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제주도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문화에 대한 애정이 절로 솟는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 이병률 여행산문집
이병률 지음 / 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병률 시인의 책은 그저 마음이 갑니다. 그의 여행에세이를 읽고 있노라면 내가 여행하는 듯, 그의 마음에 다가가는 느낌을 받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의 연주곡을 좋아한다.

그의 음반 중 몇 곡은 늘 나의 휴대폰의 통화연결음이기도 했고, 벨소리 이기도 했다.

그리고 우울하거나, 기쁘거나, 음악이 너무도 듣고 싶을 때 나는 그의 연주곡을 듣고 또 들었다.

 

또한 그의 책도 몇권 보며, 그가 쓴 자신의 가족이야기, 음악이야기가 그저 마음에 들어오는 것을 느꼈다. 우연히 인터넷 서점 홈에서 본 그의 앨범을 보고는 구입하고 싶어 리스트에 올려 놓고 구입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리처드 용재 오닐 - MY Way

베스트 앨범

 

 

 

 

 

 

 

 

내가 또 즐겨듣는 곡이 있다.

아그네스 발챠의 '내 조국이 가르쳐 준 노래'라는 앨범이다.

이 앨범중에서 한 곡은 영화 '시라노 - 연애조작단'에서 나온 음악 '우리에게 더 좋은 날이 되었네' 란 곡이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이 듣는 '기차는 8시에 떠나네'도 듣기에 좋은 곡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셋 파크
폴 오스터 지음, 송은주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사람은,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 지금 이대로 시간이 멈추었으면 하고 바란다.

그 시간을 영원히 기억하기 위해, 자신들에게 다가오는 어둠과 고통의 시간들이 다가오지 않게 막고 싶은 것이다. 그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을 영원히 간직하고 싶은 바람일것이다. 다른 아무것도 그 순간에 끼어들지 않길 바라는 그 짧은 시간들의 소중함을 잃고 싶지 않는 기분일 것이다. 다가올지 모를 상실의 기분을 느끼지 않기 위한 간절한 마음일지도 모른다.

 

 

할 수 만 있다면 과거의 어느 시간속으로 되돌리고 싶은 순간이 있다.

20년이 지난 다음에도, 시간을 돌릴수만 있다면 돌리고 싶은 순간이 나에게 있는 것처럼 누군가는 그렇게 간절하고 돌리고 싶은 순간이 있을 것이다. 폴 오스터의 신작 『선셋 파크』에서 마일스 헬러라는 인물도 그런 시간들이 있었다. 형 보비와 말다툼을 했던 때로 시간을 돌리고 싶었을 것이다. 할 수만 있다면. 형이 죽지 않은, 죽기 전의 그 순간으로. 얼마나 생각했는지 모른다. 자기의 덩치가 조금만 작았더라면, 형을 살짝 밀쳤을뿐인데, 그 순간 차가 지나와 형을 치어버렸을 때, 그 일이 일어나기 전 그 순간으로 돌리고 싶었다. 할 수만 있다면.

 

 

마일스 헬러는 책을 좋아하고, 야구를 좋아하며 공부도 잘하는 영특한 아이였다.

의붓형 보비와 투닥거리긴 했지만, 나름의 방식으로 사랑했지만, 자신의 잘못으로 형이 죽고난 후, 상실감으로 부모와 함께 부유한 삶으로부터 도망을 쳐 떠도는 삶을 살고 있다. 플로리다에서 집주인이 빚을 갚지 못해 떠난 집들을 처리하는 '폐가 처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곳에서 버려진 물건들에서 그들의 삶을 느끼며 사진을 찍어 남기고 있다. 그에게는 아직 열여덟 살이 되지 못한 어린 연인 필라 산체스가 있다. 그녀의 사랑을 얻기 위해, 폐가에서 쓸만한 물건들을 집어와 언니들에게 선물로 주고 자신에게로 데려왔다.

 

 

마일스는 칠 년 동안 떠도는 삶을 살면서도 연락을 끊지 않고 편지를 보냈던 빙 네이선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는다. 뉴욕의 브루클린가에 선셋 파크에서 버려진 폐가에서 살고 있는데, 한 사람이 나가게 되어 방이 비었으니 의향이 있으면 오라고 초대를 한다. 갈 마음이 없었지만 갑자기 일이 생겨 그들이 있는 선셋 파크로 오게 되었다. 그곳에서 마일스는 빙 네이선과 앨리스 버그스트롬, 엘런 브라이스와 네 명이서 함께 생활을 하게 된다. 

 

 

 

 

상처를 입어 보아야만 비로소 한 인간이 될 수 있다.  (200페이지)

 

버려진 집에서 무단으로 살고 있는 이들 모두는 모두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각자 자신만의 아픔과 고통으로 힘들어하고 있는 젊은이들이었다. 빙은 의외의 감정이 생겨 자신의 정체성 때문에 고민하고, 엘런은 스무살 때 열여섯 소년과 사랑에 빠졌다가 지금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하며 그림에 매진해보려하지만 그로 인한 우울과 상처를 견딜수 없다. 박사논문 연구 주제로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해'를 논문으로 쓰고 있는 앨리스 또한 몸무게가 늘어 거대해진 몸을 좋아하지 않는 것 같은 애인 제이크때문에 힘들어 한다. 이들 모두 경제적 불황에 힘들어하고, 자신의 삶, 앞으로 나아가야 할 삶에 고민하는 이들이다.

