족의 절망과 열등한 미미족을 향한 두두족의 경멀과
혐오가 아주 뚜렷한 대비를 이루는 소설. 그러나 그러한 폭풍 같은 감정이 휘몰아치는
가운데에도 이 소설은 "우리"를 향한 연대감과 사랑의 꽃을 강렬히 피워낸다.
소설 [일억 번째 여름]은 신인류인 미미족과 두두족에 대한 이야기이다.
지구가 멸망한 이후 구인류는 사라졌으나 그들이 남긴 DNA 덕분에
신인류가 탄생하게 되고 그들은 새로운 행성에 정착하게 된다.
그러나 자연에 가까운 미미족은 인공적인 삶과 문명을 이룬 두두족에게 착취를 당하며 살아간다.
미미족 족장인 주홍은 강한 체력 덕분에 에너지 채집자가 되고
고대 언어를 읽을 수 있으나 신체가 매우 약한 이록의 다리 역할을 담당한다.
냉혹한 두두족 족장인 아버지와 미미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이록은
주홍의 등에 업힌 채 고대 언어가 새겨진 동굴 "콜로나"를 다니며
그들의 미래를 책임질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던 어느 날, 일억 번째 여름이 곧 다가온다는 징조의 어둠꽃이
가득 피어난 현장을 보게 되는 주홍과 이록... 그것은 곧 미미족의 멸망이
눈앞에 다가왔다는 말.... 그 시간을 늦추기 위해서 몸부림치는 주홍과
동시에 마지막 콜로나에서 아버지가 원하는 "궁극의 원천"을 찾아낸
이록의 모습이 동시에 오버랩되는데......
여름은 반복되고, 에너지를 얻기 위해 자연재해가 끝없이 지속되며,
에너지를 수집하는 자와 그들을 착취하는 자들이 있다.
"일억 번째 여름" 이 오면 낡은 한 종족은 반드시 멸망한다는
고대 예언이 전해 내려오는 상황. 말하자면 약하고 열등하고
문명을 이루지 못한 채 살아가는 미미족이 곧 멸망한다는 의미.
오직 살아남기 위해서 뜨거운 여름을 견디고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자연재해를 감내하는 미미족 사람들
이러한 고통의 순간에도 그들은 특별한 누군가를 위해
희생하고 연대하며 마지막 용기 한 방울까지 짜내어 길을 떠난다.
이들이 만약 나의 후손이라면 꿈속에 나타나 응원과 지지를 보내주고 싶은 심정...
이 책을 읽는 와중에 왜 최근 있었던 계엄 사태가 떠오르는지...
응원봉을 그 누구보다 높이 쳐들었던 우리의 아들, 딸, 이웃들의
환한 미소와 희망을 담은 눈물이 막 떠올랐다. 나도 모르게 울컥하게 되는 소설.
"우리에게는 반드시 살리고 싶은 사람이 있다."
“희생이란 용감한 사람들의 특권이야. 우리는 지키는 사람들이란다.”
“같이 있어야 우리는 완벽해져.”
생존을 위해 혈투를 벌여야 하는 상황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서로를 향한 사랑은 멈추지 않았다.
덮고 나서도 한동안 마음의 먹먹함은 지속되었다.
주홍, 이록, 백금, 연두 그리고 일록....
이들이 다시 만난 계절과 우리가 다시 만난 세계가
그다지 다르지 않음을 느끼게 된다.
문학적 서사의 유려함과
아포칼립스가 가진 장르적 재미를 동시에
가진 대단히 완성도 있는 소설 [일억 번째 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