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모던 클래식 3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좋아하는 배우 중 한 명인 '키이라 나이틀리'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인 '나를 보내지마(2010)'를 TODO 목록에 올려놓고 얼마안되서 '가즈오 이시구로'라는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 영화의 원작 소설의 작가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소설 속에 나오는 'Judy Bridgewater'라는 가수가 부른 'Never let me go'라는 동명의 노래를 찾았으나 아쉽게도 없어서 (나는 '멜론'의 유료 이용자다!) Youtube를 통해 겨우 찾아 들었다.

결국 찾아낸 최고의 조합은 블루즈풍의 'Never let me go'의 연주곡을 들으며 중반부에서 결말까지 책을 읽어나가는 것이었고, 이 글도 연주곡을 들으면서 써내려 가고 있다. - Bill Evans의 Alone이라는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무려 14분35초짜리! -

서평에, 특히 소설의 경우 줄거리를 소개하는게 소설을 읽기 전이나 혹은 이 서평을 보고 관심을 가지게 될 미래의 독자에게는 자칫 김빠지는 일이 될 것 같아 자제하겠다. (영화평을 늘어놓으면서 스포를 하는 테러리스트가 되고 싶지는 않다.)

이 소설은 믿기지 않지만 SF물이다. 그것도 디스토피아적인 SF물이다. 하지만 언젠가 죽음을 맞이하게될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해당될 수 있는 주제를 담고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된다. 사랑을 찾고 자신의 근원(origin)에 대한 의문을 찾아 의식하지 않더라도 그 답을 향해 삶을 살아내는 것. 어쩌면 보편적이라고 할 삶의 여정을 이 소설은 화자인 주인공 '캐리'와 그녀와 함께 자란 '루시', 그리고 '토미'를 통해 섬세하면서도 애잔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 소설은 세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인 동시에 존재의 근원을 찾고자 하는 여정을 다룬 이야기이며,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태어난 의료용 복제 인간에 대한 생명윤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만큼 이 소설을 읽고 나서 느껴지는 반향은 복잡하고 깊이가 있다.

가즈오 이시구로의 원작소설은 1993년에 출시된 '안소니 홉킨스' 주연의 '남아있는 나날'이라는 영화를 통해 처음 접했었다. 아마도 개봉된 후 몇 년이 지나 갖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생활을 하며 TV를 통해 보게 된 것 같은데 아직도 영화의 장면과 스토리가 인상 깊게 남아있다. '남아있는 나날'도 함께 읽기위해 구매해뒀는데, 일단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영화와 2017년도에 일본에서 드라마로 제작된 시리즈물을 본 뒤에 읽어볼 생각이다. 영화와 드라마는 이 소설을 어떻게 해석해서 풀어나가게 될지 자못 기대된다.


"너희가 게임의 담보물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리라는 건 안다. 충분히 그렇게 느껴질 수 잇어. 하지만 생각해 보렴. 너희는 그래도 햄복한 담보물이다. 한때 어떤 흐름이 있엇지만 이제는 지나가 버렸어. 세상일이 때때로 그런 식으로 돌아간다는 걸 받아들여야 한다. 대중의 생각이나 감정은 이쪽으로 쏠렸다가 저쪽으로 가버리지. 그 과정 중 한 지점이 너희의 성장기와 겹쳤던 거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2-15 16: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샘님, 즐거운 설연휴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나비가꾸는꿈 2018-02-15 17:19   좋아요 1 | URL
고맙습니다. 서니데이님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AgalmA 2018-02-16 0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저는 벅스유료이용자인데요! 저도 벅스에서 judy bridgewater 그 곡 없어서 유투브로 커버 감상까지 하며 들었는데 막상 보고 들었을 땐 소설 속 내용처럼 신비롭지 않아서 실망요ㅎ;; 이시구로의 음악 취향이 궁금해 읽게 된 단편집 <녹턴> 읽고 아, 이시구로는 스탠다드 취향이구나. 왠지 심심하고 진지한 그답군 했지요ㅎㅎ
정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설 연휴 즐겁게 보내시길^^/

나비가꾸는꿈 2018-02-16 08:02   좋아요 0 | URL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님 말씀대로 생각보다 신파조라 살짝 실망했었습니다 ㅎ 오히려 연주곡으로 듣는게 훨씬 낫더군요.
 
파피용 (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장거리 우주 여행. 그러니까 지구 반대편까지 거리 정도가 아니라 빛의 속도로 여행해도 수 백 년 이상 걸리는 여행. 이미 여행은 거리의 개념을 벗어난다.
속도를 광속 이상으로 높이거나 - 이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 불능! - 블랙홀 등을 이용해서 시공간을 접어서(!) 워프하거나 - 아직은 SF 소설에서나 가능하므로 불능! - 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아직은 모두 불가능하다.
외계인의 도움 - 영화 '인터스텔라'에서처럼! - 을 얻는 방법도 있겠으나 우리만이 유일한 지성을 가진 생명체이거나 거리가 너무 멀거나 한 이유 등으로 역시 아직은 외부의 도움도 불가능.
마지막 방법은 '세대우주선(generation starship)'. 세대를 이어갈 수
있도록 계산된 수의 승무원들을 탑승시켜 수 세대를 이어가며 목적지까지 항로를 이어가는 방법이다. 영화 '팬도럼'이나 '패신저스'처럼. 각각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적 결말을 보여준 영화로 소설 '파피용'을 잘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파피용'이 보여주는 결말은 '팬도럼'? 혹은 '패신저스'? 읽어보면 안다. 베르나르의 결론을.


아, 생각을 해보니 '패신저스'는 세대우주선을 다룬 영화가 아니다. 동면을 통해 긴 시간을 여행하는 방법. 그러고보니 장거리 우주여행 방법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상상력만 있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다크 타워 4 (하) : 마법사와 수정 구슬 다크 타워
스티븐 킹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나 판타지물에 사죽을 못쓰는 편이라 영화 '다크 타워'의 예고편을 보고 바로 원작 소설을 찾았다. 스티븐 킹이 첫 편을 쓰고 30년만에 완성한 소설이라기에 평소라면 절대 손대지 않을 촌스럽고 서툰 솜씨의 호러물 표지의 책을 구매했다. 1권부터 4권까지 읽는데 하마터면 30년 걸릴뻔 했다! 'The stand'도 3권까지 읽다가 포기했는데 '다크 타워' 5권은 좀 고민해 봐야겠다. 일단 시작했으니(게다가 구매까지!) 언젠가 끝은 보겠지만 4권에서 너무 지쳐서 한동안은 외면하고 싶다.
'언더 더 돔' 같은 소설은 그럭저럭 괜찮았는데 (서점에서 대강 훑어봤고 TV 드라마가 정말 재미있었다!) 아쉽지만 아무래도 스티븐 킹 소설이 나하고 궁합이 잘 안맞는 것 같다. 하긴 스티븐 킹하면 호러물이지만 난 호러물과는 상극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체 : 2부 암흑의 숲
류츠신 지음, 허유영 옮김 / 단숨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외계 문명간의 조우에 대해서는 스티브 호킹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체
류츠신 지음, 이현아 옮김, 고호관 감수 / 단숨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적어도 1부 삼체문제는 하드SF의 성격을 살리면서 궁긍증과 긴장감을 끝까지 놓치지 않는 재미가 있었다. 양자역학을 이용한 성간 통신이나 다중성계의 외계문명 등 흥미로운 주제들이 백화점처럼 널려있어 기초과학 지식이 갖쳐진 독자라면 시간가는 줄 모를 재미에 빠져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