 

 

이 책의 주제와 연관된 영화가 책속에서 나온다. 앨리스가 논문 주제로 사용하기도 했고, 선셋 파크에서 살고 있는 젊은이 네 명 이외에도 마일스의 생모, 아버지가 공통적으로 보았던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해'다. 이 영화는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영화로,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로 전쟁이 끝난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만난 세 남자들의 이야기다. 이는 현실의 어려움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있는 미국의 낙관주의에 관한 영화라고 했다. 이 영화에서처럼, 책속의 주인공들은 앞이 꽉 막혀 있는 고통의 시간들 희망의 시간들로 헤쳐 나가는 이들이다.

 

 

지금 이순간 버리지 않고 살아내기로 한 희망의 메시지가 있다.

스쳐 지나가는 순간, 곧 사라질 순간, 영원히 사라져 버리는 지금만을 위해 살자고 말한다.

어떻게든 살아내야 하는 지금 우리들의 모습과 많이 닮아있다.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이들의 모습때문에 나도 슬며시 미소를 짓는다. 이들의 희망이 내게도 스며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녁매미 일기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7
하무로 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여름 한철 살기 위해 매미는 7년을 기다리고 있다가 태어난다. 가을이 오기전에 스러짐을 아쉬워해서인가 그렇게 맴맴맴 울어댄다. 계절의 흐름에 대한 아쉬움, 삶에 대한 아쉬움. 『저녁매미 일기』는 이처럼 하루살이 같은 자신의 삶이라 하여 이름을 '저녁매미 일기'라는 이름을 쓴 무사를 바라보는 무사들의 이야기 이자, 삶에 대한 숭고함을 비춰주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다. 또한 2012년 나오키상 수상작이기도 한 하무로 린의 소설이다.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

하지만 기한이 정해진 삶을 살고 있다면,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어떤 느낌이 들까. 또한 가족도 기한이 정해진 자신의 죽음을 알고 있다면, 서로를 바라보는 그 시선은 애달픔일 것이다. 더군다나 그 시대가 에도시대라면. 가로의 명령에 복종할 수 밖에 없고, 유폐된 자의 마음이라면, 마음속엔 태풍이 일텐데도 고요한 마음을 가진 무사, 진정한 무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에도 저택에서 측실 마님과 밀통하고 그 사실을 알아차린 시동을 죽였다는 이유로 할복해야하지만, 10 년 간의 유예를 주며 유폐된 곳에서 가보를 편찬하는 일을 하고 있는 슈코쿠 공이 있다. 역시 성내에서 칼부림을 하면 할복해야 마땅하지만 가로의 명령에 따라 슈코쿠 공을 감시하고, 가보 편찬하는 일을 도우라는 명을 받고 슈코쿠가 있는 무카이야마 촌으로 오게 된 무사 쇼자부로가 이다. 쇼자부로는 할복해야 할 시기가 겨우 삼 년 남은 슈코쿠를 만나지만 죽음을 앞 둔 무사같지 않고 그의 마음은 평온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쇼자부로는 슈코쿠의 아들 이쿠타로와 딸 가오루, 슈코쿠의 아내 이리에와 함께 기거하며, 슈코쿠를 도와 가보 편찬하는 일을 도우면서 번주에 얽힌 사실들을 알아간다. 또한 슈코쿠의 목숨을 구할 방법이 없는지 강구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았다.

 

 

 

 

사람은 마음이 정하는 곳을 향해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마음이 향하는 곳에 뜻이 있고 그것이 이루어진다면 목숨을 잃는 것도 두렵지 않다.  (306페이지)

 

 

쇼자부로는 슈코쿠와 생활하면서 죽음을 앞두고 있으면서도 참된 무사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주군의 여인과 하루밤을 보냈다는 이유로 유폐된 생활을 해야 하지만, 그의 아내 또한 유폐지까지 따라와 남편을 보필한다. 이들의 가족은 모두 슈코쿠의 죽음을 알고 있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기대를 걸고, 슈코쿠는 자신의 죽음을 겸허하게 받아 들이려 한다. 그의 사람됨은, 마을 농민들에게도 존경받는 무사였다. 마을 농민들의 이익이 되는 일을 권했고, 존중하는 위인이였다. 그런 슈코쿠와 가족들을 바라보는 쇼자부로의 마음이 편치 않다.

 

 

대숲처럼 고요한 슈코쿠.

그를 바라보는 가족들, 어떻게든 슈코쿠를 죽음에게서 구하고자 하지만, 자신의 죽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슈코쿠와 그의 가족들을 바라보는 쇼자부로를 그린 무사들에 관한 이야기였다. 하무로 린의 이 작품을 읽으면서 에도시대의 무사들의 삶, 그들의 정신을 바라볼 수 있었다. 어느 곳에서나 내 사람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를 배척하는 경우가 많다. 내 사람이 되지 않을시에는 그를 죽이기까지 하는게 오늘날의 정치와 하나도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자신의 앞에 다가온 죽음 앞에서도 강직하고도 의연하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