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친구를 사귀기 전에 먼저 잘 따져보고 친구로 삼겠다는 말을 하자 살림 할아버지는 고개를 설레설레 내저었다.
"설령 삼백 번 코방아를 찧는 한이 있더라도 계속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야지. 그리고 의심을 품지 말고!"
할아버지는 담배를 한 모금 깊이 빨아들이며 이렇게 말했다.
"얘야, 우정은 약한 자들이 만들어놓은 거란다. 강한 사람들은 우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들에게는 힘이 있거든. 이것저것 따져보는 것은 인생의 중대한 실수가 될 테니까 그런 짓은 하지 말고 친구를 사귀거라. 그렇지 않으면 외롭게 될 거야."
--라픽 샤미, 한줌의 별빛, P 58~59
말하자면, 일종의, <씹다 버린 껌> 신세가 되었다.
이유도 모르는 상태로 "퉤!!!" 하고 뱉아졌다.
20대 이후로는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큰 어려움을 모르고 살았다. 나름, 다양한 스타일의 인간이 있으며 그리고 그 어떤 유형에도 당황하지 않을만한 내공이 있다고, 그렇게 믿었다. 헌데,
크게 배웠다.
아....사람이 이렇게 표리부동할 수도 있구나....이렇게 이기적일 수도 있구나....이렇게 무책임 할 수도 있구나....상황을 이렇게 끌어가는 희한한 방법도 있으며, 사람을 이렇게 조이는 치사한 방법도 있구나....
처음엔, 사람이, 두렵더라.

다니엘, 넌 아무도 믿지 마. 특히 네가 존중하는 사람들은. 그들이야말로 언젠가 네게 최악의 비수를 꽂을 이들이거든.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바람의 그림자, P 38
하지만, 지지부진, 한 달이 넘게 마음을 다치고 있는 이 상황에서도 깨달음은 생겨났다.
소수의 <나쁜 사람>을 만나면서 내 주변에 수많은 <좋은 사람>이 있다는 것을 새록새록,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냥 편하게만 여겨왔던 동료가 얼마나 믿음직한 언니인지 알게 되었고,
그저 술잔이나 기울이던 지인들이 얼마나 나에게 위로가 되는 친구인지를 깨닫게 되었고,
한 다리 건너 이름이나 알던 선배가 얼마나 사리에 밝은 이론가인지 깨우쳤고....
그리고 그 모든 이들이 나를 나름 아끼며, 신뢰한다는 사실, 그 사랑과 믿음이 내게 큰 힘이라는 사실을 되새기게 된 것이다.
난, 그래, 살림 할아버지의 충고를 듣겠다.
삼백 번 코방아를 찧는 한이 있더라도 계속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야지.
그리고 의심을 품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