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읽기 그리고 영적일기

ㅡ성경을 읽고 매일 영적일기를 쓰자. 이것은 새해계획일 뿐 아니라 죽기 전까지 계속해야할 작업이다. 덕(arete)을 내려주소서.

ㅡ저자는 영적일기 쓰기가 쉽다는데 별로 쉬워 보이지 않는다는 게 함정이다. ㅜㅜ


하느님의 주요 관심은 우리가 하느님 말씀에 귀 기울이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와 대화를 이어 나가는 것입니다... 정신을 바짝 차리고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기대하는 자세로 임하십시오. 하느님께서 아주 개인적이고도 실천적인 말씀을 해주실 것입니다. 62p


신약읽기의 순서, 영적일기 쓰는 법, 구약 읽는 순서 등이 잘 소개되어 있다. 2018년 나의 영혼을 돌보는 교과서로 채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체조배 - 프란치스코 교황과 함께하는
성바오로딸수도회 엮음 / 바오로딸(성바오로딸)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샀던 바오로딸 성체조배보다 이게 훨 좋다능...
바오로딸 기도학교에서 썼던 교재이다. 솔직히 당시 뭐가 그리 바빴는지 열심히 기도하지 못하였다. (반성..) 이제 다시 책을 펼쳐들고 자비하신 프교황님과 예수님과 하느님 성령님의 삼위일체 사랑을 느끼며 기도한다. 졸리면 그냥 자도 된다는 너그러운 마음에 울컥한다.
21일차. 기쁨은 그리스도인의 표징이 아닐까? 죄와 죽음은 악의 것이다. 하느님 얼굴을 바라볼 때 기쁘다. 기쁨과 사랑. 사랑 안에 머물기.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반추기도)

시작기도 도입부분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요부분이 가장 좋다. 통신성서 연수회 가서도 항상 기도를 이 구절로 시작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를 돈 주면서라도 시키라네요 .. 후회하지 않는다
#엄마는페미니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천이성비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The will to change)를 읽고 있는 중이다. 모 독서지도사 온라인 강의를 듣는데 샘이 말하길 아이들이 감정과 정서 용어를 모를 뿐만 아니라 민감하지도 못하다고 한다. 당연하지 않나. 머리 속의 지식만 넣었지 어떤 감정들이 있는지, 내가 지금 느끼는 감정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돌보고 다독이는 훈련은 전혀 받아본 적이 없다. 감정이란 인간을 살아있게 하는 원동력이다. 예술을 자주 많이 접할수록 공감력, 수용력이 높아진다는 건 책을 많이 읽을수록 사람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감정의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다와 비슷한 뜻일 것이다. 공감카드가 떠올랐다. 생각과 느낌을 구별하는 것은 힘이 든다. 누구에게든 떠오르는 감정을 적어보라고 하면 아마 몇 단어 안 될 것이다.....

아래 내용은 남자다움,,, 에서 밑줄그은 감정과 가부장제 그리고 폭력의 관련성에 관한 부분.

 

 

남자아이들의 감정적 삶을 위협하는 것은 페미니스트 사고가 아니라 가부장제다. (81p)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첫 번째로 요구하는 폭력적인 행동은 여성에 대한 폭력이 아니다. 그보다 가부장제는 모든 남성에게 심리적 자해 행동을 하라고, 스스로에게서 감정적인 부분을 없애라고 요구한다.(125p)

 

 

남자아이가 아주 어린 시절에는 대체로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가 좀 더 자라면 어쩔수 없이 감정을 억눌러야 한다는 사실 때문에 오늘날 사춘기는 여러 가지면에서 남자아이들이 훨씬 더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가 된다. (89p)

 

 

남자아이들이 표현하는 분노의 대부분은 다른 어떤 감정도 드러내면 안 된다는 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흔히 분노는 더 중요한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무감각보다 낫다고 느껴진다. (91p)

 

 

 

성별을 떠나 자신의 의견(민주주의) 감정(인간다운 삶)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아이들을 위해 어떤 문화를 전수해 줄 것인가? 폭력인가 평화인가? 미래희망적인 결말로 다가가고 있다. 아마 저자는 희망과 가능성을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가부장제의 피해자는 여성뿐만이 아니라 남성도 포함된다. 어렵겠지만 우리에겐 의지(힘)가 있고 진실하고 친밀한 관계의 형성, 즉 사랑만으로 가부장제란 두꺼운 벽을 깨부술 수 있다. 대충 이런 내용으로 흘러가는 것 같음.

- 결론은 사랑!?

 

 

죽음이 아닌, 삶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꺼이 변화해야 한다.(서문 끝문장)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리 2018-05-09 02: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을 보며 열정과 사랑이 느껴집니다.

:Dora 2018-05-09 08:51   좋아요 0 | URL
감사해요! 사랑 가득한 하루되시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